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병

덤프버전 :

분류





당직병의 책무

1. 담당구역의 청소상태를 확인하여 당직부사관에게 보고한다.

2. 입원·입실·퇴실하는 환자에 대하여 군의관 또는 당직부사관의 지시를 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당직병 팔띠
대한민국 육군 당직병 팔띠
대한민국 해군 당직병 팔띠[1]


1. 개요[편집]


군대의 당직근무 중 하나. 소대장급 이하나 비슷한 지휘자의 임무를 대리수행한다.

하는 일 자체는 당직부사관과 비슷하다. 당직부사관이 하는 일이 워낙 많기에 그 보조적인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밤을 새는 것이다 보니 다음 날 근무취침(근취)이라고 잘 시간을 준다. [2] 또한 간부와 같이 밤을 새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간부와 함께 근무 서는 것인지도 중요하다.

예전에는 주번병, 일직병으로 불렸었다.


2. 근무[편집]


평일 기준으로 일몰 이후 오후에서 익일 새벽 아침이 밝을 때까지 당직간부의 감독하에 함께 근무한다. 주말이나 공휴일(향군 및 향토 부대의 경우 지방 시장이나 군수의 재량하에 정해지는 시정 및 군정 임의 공휴일을 포함)의 경우 일과가 없기에 당직병과 당직간부가 하루종일 근무를 하기에 평일에 비해서 강도가 세다.

당직병의 임무는 부대 안에 있는 무기고 및 소총이나 장비 관리, 경계근무자 투입 및 교대, 부대에 침입할 수 있는 적이나 외부인 등이 들어왔을 때 상부에 긴급 보고하는 임무, 생활관의 병사 중 응급환자 발생시 의무대 긴급 보고, 생활관 병사들의 건강 상태 확인, 불침번과 함께 생활관을 순찰하며 점검하는 임무, 조리병을 깨우면서 임무에 투입시키는 역할 등을 맡는다.

또한 병사 중 응급환자 등이 발생하면 당직간부에게 선행 보고 후 의무대에 보고하여서 후송을 하는 역할도 한다.

신병의 경우 자대 적응기간과 입대 100일이 넘겨지면 본격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근무 편성은 주로 부대 내 인사과 인사병들이 편성하며 생활관에 정해진 시간을 게시한다. 다른 근무 사정이나 건강 이상 등으로 근무를 설 수 없을 경우 인사병의 승인을 얻을 수 있으며 즉시 다른 병사로 교체가 된다.

3. 대한민국 육군[편집]


아예 팔띠를 지급하지 않는 부대도 있다. 팔띠 대신 이름표 같은 것을 다는 부대도 있다. 당직부사관과 경계근무 인솔을 번갈아가면서 나가며, 당직부사관이 인솔을 나갔을 때 대신 근무를 서는 역할을 맡는다.

규모가 작고 널널한 부대의 경우 당직병 없이 해당 시간대의 불침번, 상황병, 또는 당직부관이 당직병의 임무를 겸하기도 한다. 또는 당직부사관이 곧 당직병인 경우도 있다. 일이 적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사람도 적어서 당직병까지 별도로 세울 인원이 안 나오기 때문이다. 가끔 군필자들끼리 군대 이야기 하다가 당직병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이 나온다면[3] 이 케이스일 확률이 대단히 높다.


4. 대한민국 해군[편집]


주로 갑판, 무장 직별의 수병이 담당하며, 함정 크기와 인원에 따라 전탐, 조타, 추기등, 기타 수병도 붙게된다. 수리시에는 조리병까지 붙는 경우도 있다.[4], 부직사관, 당직부사관을 보좌한다. 함정의 경우 현문[5]을 출입하는 인원을 기록하는 업무와 일과 중 방송[6][7]이 주업이다.[8]

복장은 하계일 시 함상전투복, 정모(빵모)[9], 함상화[10]이고 동계 시 코트를 입는다. [11][12] 육상 특히 전대급 부대에서는 거의 경비원이나 마찬가지다. 육상 부대가 큰 규모일 경우 보통 3명이 당직병으로 근무하며, 위병소 당직병1,[13] 생활관 당직병1,[14] 운전 당직병1[15]으로 보통 구성되어 있다.


5. 대한민국 공군[편집]


당직사관 혹은 당직부관을 보좌하며, 소규모 부대의 경우 당직부사관을 보좌하기도 한다. 공군 당직병의 주 임무는 인원 파악 및 전화대응이며, 저녁점호가 끝나면 생활관을 지키는 경비원 역할을 한다. 공군은 국직부대를 가지 않는이상 불침번이 없기 때문에[16] 이들이 불침번 역할을 겸하며, 당직병의 업무 강도는 3군 중 빡세다고 할 수 있다. 그래봤자 육군처럼 몇시간마다 근무교대자가 오는 게 없어서 밤새 자는 사람도 많지만.(물론 헌병은 제외) 당직근무가 끝나면 익일 근무에서 빠질 수 있기 때문에[17] 스케줄 운이 좋다면 주말이나 휴가 등과 연계하여 꿀을 빨 수도 있다. 단, 그냥 당직이 아니라 밤새는 당직이어야 한다. 그냥 점호 끝나고 30분 정도 있다가 가서 자는 당직은 그냥 가점만 받지 다음날 출근한다.[18] 주말이 끼는 금, 토요일 당직근무를 '똥당'이라고 부르며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19] 반대로 목요일 야간 당직근무는 금, 토, 일을 일요일 야간 당직은 토, 일, 월을 연속으로 쉴 수 있기 때문에 병사들 사이에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더군다나 휴대폰 사용이 풀린 이후로 당직 오프 중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바뀐 부대가 많기 때문에 이런 부대에선 목당이 휴가만큼이나 달달하다.

일반적으로 당직 순번표에서 빠지는 건 전역 1~3개월 전이다.[20] 사람이 별로 없는 대대는 한 달 전까지 서야 하고 사람이 많아 병장들을 굳이 당직 세울 필요가 없는 대대는 "병장이 당직을 선다고? 어휴 불쌍해"라는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 뭐 그래도 보통 병장 달자마자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병장 4~5호봉 즈음에 빠지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다.(공군은 2021년 기준 병장 7호봉까지 있다)

근무 중엔 보통 TV프로그램을 보면서 예능에 대한 토론 및 농담 따먹기, 장교의 학력이 높은 경우 좀 더 수준 높은 대화를 하기도 한다. 말년병장 x 말년간부 혹은 말년병장 x 임기제부사관 같은 경우는 격의 없이 대화하기도 하는 편이다. 물론 둘 다 자는 경우도 흔하다.

사이트처럼 부대 하나 전체가 같은 대대인 경우는 해당사항이 없지만[21] 비행단처럼 큰 부대에선 통합생활관이라 하여 한 생활관 건물에 보급대대, 복지대대, 수송대대 등 여러 대대가 모여사는데[22] 각 대대의 인원 파악 및 연락을 위해 당직병을 일단 두긴 하나 점호가 끝난 이후엔 그중 한 대대의 당직병을 제외(이 당직병은 일반적인 경우와 같다)하고는 하번한 후 정상적으로 취침을 하고 다음 날 아침점호 직전에 일어나 다시 인원 파악 등 점호 준비를 하여 점호를 마친 후 하번한 이후 정상근무에 바로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어느 대대가 남을지는 매달 돌아가면서 바뀐다. 당직병이어도 잠을 잘 수 있는 건 좋은데 결과적으로 따져보면 다음 날에도 정상근무에 투입되므로 전날 저녁에 당직 근무를 추가로 한 셈이 되어 일반적인 당직병에 비해 손해를 보는 격이라 할 수 있다.[23][2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9:11:14에 나무위키 당직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군사경찰대의 경우 일반적인 빨간색의 군사경찰 팔띠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2] 월요일날 쉬게 해주는 부대도 물론 존재한다. 이런 부대의 경우 금당도 상당히 꿀.[3] 혹은 당직병을 당직부사관으로 알고 있다거나[4] 군사경찰대의 경우 경계근무나 위병소 근무를 하는 인원과 운전병 등을 제외한 인원이 배치되며, 개인 신상의 문제로 헌병 본연의 근무가 불가능한 군사경찰 직별 인원도 당직병 근무로 배치된다.[5] 입항시 설치하는, 육상과 함정을 오가는 철제 통로.[6] 보통 방송은 조타직별에서 한다고 알고 있겠지만 조타는 정박시엔 일과중 고정방송(일과시작, 일과끝, 점호 등등), 항해시엔 모든 방송을 한다.[7] 이것도 배바배다. 소형함정의 경우는 조타는 타 함정 계류시 계류기만 올려주고, 현문이 모든 방송에 작업시 기류까지 올리는 경우도 있다.[8] 특히 방송은 함외까지 들리게 되어있어 발음을 틀리거나 절게되면 사관실에서 바로 전화가 와 과실폭탄을 먹게되니 특히 유의하자.[9] 이 때문에 땀에 절여진 빵모는 간부들의 하계 개리슨모와 비슷할 정도로 노랗게 변하니 당직용 정모와 출타용 정모를 따로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10] 예전에는 샘브레이, 당가리, 단화 차림이었다.[11] 전투복을 착용하는 군사경찰대의 경우 일반전투복과 일반전투모를 착용한다.[12] 배마다 당직자 방한용으로 정비파카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방한성능은 발군을 보여줄 정도[13] 당직사관과 당직부사관 보좌 및 위병소 관리 업무 수행[14] 부직사관(생활관 당직부사관) 보좌 및 생활관 내 보조업무 수행[15] 부대내 운전병 중 한 명이 업무다. 부대 긴급이송업무 및 부대 순찰보조 업무 수행[16] 단 공군도 기훈단과 특기학교 시절에는 당직병 제도가 아닌 불침번 제도를 운영한다.[17] 공군 내에서는 당직OFF 또는 근무OFF라고 말한다.[18] 부대에 따라선 점호 끝나고 30분이 아니라 자정까지 근무를 서고 다음 날 오전 OFF를 주는 곳도 있다. 대신 이 경우 보통 가점이 없다.[19] 몇몇 부대의 경우에는 금,토요일 당직병에게 가점을 주는 시스템이 있기도 하다.[20] 물론 부바부로 사람 많으면 그 전부터 빠지고 일병 때만 서고 빠지거나 아니면 아예 역순으로 높은 짬만 서는 부대도 있다.[21] 대대급 부대에서도 당직병, 당직부사관이 모두 있는 경우도 있긴 하다. 가뜩이나 적은 인원으로 당직근무를 둘로 나누기 때문에, 당직부사관을 보조한다고는 하지만 생활관 내 방송, TV 시청 등 잡일만 본다. 당직은 당직대로 서는데 취침 또한 보장되어 근무OFF가 없을수도 있다![22] 대공방어대처럼 따로 떨어져 사는 '산재생활관'도 있지만 여기서도 화생방지원대나 군사경찰 경비소대 등 다른 대대와 같이 사는 경우가 흔하다. 통합생활관 지역을 2개로 두어 진짜 산재생활관은 군사경찰과 탄약 등 몇 없는 경우도 있다.[23] 단 군대에 부바부가 많듯이 이것도 부대마다 다르다. 어떤 부대는 자정에 하번해 취침한 후 오전일과까지는 면제시켜주기도 한다. 오후 일과는 정상적으로 진행하지만 취침 후 오전에 놀 수 있어서 그나마 나은 케이스. 취침을 하지 않을 경우 규정상 취침 보장 시간이 정해져 있다.[24] 이 경우 일등병이면 상, 병장들의 갈굼 때문에 더 피곤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