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학과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慶北大學校 社會學科
KNU Department of Sociology

설립
1954년 4월
학과장
신형진 교수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414호



링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
2. 역사
3. 전임 교수진
3.1. 이채문 교수
3.2. 이동진 교수
3.3. 천선영 교수
3.4. 조주은 교수
3.5. 신형진 교수
3.6. 육주원 교수
3.7. 김정원 교수
3.8. 명예교수
4. 주요 동문
4.1. 학부
4.2. 대학원
5. 여담



1. 소개[편집]


나다운, 너다운, 우리다운 사회학과

— 학과 슬로건

경북대학교사회학과.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개설된 사회학과이다.
오래된 전통이 있는 만큼 사회 각계에 진출한 동문들이 많으며 인프라가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양한 사회문제와 사회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공부를 한다. 사회과학 중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을 배우는 만큼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종교, 교육, 산업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응용되기도 한다.


2. 역사[편집]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는 1954년 설립되어서 서울대 사회학과에 이어서 국내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사회학과이다. 당시에는 문리과대학 소속이었다. 역사가 길다 보니 그만큼 학문적 인프라가 탄탄하다. 이야깃거리도 많은데, 학과 설립 초창기를 일화 가운데 하나로, 당시 교학처장을 하고 있던 박관수 교수가 경북대가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려니까 서울대에는 있는데 경북대에는 없는 과를 찾다가 사회학과를 발견했고, 문리대학장이었던 이효상 교수가 문교부와 사전 협의를 거쳐서 대입이 끝난 뒤에 사회학과를 추가 모집 방식으로 선발했다고 한다. 이 때, 경성제국대학 (이후 경성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문학부 철학과 사회학 전공을 졸업한 1세대 사회학자 배용광 교수[1]의 공헌이 굉장히 컸다.

한편, 1957년에 한국사회학회가 창간하고도 7년 동안이나 학회지가 없었는데, 배용광 교수가 대구의 경북인쇄소에서 마침내 한국사회학회지를 발간했다.[2] 사회학과는 학과를 창설할 때부터, 국립학교 설치령에 사회학과가 없다는 이유로 1956년 문교부에서 폐과해버리는 바람에 학생 모집을 못하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신입생 모집을 못했지만 편입생을 받아들이는 편법을 썼다고 한다. 다시 신설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사회학과를 다시 부활시키는데도 배용광 교수가 결정적이었지만, 교육학과도 도중에 누락되어서 폐지될 위기에 있었는데 당시 사범대학의 김학수, 이기동 교수가 서울에 있는 문교부를 찾아가서 교육학과도 살려냈다고 한다.

그렇게 살려낸 사회학과는 1960년 류시중 교수, 1961년 양회수 교수, 1963년 3월 정철수 교수, 9월 이순구 교수가 각각 교수로 부임해와서 전임 교수진을 구성했다. 배용광 교수와 류시중 교수를 제외한 모두가[3]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예과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에 경북대 사회학과는 서울대 사회학과의 2부, 출장소, 지점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한편, 1961년 1월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이 개설되었다. 학부에서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 사회학과 대학원 1회를 졸업한 권규식 석사가 조교로 부임한 이후 전임이 되었고, 본교 1회 졸업생인 한남제는 남세진[4]과 함께 서울대 사회학과 대학원 사회사업학과에 1기로 입학했다가 도중에 본교 대학원으로 진학, 이후에 한국사회사업대학(現 대구대학교)에 교수로 있다가 1969년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초창기에는 D학점 수준으로 성적을 엄청 박하게 줬다고 하는데, 특히 배용광 교수가 학점을 짜게 주기로 유명해 악명이 자자했다고.. 그래도 이 분이 없었다면 아마 경북대 사회학과는 물론 교육학과도 없었거나 늦게 만들어져서 발전이 지체되었을 것이다.

1981년 인문사회과학대학에 속하게 되었고, 1982년부터 사회과학대학 소속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3. 전임 교수진[편집]



3.1. 이채문 교수[편집]


  • 러시아·중앙아시아 지역학, 국제지역학, 민족연구 전공
  •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심리학, 일탈사회학, 아시아지역과 현지조사, 민족과 다문화
  • 대학원 강의과목: 질적방법연구, 사회학주제연구1


3.2. 이동진 교수[편집]


  • 정치사회학, 법사회학, 역사사회학, 중국지역연구 전공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정치사회학, 역사비교사회학, 지역사회학, 지역연구실습
  • 대학원 강의과목: 정치사회학연구, 사회사, 지식사회학연구, 사회학주제연구1


3.3. 천선영 교수[편집]


  • 문화사회학, 사회이론 전공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문화사회학, 일상생활의 사회학, 고전사회학이론
  • 대학원 강의과목: 문화사회학연구, 문화분석, 일상생활의 사회학연구


3.4. 조주은 교수[편집]


  • 정보사회학, 과학기술사회학 전공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정보사회학, 정보사회학실습
  • 대학원 강의과목: 감정사회학연구, 정보사회학연구1·2, 성의사회학연구


3.5. 신형진 교수[편집]


  • 사회인구학, 사회조사방법론, 사회통계학 전공
  •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통계학, 사회조사방법, 사회조사실습, 해외인구연구
  • 대학원 강의과목: 사회통계학1·2, 인구와 사회변동


3.6. 육주원 교수[편집]


  • 문화정책 전공
  •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워릭대학교 문화와 미디어 정책 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초국적 이동성과 사회변동, 글로컬 문화콘텐츠의 이해
  • 대학원 강의과목: 질적방법연구


3.7. 김정원 교수[편집]


  • 사회운동, 사회적경제, 사회정책 전공
  • 전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학적 시대진단


3.8. 명예교수[편집]


  • 배용광 교수: 사회학 전반에 대해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경성제국대학에서 정치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창설 및 한국사회학회 학술지 『한국사회학』 창간의 주역이었다.
  • 류시중 교수: 도시사회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토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정철수 교수: 농촌사회학과 대중매체를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권규식 교수: 종교사회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한남제 교수: 가족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경북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박종우 교수: 인구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진수미 교수: 산업사회학, 조직사회학, 정치사회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노진철 교수: 환경사회학, 사회이론, 사회이론 방법론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김규원 교수: 사회계층론, 교육사회학, 국제사회학을 연구하고 교육했으며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4. 주요 동문[편집]



4.1. 학부[편집]


  • 강문규: 전 광운학원 이사장,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 강병수: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명예교수, 충남대학교 교학부총장
  • 권대희: 대구 CBS방송국 본부장
  • 김귀자: 전 영남일보 편집부국장
  • 김규원: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 경북대학교 부총장 겸 대학원장
  • 김동운: TBN(대구교통방송) 본부장
  • 김병욱: 우리선물 대표이사
  • 김영기: TBC 국장
  • 김영미: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영종: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용복: 농협선물 사장
  • 김창호: 전 국회의장 공보수석비서관
  • 김철수: 중원대학교 부총장 겸 종교문화학과 교수
  • 김철현: 제7대 서울특별시의원, 전 서울특별시청 시민소통기획관, 전 대구광역시청 정무특보, 전 국회의원 보좌관
  • 김치용: JDC 상임감사
  • 김통원: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 김한곤: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 김해용: 매일신문 논설주간, 논설실장, 편집국장
  • 남세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 남승용: CJ ENM 콘텐츠혁신 담당 본부장, SBS 예능본부장
  • 도성진: 전 중앙일보 미디어기획실장, 전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 박경구: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 박창호: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 성기철: 국민일보 경영전략실장
  • 소원영: 제14대 울산MBC 사장
  • 신상흥: 삼성전자 구주총괄 부사장
  • 신진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 신형진: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엄삼탁: 전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 제9대 병무청장
  • 오인환: 포스코 철강부문 사장
  • 오창균: 제11대 대구경북연구원장
  • 윤석원: 대구일보 경북총괄국장, 前 편집국장
  • 이덕건: KBS PD
  • 이영찬: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 이원희: 대진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이채문: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이태희: 현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 전 대구지방고용노동청장
  • 이하석: 시인, 제1∼2대 대구문학관 관장, 제1대 삼국유사연구원 이사장, 영남일보 논설실장
  • 이혁동: TBC 아나운서
  • 임광호: 중앙일보 미주본사 사장
  • 정문정: 작가, 유튜버
  • 정일선: 제3대 대구여성가족재단 대표
  • 정해용: 제4대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 제5∼6대 대구광역시의원
  • 정채진: 제15·18대 대구직할시장, 제22대 부산직할시장, 제17대 경상북도지사, 제10∼11대 산림청장
  • 주경애: 현 KBS포항방송국
  • 황호건: LG전자 부사장

4.2. 대학원[편집]


사회학과가 아닌 타학과를 졸업한 경북대 졸업생과 타대학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 박승위(석사, 박사):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 박신규(박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백승대(석사, 박사):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 정숙정(박사): 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초빙교수
  • 정용교(석사, 박사):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정은정(석사): 작가
  • 정철수(박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5. 여담[편집]


  • 경북대학교 사회학과의 역사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들을 참고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3:29:06에 나무위키 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학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20년대 미국, 유럽, 일본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하경덕, 김현준, 한치진 등과는 조금 격차가 있다.[2] 이 당시 경북대 사회학과에 재직하고 있던 류시중 교수의 도움이 상당히 컸다고 한다. 신설 사회학과의 운영에 관한 거의 모든 업무를 도맡았다고..[3] 배용광 교수도 경성제대 출신이니 넓게 보면 서울대 출신이다. 서울대에서는 전신인 경성제대를 부정하고 있기는 하지만..[4] 남세진은 서울대 사회사업학과 조교수로 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