러시아-체첸-인구시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근대
2.2. 20세기
2.3. 21세기
3.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러시아와 러시아 북캅카스 지방 중동부 내륙 안의 체첸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근대[편집]


체첸인과 인구셰티야의 인구시인들은 같은 민족으로서 "나흐인"이라고 불렸다. 1828년 제정 러시아가 캅카스의 대부분을 점령함으로써 이들은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점령과 지배를 받았음에도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체첸 지역에서는 다게스탄과 함께 러시아의 지배에 저항하는 주요 장소 중 하나였고, 러시아는 매번 이들을 진압했다. 체첸인들이 제일 강하게 저항했고, 인구시인은 저항지역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막았다. 하지만 이들의 봉기는 러시아에 진압되었으며 1859년에도 다시 나타났다. 러시아 혁명, 러시아 내전 시기, 체첸과 인구시인은 독립하려 했을 때 종교를 탄압했던 사회주의 체제의 적군보다 백군을 지원했으나, 백군의 패배로 적군이 정권을 잡은 소련의 재배를 받았다.

레닌은 처음에 체첸-인구시 자치공화국을 만들어 체첸인과 인구시인을 위한 자치권도 보장했지만 스탈린이 집권한 이후 이들을 탄압했고, 계속되는 저항에다 제 2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으려 했다는 사실을 안 이후 더욱 더 탄압시켰고, 대다수는 카스피 해 이동(以東)지역의 중앙아시아(소련 지배의 서투르키스탄 혹은 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시켜 험한 황무지 등에서 강제노동을 시켰다.

2.2. 20세기[편집]


스탈린 사후에는 1958년, 호르시쵸프에 의해 다시 대다수의 체첸인과 인구시인들이 체첸-인구셰티야로 돌아왔고, 이들을 위한 자치 공화국도 다시 만들 계획도 나오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여전히 체첸인과 인구시인들에 대한 차별 및 불신이 강했고 체첸인들과 인구시인들은 더 강한, 완전한 독립을 원했었다.

1991년 12월, 소련 해체를 계기로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결심했으며, 이는 15개의 여러 공화국들, 특히 인근 캅카스 국가들이 독립된 것을 계기로 독립에 대한 열망은 더욱 커져갔다. 그러나 러시아는 체첸과 인구셰티야만큼은 지리적 요충이 중요하고, 자원이 많은 것, 구 소련의 15개의 국가들과는 달리 러시아의 영역이었다는 점으로 반대를 했고, 이러한 갈등은 무장 봉기로 인한 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특히 체첸의 저항이 매우 컸으며, 인구시인들의 인구셰티아도 처음엔 체첸을 도와주었으나, 계속되는 내전 및 일부 과격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나타나면서 1992년 12월 10일, 러시아와의 관계를 완화하기로 하여 1993년에 체첸 공화국과 러시아의 자치를 받은 인구셰티야 공화국으로 나뉘어졌다. 인구시와는 달리 체첸은 끝까지 저항해서 러시아와의 전쟁이 길어졌고, 전쟁으로 수많은 인명피해와 사상자들이 나타났고, 여러 인프라 시설과 건물들, 도로가 파괴되었다.


2.3. 21세기[편집]


2004년에는 친러 자치국이었던 북오셰티야에게 인구셰티야 영토 일부를 넘겨주었고, 이 때문에 인구셰티아와 체첸에서는 반발이 심했고 특히 체첸의 광신적 민족주의자들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을 일으켰다. 이전에도 대다수는 극단주의로 변질되어 비슷한 테러사건을 일으켰지만 특히 이 인질사건으로 체첸의 독립세력들에게도 안 좋은 이미지, 불신을 받게 되어 해외에서는 체첸을 돕는 일들이 더욱 줄어들기만 했다. 2005년 10월 13일에는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수도였던 날치크에서 무장 괴한들이 동시 테러를 벌여 136명의 사상자들이 발생했다. 2007년 이츠케리아 체첸이 러시아에 항복하여 결국 망했다. 그럼에도 2008년에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위험했고, 2009년에 전쟁이 끝났지만 그 이후에도 소요 사태 및 소규모 시가전, 테러 범죄 등으로 치안이 여전히 불안했고 이는 2011년 후기가 되어서야 거의 끝이 났다. 그 이후로는 전쟁과 체첸 내의 내전 등 분쟁의 후유증와 피해가 심각했기에 현재는 러시아의 자치령으로 남아있다. 다만 전쟁은 공식적으로 끝났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무장 괴한들과의 분쟁이 지속되는 곳도 있다.


3.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20:57에 나무위키 러시아-체첸-인구시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