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이름은./OST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너의 이름은.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RADWIMPS 공식 유튜브 영상 외 동영상을 첨부하지 않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 멤버 ]
아소 케이}}}

[ 음반 목록 ]

파일:album_もしも.png


파일:RW_RW.jpg


파일:RW_기적.jpg


파일:RW_RW2 발전도상.jpg


파일:RW_헥슌/카나시.jpg


1st Single

もしも
2003. 05. 03.

1st Album

RADWIMPS
2003. 07. 01.

2nd Single

祈跡
2004. 07. 22.

2nd Album

RADWIMPS 2
~発展途上~

2005. 03. 08.

3rd Single

へっくしゅん/愛し
2005. 05. 25.

파일:RW_25번째 염색체.jpg


파일:RW_불뛰여그.jpg


파일:RW_RW3 무가잊한.jpg


파일:RW_둘이서.jpg


파일:RW_유심론.jpg


4th Single

25コ目の染色体
2005. 11. 23.

5th Single

イーディーピー
~飛んで火に入る夏の君~

2006. 01. 18.

3rd Album

RADWIMPS 3
~無人島に持って
いき忘れた一枚~

2006. 02. 15.

6th Single

ふたりごと
2006. 05. 17.

7th Single

有心論
2006. 07. 26.

파일:RW_세츠나렌사.jpg


파일:RW_RW4 반찬과 밥.jpg


파일:RW_주문제작.jpg


파일:RW_알콜정.jpg


파일:RW_휴대전화.jpg


8th Single

セツナレンサ
2006. 11. 08.

4th Album

RADWIMPS 4
~おかずのごはん~

2006. 12. 06.

9th Single

オーダーメイド
2008. 01. 23.

5th Album

アルトコロニーの定理
2009. 03. 11.

10th Single

携帯電話
2010. 06. 30.

파일:RW_매니페스토.jpg


파일:RW_다다.jpg


파일:RW_협심증.jpg


파일:RW_절체절명.jpg


파일:RW_슈프레히콜.jpg


11th Single

マニフェスト
2010. 06. 30.

12th Single

DADA
2011. 01. 12.

13th Single

狭心症
2011. 02. 09.

6th Album

絶体絶命
2011. 03. 09.

14th Single

シュプレヒコール
2012. 08. 01.

파일:RW_드리머즈 하이.jpg


파일:RW_5월의 파리.jpg


파일:RW_XO죄.jpg


파일:RW_피크닉.jpg


파일:RW_기호로서.jpg


15th Single

ドリーマーズ・ハイ
2013. 03. 27.

16th Single

五月の蝿 / ラストバージン
2013. 10. 16.

7th Album

×と○と罪と
2013. 12. 11.

17th Single

ピクニック
2015. 06. 10.

18th Single

記号として / ‘I’ Novel
2015. 11. 25.

파일:RW_YN 통상반.jpg


파일:RW_인간개화 통상반.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OST

君の名は。
2016. 08. 24.

8th Album

人間開花
2016. 11. 23.



}}}



파일:RW_YN 통상반.jpg


파일:RW_YN 초회한정판.jpg

통상반 표지
초회 한정판 표지
1. 개요
2. OST 목록
3. 보컬 트랙
3.1. 01. 夢灯籠 (몽등롱, 꿈의 등불)
3.2. 08. 前前前世 (전전전세)
3.3. 24. スパークル (Sparkle, 스파클)
3.4. 26~27. なんでもないや (아무것도 아니야)
4. 여담


1. 개요[편집]




RADWIMPS의 음악은 영화 속에서 (제가 표현하고자 한) 질주감, 달리는 속도감을 잘 표현해주었습니다.

신카이 마코토. 부산국제영화제 갈라프리젠테이션 인터뷰 중.

2016년에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 OST로 앨범명은 君の名は。(your name)이다. 일본의 인기 밴드인 RADWIMPS가 전곡을 작곡했으며 RADWIMPS의 작사 작곡을 담당하는 노다 요지로뿐만이 아니라 쿠와하라 아키라, 타케다 유스케도 작곡에 참여했다.

2014년 7월에 노다 요지로에게 처음 나온 시나리오를 전달했고, 3~4개월이 지났을 때 노다 요지로가 전전전세의 데모를 만들어 보내왔다고 한다. 이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전작들과 달리 RADWIMPS가 노래를 만들어 오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이를 활용해 영상을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업했다고 한다.RADWIMPS、新海誠の長編アニメ映画「君の名は。」音楽担当 그래서인지 가사뿐 아니라 노래 자체도 상당히 좋지만, 제3의 성우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영화와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있다.

Q. 래드윔프스의 음악을 살리기 위해 바꿨던 씬을 구체적으로 말해 달라

A. 예를 들어 'はじめての、東京'의 경우 현악기 소리를 강조하기 위해 영상을 수십 초 늘렸다. '前前前世'에선 가사를 강조하기 위해 일부 대사를 지웠다. 이토모리 마을에 정전이 일어난 씬도 가사를 강조하기 위해 영상을 늘렸다. 엔딩의 경우 주제가를 들으며 연출을 구상하고 싶어서 'なんでもないや'가 완성될 때까지는 콘티작업을 하지 않았다.

너의 이름은 공식 팸플릿 2탄. Q&A 중.출처


BIAF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 음악을 RADWIMPS와 작업하게 된 계기가 밝혀졌는데,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초속 5cm》 이후 1년 영국으로 어학연수를 갔을 때 어학원에서 만난 한국인 친구가 RADWIMPS를 추천해준 것을 계기로[1] 알게 되어 팬이 되었고, 작품을 만들면서 이번에 같이 작업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2016년 8월 24일, 일본에서 너의 이름은.의 사운드 트랙이 발매되었다. 가격은 소비세 별도 통상반 2,700엔, 초회한정반 6,400엔. 초회한정반은 케이스가 LP사이즈 크기로, 감독 대담집 등을 수록했다. 해당 앨범은 오리콘 주간 차트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17년 2월 22일에는 LP판이 발매되며 소비세 별도 4,800엔이다.

홍콩과 타이에서도 아이튠즈 앨범 1위를 기록했으며, 전전전세와 아무것도 아니야가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12월 27일 한국에서 음반이 정식 발매되었다. 음원은 10월 7일부터 서비스 중이다.

1월 16일 오전 1시 지니 실시간 차트에서 49위를 할 정도로 반응이 좋다. 1월 2주차 음원순위는 멜론에서는 OST 순위 50위권, 네이버뮤직 등에서는 OST 순위 10위권에 있었다.

한국 CD앨범은 예전미디어에서 수입하여 대부분 서점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CD앨범 안내 책자를 보면 영화에 나온 장면도 볼 수 있다.

미국 개봉을 앞두고 모든 곡을 영어로 번안한 새 싱글과 앨범이 나온다는 소식이 나왔다. 2월 22일에 싱글 <君の名は。English edition>이 발매된다고 한다. 夢灯籠 , 前前前世, スパークル, なんでもないや 네 트랙의 영어 버전이 수록되는데, 전전전세와 스파클은 <인간개화>에 수록된 오리지널 버젼을 영어로 만들었고, なんでもないや는 movie ver.이 영어화된다고 한다.


2. OST 목록[편집]


트랙
곡명
한국명
1
夢灯籠
Dream Lantern
꿈의 등불(몽등롱)[2]
2
三葉の通学
School Road
미츠하의 등굣길
3
糸守高校
Itomori High School
이토모리 고교[3]
4
はじめての、東京
First View of Tokyo
처음 본, 도쿄
5
憧れカフェ
Cafe At Last
동경했던 카페
6
奥寺先輩のテーマ
Theme of Ms. Okudera
오쿠데라 선배의 테마
7
ふたりの異変
Unusual Changes of Two
두 사람의 이변
8
前前前世 (movie ver.)
Zenzenzense (movie ver.)
전전전세[4]
9
御神体
Goshintai
신체[5]
10
デート
Date
데이트
11
秋祭り
Autumn Festival
가을축제
12
記憶を呼び起こす瀧
Evoking Memories
기억을 되살리는 타키
13
飛騨探訪
Visit to Hida
히다 방문
14
消えた町
Disappeared Town
사라진 마을
15
図書館
Library
도서관
16
旅館の夜
The Night Inn
여관의 밤
17
御神体へ再び
Again to Goshintai
다시 한 번 신체로
18
口噛み酒トリップ
Kuchikamizake Trip
쿠치카미자케 여행
19
作戦会議
Council of War
작전회의
20
町長説得
Persuading Mayor
촌장 설득
21
三葉のテーマ
Theme of Mitsuha
미츠하의 테마
22
見えないふたり
Unseen Two
보이지 않는 두 사람
23
かたわれ時
Katawaredoki
황혼의 시간[6][7] / 카타와레도키
24
スパークル (movie ver.)
Sparkle (movie ver.)
스파클[8]
25
デート2
Date 2
데이트 2
26
なんでもないや (movie edit)
Nandemonaiya (movie edit)
아무것도 아니야[9]
27
なんでもないや (movie ver.)
Nandemonaiya (movie ver.)
아무것도 아니야[10]

앨범 트랙은 영화에서 재생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보컬곡인 전전전세, 스파클, 아무것도 아니야, 꿈의 등불 넷은 iTunes 차트에서 1~4위를 점령했다. 전전전세는 다운로드 수 75만을 돌파하였고, 스파클과 아무것도 아니야는 25만, 꿈의 등불과 앨범 다운로드는 골드(10만 이상)를 달성하였다.

피아노 솔로곡을 추린[11] 악보집도 출간되었으며, 국내에도 2017년 1월 25일 정발되었다. 정식명칭은 '너의 이름은. 피아노OST 악보집'. 자세한 것은 너의 이름은./미디어 믹스 문서 참고.

오리지널 버전인 중급판과 비교적 난이도가 있는 곡을 뺀 초급판이 있는데, 공통 수록곡은 '꿈의 등불/미츠하의 등교길/이토모리 고등학교/전전전생/가을축제/미츠하의 테마/카타와레도키/스파클/아무것도 아니야'이고 중급판에는 '처음 보는 도쿄/꿈꾸던 카페/오쿠데라 선배의 테마/두 사람의 이변/고신타이/데이트/다시 고신타이를 찾아가'가 추가로 수록되어 있다(번역은 책에 실려있는 것 그대로 인용).

보컬곡들은 가사도 실려있는데, 의역을 한 극장 자막의 번역과는 달리 직역이다.


3. 보컬 트랙[편집]


RADWIMPS「君の名は。」
아이튠즈 스토어 링크(한국 계정 불가능)


3.1. 01. 夢灯籠 (몽등롱, 꿈의 등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夢灯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08. 前前前世 (전전전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前前前世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24. スパークル (Sparkle, 스파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スパークル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26~27. なんでもないや (아무것도 아니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なんでもない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파일:external/pbs.twimg.com/Cx-wU9tVIAAOLdS.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yFgvLEVIAApZDH.jpg
축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직접 올린 트윗 #

  • 캐릭터 원화가인 타나카 마사요시가 RADWIMPS의 앨범 「인간개화」 발매 기념으로 축전을 트윗을 통해 공개했다. 이 축전은 타키와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 RADWIMPS의 '너의 이름은. 앨범 초회 한정판'에는 영화 메이킹 필름이 담겨 있다. 이 때문에 아마존 재팬 등에서 한화로 30만원이 넘는 돈에 거래가 되고 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5:34:38에 나무위키 너의 이름은./OS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7년 1월 6일에 가진 메가박스 코엑스 메가토크에서 밝히길 어학원에서 같이 수업 듣던 한국인 여성이 "너 일본인이니까 RADWIMPS 알겠네?"라고 질문했고 이 때문에 밴드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2] 보컬곡. 오프닝 곡.[3] 감독의 후속작에서 한번 더 사용되었다.[4] 보컬곡. 2차 오프닝 곡. 앨범 타이틀 곡[5] 신령이 머문다고 생각되는 예배의 대상물을 의미한다. 영화에서는 사당으로 번역되었다.[6] 황혼기를 의미하는 '타소가레도키'의 파생어로 추측된다. 영화에서는 "이 지역 사투리?"라는 추측으로만 넘어갔다. 일단 일본어 사전에 나오지 않는 것을 보면 표준어는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7] 오프닝 곡인 꿈의 등불을 모티브로 한 피아노 변주가 들어갔다.[8] 보컬곡[9] 보컬곡. 영상 내에 삽입곡으로 쓰인 숏버전. 북소리로 시작하는 것.[10] 보컬곡. 엔딩 크레딧에서 쓰인 풀버전.[11] 단 편곡 곡도 있다. 원래 OST에는 순수 피아노곡이 아닌데 피아노곡이 된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