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눈물(스타크래프트)

덤프버전 :

달의 눈물
月淚

파일:attachment/달의 눈물/Example.jpg
이 맵이 사용된 공식 리그
BATOO 스타리그 08~09
종족별 상대 전적
테란 : 저그
5 : 6
저그 : 프로토스
12 : 3
프로토스 : 테란
4 : 8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스타크래프트의 맵.

BATOO 스타리그 08~09 단 한 시즌만 쓰였다. 이유는 테란저그는 너무 유리하고 프로토스는 너무 불리해지는 요소를 다 갖춘, 요약하자면 밸런스 붕괴 때문이다. 해당 리그에서는 스폰서명을 넣어 '달의 눈물 BATOO'로 소개했다.

우선 '프로토스가 저프전에서 앞마당에 입구가 2개인 구조로 인해 더블 넥서스를 못 해서 불리할 것'이라 생각했던 유저들이 많은데, 그 예상은 완벽하게 적중했다. 한마디로 저프전 토스 압살맵으로, 이후 토스빠들과 스갤러들은 토스의 눈물, 더 나아가서 달의 X이란 표현까지 쓰며 미친듯이 깠다[1]. 사실상 악령의 숲과 함께 우상희의 대표적인 흑역사 중 하나라 봐도 무방하다. 그나마 악령의 숲보다 나은 점은 맵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리그 도중 퇴출되지는 않았다는 것 정도.

당장 김택용조일장과의 36강전에서 무리하게 더블 넥서스를 갔다가 벌어진 참사가 바로 이 경기. # 김택용은 이 경기의 충격이 너무 컸는지 자신이 어마어마한 활약을 보여 오던 2세트 메두사에서도 패하며 36강 탈락의 위기에 처했다가 와일드카드전을 통해 기사회생했다. 그나마 이 맵에서 안기효박명수를 상대로 초반의 고비를 무사히 넘기면서 맵의 불리함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그 이후 박명수의 플레이에 시종일관 끌려다니기만 하다가 무기력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영상 송병구도 마찬가지로 BATOO 스타리그 08~09 8강에서 이제동과 만나 1대1 동률 상태로 달의 눈물에서 맞붙었지만 패배하여 탈락하게 된다.

그렇다면 테프전은 좋냐고 묻는다면 전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데, 테란은 벌처를 돌릴 구간이 많은데다 시즈탱크가 앞마당을 견제하는 것을 방어하기 힘든 반면, 리버를 방어하기엔 상대적으로 터렛이 적어도 막기 수월하기 때문.[2] 물론 프로토스 입장으로서는 지옥같은 맵이기는 하지만, 상대 전적 결과에서도 나와 있듯이 도재욱이영호를 상대로 승리한 적도 있었다. #

테저전은 본진 미네랄이 8덩이라는 점, 테란이 뒷길로 인해 초반에 수동적으로 플레이해야 한다는 점에서 저그가 주도권을 쥐지만, 그 외에 맵 지형 구성이 테란에게 유리하고 전술 걸기도 좋기 때문에 저그가 초반에 이득을 보지 못한다면 테란이 유리해지게 된다. 결국 대회에서의 상대전적은 서로 대등한 수준.

정명훈은 해당 대회 4강에서 김택용셧아웃으로 제압했다. 바투 스타리그 4강 A조 3경기 정명훈 vs 김택용[3][4][5]

이렇게 맵이 이 모양 이 꼴로 악평을 듣다 보니까 졸전도 발생하곤 했는데, 대표적인 졸전이 2008년 12월 19일 있었던 해당 대회 36강 B조 1차전 경기인 박동수김구현의 경기. 박동수는 테란 유저임에도 불구하고 그런 장점도 살리지 못하고 졸전을 펼쳤고, 이런 박동수의 졸전에 김구현마저 덩달아 졸전을 펼치는 웃지 못할 모습까지 보이는 등 둘 다 하나같이 격떨어지는 경기력을 선보였다. 영상

결국 한 시즌만에 홀리월드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그 홀리월드도 달의 눈물과 비슷한 이유로 박카스 스타리그 2009 한 시즌만 쓰이고 또 교체되었는데, 자세한 건 홀리월드 참조.

맵 제작자의 의도에 의하면 스퀘어 에닉스파이널 판타지 8의 게임 장면 중, 달에 몬스터가 차올라서 지구로 떨어진다는 장면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고 한다. 물론 맵제도 여기서 따온것. 게임상에서는 달의 눈물이라는 제목대신 이 맵 이름을 한자로 옮긴 월루(月淚)로 뜬다. 아이러니 하게도 맵 가운데의 달 문양을 잘 보면 댈람 프로토스의 문양과 흡사하다.

앞마당 뒤의 4M, 5M+1G로 이뤄진 두 곳의 멀티는 자원량이 기본 맵 에디터 자원에 비해 두 배로 많다.[6] 근데 실제로 이 맵이 사용되는 동안 이 자원지대에 쓰였을 정도로 장기전이 되는 양상이 없었다. 정작 장기전으로 가더라도 저런 자원지대의 구조는 토스에게 가장 불리했을 것이므로 맵 밸런스가 여전히 토스에게 극도로 불리하다는 건 변하지 않았을 것이다.

여담으로,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는 상당한 공이 들어간 맵이다.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운 3스타팅 맵인데다가 특히 7시 방향의 높은 언덕과 성지 지형이 융합된 지형들은 에디터에서 1x1의 지형을 한땀한땀 뽑아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난이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물론 밀리맵 제작의 목적은 맵 사진의 감상이 아닌 실제 게임에서 플레이했을 때의 게임성이 중요하므로 이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6:10:25에 나무위키 달의 눈물(스타크래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서 이 맵을 계기로 2012년스타크래프트 1이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에서 사라질 때까지 맵의 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프로토스가 저그를 상대로 더블 넥서스를 시도하기 힘든 맵은 두 번 다시 쓰이지 않았다.[2] '옵드라만 하면 자원먹기 수월하다'라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파일런 5개는 절대로 공짜가 아니고, 탱크를 막으려면 드라군이 빙 돌아야 하기 때문에 불가능한 일이다.[3] 다만, 이 날 김택용의 경기력이 최악이었다는 점과 전반적으로 해당 리그가 테프전에서 테란이 매우 유리한 맵 구성이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1세트와 5세트가 신추풍령, 2세트가 왕의 귀환에 3세트가 달의 눈물까지 하나같이 테란이 유리한 전장들이었다. 그나마 프로토스가 유리한 전장이라곤 메두사만이 유일했는데, 하필 4세트에 배정된데다 이 맵에서 경기를 하기도 전에 일찌감치 셧아웃으로 허무하게 끝나버리면서 플레이를 할 기회조차도 생기지 못했다.[4]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이 날을 시작으로 정명훈은 스타1 온게임넷 스타리그 팀킬을 단 한 세트도 패하지 않았다. 물론 훗날 스타크래프트 2에서 정윤종에게 패하면서 기록이 깨졌지만...[5] 몇 달 뒤 아발론 MSL 2009 16강에서는 이번에는 김택용이 정명훈을 2:0으로 이겨서 복수에 성공한 걸 보면 그냥 온막엠막의 차이일 뿐이다.[6] 기본 자원은 미네랄 1500, 가스 5000으로 정해져 있다. 두 배라는 말은 즉 1덩어리당 3000에 가스 10000이라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