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군/행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고령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1. 읍
2. 면
2.1. 덕곡면
2.2. 운수면
2.3. 성산면
2.5. 개진면
2.6. 우곡면


파일:고령군행정구역_수정1.png


1. 읍[편집]



1.1. 대가야읍[편집]


구 고령읍. 1979년 5월 1일 고령면이 읍으로 승격했고, 2015년 4월 2일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읍소재지는 쾌빈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1] 인구는 9,717명.[A]

고령군의 중심지로 고령군청이 지산리에 있고 고령터미널은 헌문리에 있다. 1992년에 개교한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가 지산리에 있었지만 2012년에 부산광역시와 가까운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으로 완전히 이전했다.

지산동 고분군, 주산성, 우륵박물관, 대가야 역사테마관광지, 대가야 박물관, 산림녹화기념숲, 고령향교가 있다. 이름만 보면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보다 클 것 같지만 사실은 여기가 더 작다(...) 가야읍 인구는 대가야읍보다 약 2배 더 많다. 학교는 고령초, 고령중, 고령고, 대가야고가 있다.


2. 면[편집]



2.1. 덕곡면[편집]


면소재지는 예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2] 인구는 1,422명.[A]

성주군 수륜면,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가야면과 맞닿아 있다. 가야산행정구역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가야산으로 올라가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쌍림면만큼은 아니지만 딸기 농사를 많이 지으며 미나리도 많이 재배한다. 경치가 좋고 공기가 좋아 별장을 짓고 사는 대구 사람들이 제법 있는 편이다. 상비계곡이 있다. 여담으로 고령군과 맞닿아 있는 합천군에도 덕곡면이 있다. 그런데 합천군 덕곡면도 고령군 남부와 경계를 직접 접하는데다 바로 가는 길이 있어서[3] 이정표도 똑같이 "덕곡" 이라고 쓰여져 있다.[4] 낚일 확률이 적지만 혹시라도 조심하자. 학교는 덕곡초등학교가 있다.


2.2. 운수면[편집]


면소재지는 봉평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5] 인구는 1,785명.[A]

성주군 수륜면과 성주군 용암면과 붙어 있다.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다. 학교는 운수초가 있다.


2.3. 성산면[편집]


면소재지는 어곡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6] 인구는 2,503명.[A]

광주대구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가 교차하는 고령JC동고령IC가 있다. 성산면에서 26번 국도가 통과하는 지역은 대가야읍과 대구광역시의 길목에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지만 막차가 빨리 끊긴다는 게 함정. 성산대교를 통해 달성군 논공읍과 접한다. 특산물로는 멜론이 있다. 참외도 재배하지만 참외하면 윗 동네 성주군이 더 유명세가 큰지라 멜론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7] 학교는 박곡초, 성산초, 성산중이 있다.


2.4. 다산면[편집]


면소재지는 상곡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8] 인구는 8,074명.[A]

다산주물공업단지가 있으며 낙동강을 끼고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사문진교를 통해 이동 가능), 논공읍, 다사읍과 직접 연결되는 다리는 없지만 달서구와도 맞닿아 있다. 고령군 읍면 중 유일하게 대가야읍과 맞닿아 있지 않고 대구랑은 또 엄청 가까워서 대가야읍보다는 대구의 화원읍과 교류가 더 많다. 대중교통으로도 배차간격 10분대의 간선버스인 대구 버스 650가 있다. 이렇다보니 주민들도 고령보다는 대구에 동질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 학교는 다산초, 다산중이 있다.


2.5. 개진면[편집]


면소재지는 개포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9] 인구는 1,895명.[A]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현풍읍과 낙동강을 사이로 맞닿아 있고, 현풍읍에 박석진교를 통해 개진면으로 갈 수 있다. 박석진교가 생기기 전에 대구로 나갈려면 배를 타거나.. 아니면 성산면으로 돌아서 가야 했다. 개진공단, 양전공단, 개진농공단지 등이 있다. 학교는 개진초가 있다.

과거 26번 국도 고령-대구 신 도로 개통 이전에는 26번 국도가 이 면을 지나갔으나 선형변경으로 인해 바로 성산면으로 이어지게 되어 더 이상 지나지 않게 되었다.

특산물로는 감자인데 봄에 심어 6월에 수확하며 곧바로 그 땅에 벼를 심어 모내기를 하는 2모작을 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93호로 고령 감자가 등록되었다. 특이점은 단무지 만드는 공장이 많은데 전국에 유통되는 단무지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한다.


2.6. 우곡면[편집]


면소재지는 도진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10] 인구는 1,556명.[A]

낙동강 건너편에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과 마주하고 있지만 이 둘을 연결하는 우곡교는 2007년에야 개통했다. 이외 합천군창녕군과도 하천을 사이에 두고 붙어 있지만 이들과는 아직까지도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서 우곡교에 의존해야 한다. 하위 행정구역인 객기리는 일개 '리' 단위임에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과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창녕군 이방면과 접하고 있다. 학교는 우곡초, 우곡중이 있다.

특산물로는 수박이 유명하다. 고령 수박은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 73호로 등록되어 있다.


2.7. 쌍림면[편집]


면소재지는 귀원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11] 인구는 3,273명.[A]

원래 쌍동면(귀원리 등 서부)과 임천면(안림리 등 동부)으로 나뉘어 있다가, 1934년 쌍림면으로 통합됐다. 광주대구고속도로 고령IC가 있으며 합천군 묘산면, 야로면, 율곡면, 쌍책면, 덕곡면(고령군 덕곡면과는 다른 곳)과 마주하고 있다.

특산물로는 딸기가 유명하다. 겨울부터 초봄까지 고령IC 근처에 가면 길가에 딸기를 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개실마을이라는 전통마을이 있으며 선산 김씨(정확히는 일선 김씨) 집성촌이기도 하다. 김면 장군 유적도 이곳에 있다. 학교는 쌍림초, 쌍림중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0:58:43에 나무위키 고령군/행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아리·내곡리·내상리·본관리·신리·연조리·외리·장기리·중화리·저전리·지산리·쾌빈리·헌문리[A] A B C D E F G H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 가륜리·노리·백리·반성리·본리리·예리·원송리·옥계리·용흥리·후암리[3] 고개만 하나 넘으면 나온다. 여담으로 합천읍에서보다 대가야읍에서 합천군 덕곡면이 더 가깝다!![4] 물론 이 이정표는 고령IC 근처의 쌍림면에 있어서 고령군 덕곡면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5] 대평리·법리·봉평리·신간리·운산리·월산리·유리·팔산리·화암리[6] 강정리·고탄리·기산리·기족리·대흥리·득성리·무계리·박곡리·사부리·삼대리·상용리·어곡리·오곡리·용소리[7] 성산면에서 재배하는 멜론은 우리가 보통 아는 머스크 멜론은 아니며 머스크 멜론과 크기는 비슷한데 흰색 멜론과 노란색 멜론이 있으며, 그리고 참외 크기의 초록색 멜론이 있다.[8] 곽촌리·나정리·노곡리·벌지리·상곡리·송곡리·월성리·좌학리·평리리·호촌리[9] 개포리·구곡리·반운리·부리·생리·신안리·양전리·오사리·옥산리·인안리·직리[10] 객기리·답곡리·대곡리·도진리·봉산리·사전리·사촌리·속리·야정리·연리·예곡리·월오리·포리[11] 고곡리·귀원리·매촌리·백산리·산당리·산주리·송림리·신곡리·신촌리·안림리·안화리·월막리·용리·평지리·하거리·합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