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현(고려 거란 전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 인물에 대한 내용은 김종현(고려) 문서
김종현(고려)번 문단을
김종현(고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종현
金宗鉉


캐릭터
지위
충주사록[1] (2 ~ 16회)
→ 감찰어사 (17회 ~ )
등장회차
프롤로그, 2 ~ 5회, 12 ~ 20회
23회 ~
배우
서재우

1. 개요
2. 작중 행적
2.1. 1 ~ 5회
2.2. 12 ~ 16회
2.3. 17 ~ 20회
2.4. 23회
2.5. 24회
2.6. 25회
2.7. 26회
2.8. 27회
2.9. 28회
2.10. 29회
2.11. 30회
2.12. 31회
2.13. 32회(최종회)
3. 여담



1. 개요[편집]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강감찬과 김종현은 충주절도사에서 인연이 되어 신뢰를 쌓아 갔다. 강감찬은 김종현에게 1만의 기병대를 맡기고, 이후 김종현은 기병대를 훈련시키며 최후의 일전을 기다린다.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의 등장인물.


2. 작중 행적[편집]



2.1. 1 ~ 5회[편집]


1회 프롤로그에서 거란군과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맞서고 있던 도중 중갑기병을 이끌고 뿔나팔을 불며 거란군의 후방을 급습한다. 이후 2회에서 충주 판관으로 있던 강감찬의 휘하 인물로 본격 등장하며, 그와 관아에서 거란과의 관계에 대해 의논한다.

3회에서 강감찬에게 김치양을 지지하는 지방 호족 중 한 명인 박진이 군사를 무장시키는 광경을 보여준 뒤 개경으로 가야겠다는 강감찬의 말에 놀라면서 위험하다고 말리지만, 정변이 문제가 아니라 거란과 외교 관계를 맺은 고려 국왕을 보호하지 못하면 전쟁 명분을 주게 될 것이라는 강감찬의 말에 더는 말리지 못한다.

4회에서 강감찬 처에게 강감찬이 중앙에 복귀했으니 개경에 갈 것을 권하나 자신의 말에 눈 하나 깜짝 않고 어차피 다시 좌천될 것이라는 부인의 태도에 당황한다. 5회에서 충주사록으로서 충주 호장 박진에게 동원령을 전달하나 그의 반발에 부딪친다. 하지만 절도사에게 알려 군법에 의해 엄히 다스리겠다고 일갈하자 결국 박진도 반박하지 못한다.[2]


2.2. 12 ~ 16회[편집]


12회에서 오랜만에 등장해 징병을 두고 충주 호장 박진하고 대치하던 통군사 최사위에게 개경 함락 소식을 알리고 호위할 병력이 '자신을 포함해 고작 15명'이라고 말해주었다[3].

13회에서 최사위와 함께 현종 일행을 만난 후 어느 빈 관아에서 황보유의와 강감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14회에서 창화현으로 이동하던 중 호장들이 동원한 백성들과 맞섰다.

15회에서 최사위와 함게 원정황후를 호위하면서 현종 일행과 다른 길로 떠났고, 16회에서 최사위와 함께 원정황후가 머물던 건물 안팎을 지키다가 사산한 소식을 전하고 침울해한다.


2.3. 17 ~ 20회[편집]


17회에선 전쟁 이후 감찰어사에 임명해 개경으로 올라왔으며, 진중시어사 조자기, 시어사 황보유의와 함께 현종의 호출에 전전긍긍하며 깨방정을 떠는 장연우를 한심하듯이 바라보다가 고려를 개혁하려는 현종의 명을 따른다.

18회에선 하급 신하들의 파업으로 인해 조정업무가 마비되자 장연우가 내준 일명 '살생부'라는 신료 명단을 들고 황보유의, 조자기와 함께 해당 신하들을 궁으로 잡아들인다.

19회에서는 황보유의와 최충, 조자기와 같이 김은부 집에서 원성왕후와 함께 김은부가 체포된 것에 대해 대책을 강구한다. 20회에서는 잠시 어사대에서 조자기와 함께 엑스트라로 나온다.

2.4. 23회[편집]


동북면 행영도병마사가 된 강감찬의 부장이 되어 강민첨과 함께 동북면으로 떠나는 모습으로 나온다.[4]

2.5. 24회[편집]


강감찬과 함께 행동하면서 아라타 추장이 이끄는 여진족들과 전투를 벌여 승리한다.

2.6. 25회[편집]



2.7. 26회[편집]



2.8. 27회[편집]



2.9. 28회[편집]



2.10. 29회[편집]



2.11. 30회[편집]



2.12. 31회[편집]



2.13. 32회(최종회)[편집]




3. 여담[편집]


  • 원작 소설에서는 적은 병력으로 거란군을 막아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지닌 무모하고 당당한 성품을 지닌 젊은 무신으로 등장하며, 6척 1치 정도 되는 큰 키에 붉은 얼굴과 네모난 턱을 가졌다고 언급된다.[5]

  • 비중이 적은 조연이고 작중 젊은 관리이지만 여러 인물들과 접점이 많다. 충주에서 관직 생활을 하여 판관 시절의 강감찬, 호장 박진, 절도사 김은부와 모두 단독으로 대면하였다.[6] 이후 현종의 몽진 행렬에도 합류하였다. 서경에서 관직 생활을 하다 여요전쟁에 참전한 최충과 묘하게 대조된다. 최충은 강조와 양규를 비롯한 북방의 무장들과 접점이 많았다.

  • 실존 인물 김종현은 생몰년이 불분명하지만, 고려사에 의하면 1011년에 종6품 관직인 감찰어사로 임명되었다고 하기에 제2차 여요전쟁 시점에서는 나이가 그렇게 많지는 않았을 것으로 여겨져 원작 및 드라마에서는 젊은 인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이중 드라마에서는 미숙한 하급 관리로서의 모습이 더 강조되어 인물 묘사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 묘하게 본작의 최충과 외모가 닮아서 간혹 헷갈린다는 반응이 있다. 외모 뿐만 아니라 두 배우가 모두 눈에 띄는 장신인 것도 공통점이다.
[1] 7품 이상에 속하는 외관직으로 제2차 여요전쟁 이전에 실존 인물 김종현의 관직이 7품이었을 것이라는 추측 외에 정확히 무슨 관직이었는지를 알 수 없기에 이렇게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에서도 김종현을 '충주목의 사록참군사'로 소개하였다.[2] 원작에서도 이처럼 군율에 엄격한 모습을 보이는데, 거란군의 남하를 지체시키기 위해 본래 기병 10명을 꾸렸으나 한 사람이 이상한 소리를 하며 겁에 질려 있어서 군법에 의해 베었다고 본인 입으로 말한다.[3] 이때, 박진이 옆에 있는 것을 보고 그가 듣지 못하게 개경 함락 소식을 귓속말로 했는데, 이미 박진이 가진 황제와 조정에 대한 적개심을 김종현이 알았기 때문이다.[4] 실제 역사에서는 1011년 감찰어사로 임명된 후에는 제3차 여요전쟁까지 기록이 없으나, 3차 여요전쟁에서 상원수 강감찬 휘하의 병마판관을 맡은 점을 고려해 서사를 부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5] 원작에서는 강감찬 등이 있는 조정으로 들어와 고작 기병 3기와 같이 온 것이 전부임에도 개경으로 오는 거란군은 고려의 지리를 잘 모르니 막을 수 있다고 발언하여 현종을 당황시키고 대신들의 냉소를 받지만, 강감찬은 현종에게 김종현의 뜻이 자신의 것과 같다는 이유로 그와 함께 일하도록 청한다. 이후 원작 소설에서 강감찬은 현종의 어가가 몽진을 위해 떠난 직후 남아있는 20여명의 관리들을 모아 젊은 이들 중 김종현 등을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100여명의 군사들로 최대한 거란군의 남하를 지체시키도록 하는데, 그마저도 감악산으로 가는 수천의 부대만 바람과 눈보라 덕분에 막아낼 수 있었다. #[6] 강감찬과는 상관과 수하로, 박진과는 적대적, 김은부와는 협력적 관계를 형성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8:13:47에 나무위키 김종현(고려 거란 전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