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불교방송 (r1판)

편집일시 :

파일:제주BBS.pn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BBS불교방송 영문 아이콘.svg 지역 방송국
[ 펼치기 · 접기 ]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수도권
파일:부산BBS.png

부산, 경남
파일:광주BBS.png

광주, 전남
파일:대구BBS.png

대구, 경북
파일:청주BBS.png

충북
파일:춘천BBS.png

강원 영서 북부, 강원 영동 일부
파일:울산BBS.png

울산
파일:제주BBS.png

제주



>
[[대한민국|
]] 대한민국라디오방송국
[ 펼치기 · 접기 ]
구분수도권지방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화이트.svg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HappyFM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파일:KBS CoolFM 로고.svg파일:U-KBS MUSIC 로고.svg
(DMB 라디오)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파일:MBC 표준FM (2020 Ver.).png파일:춘천MBC 로고.svg · 파일:원주MBC 로고.svg · 파일:MBC강원영동 로고.svg · 파일:대전MBC 로고.svg · 파일:MBC충북 로고.svg · 파일:전주MBC 로고.svg · 파일:광주MBC 로고.svg · 파일:목포MBC 로고.svg · 파일:여수MBC 로고.svg · 파일:대구MBC 로고.svg · 파일:안동MBC 로고.svg · 파일:포항MBC 로고.svg · 파일:부산MBC 로고.svg · 파일:울산MBC 로고.svg · 파일:MBC경남 로고.svg · 파일:제주MBC 로고.svg
파일:MBC FM4U (2020 Ver.).png
파일:올댓뮤직.jpg
(수도권 DMB 라디오)
-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파일:KNN 러브FM.pn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파일:KNN 파워FM.pn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CJB JOYFM 로고.png · 파일:JIBS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SBS V-Radio.png
(수도권 DMB 라디오)
-
파일:EBS 로고.svg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파일:EBS FM 로고.svg
보도전문파일:YTN 라디오.png-
교통
파일:TBS FM 로고.svg
(수도권)
-
파일:TBN.png
(본부)
파일:TBN 광주 로고.png · 파일:TBN 부산 로고.png · 파일:TBN 대전 로고.png · 파일:TBN 대구 로고.png · 파일:TBN 강원 로고.png · 파일:TBN 경인 로고.png · 파일:TBN 전북 로고.png · 파일:TBN 울산 로고.png · 파일:TBN 경남 로고.png · 파일:TBN 경북 로고.png · 파일:TBN 제주 로고.png · 파일:TBN 충북 로고.png
국방파일:국방FM BI.svg백령도 · 경기북부 · 강원 · 계룡(대전) · 광주(나주) · 포항(영덕) · 제주(서귀포)
국악파일:국악방송 로고.svg파일:서울·경기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남원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남도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경주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전주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부산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강릉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광주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제주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서귀포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대전국악방송 로고.svg · 파일:충주국악방송.gif · 파일:영동국악방송.gif
외국어파일:TBS eFM 로고.svg
(수도권)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제주, 수도권 DMB 라디오)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부산) · 파일:GFN 로고.png(광주)
개신교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표준FM파일:대구CBS 로고.svg · 파일:부산CBS 로고.png · 파일:광주CBS 로고 (2022.11.21).jpg · 파일:전북CBS 로고(2022.09.26).png · 파일:충북CBS.png · 파일:강원CBS 로고.png · 파일:대전 CBS 로고.png · 파일:포항CBS 로고.svg · 파일:전남CBS 2022년 11월 로고.jpg · 파일:경남CBS 로고.png · 파일:제주CBS 로고.png · 파일:강원영동 CBS 로고.png · 파일:울산CBS 로고.svg
음악FM파일:부산CBS 로고.png · 파일:대구CBS 로고.svg · 파일:광주CBS 로고 (2022.11.21).jpg
파일: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대전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창원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목포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영동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포항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울산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광주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전남동부극동방송 로고.svg · 파일:전북극동방송 로고.svg
천주교파일:cpbc FM 로고.svg파일:광주cpbc.gif · 파일:대구cpbc.png · 파일:부산cpbc.jpg · 파일:대전cpbc.png
불교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파일:부산BBS.png · 파일:광주BBS.png · 파일:대구BBS.png · 파일:청주BBS.png · 파일:춘천BBS.png · 파일:울산BBS.png · 파일:제주BBS.png
원불교파일:원음방송 BI.svg파일:전북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부산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광주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대구원음방송 로고.png
독립파일:경인방송 로고.svg
파일:OBS 라디오 로고.jpg
-
대북케이뉴스
자유코리아방송
자유FM
자유의 소리
주한미군파일:AFN The Eagle.jpg
(평택 (Camp Humphreys))
용산(Camp Morse) · 동두천(Camp Casey) · 의정부(Camp Red Cloud) · 평택(Osan Air Base) · 부산(Pier 8) · 창원(Chinhae Naval Base) · 대구(Camp Walker) · 칠곡(Camp Carroll) · 포항(Camp Mujuk) · 광주(Kwangju Air Base) · 군산(Kunsan Air Base)
공동체파일:관악FM.png
파일:마포FM.png
파일:성남FM.png
서대문FM
단원FM
SoneFM
파일:금강FM.gif · 파일:external/scnfm.or.kr/logo.gif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상주FM
인터넷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파일:제주BBS.png 제주불교방송
濟州佛敎放送
Jeju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
설립불명
개국라디오2018년 9월 9일
본사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임항로 14(건입동 1397-1) 덕산빌딩 4층
채널라디오BBS FM
링크파일:제주BBS.png
대표자윤두호
상위방송국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제주BBS RADIO
불교제주FM방송국
}}}
향기로운 라디오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국2018년 9월 9일
호출부호HLEL-FM
주파수94.9㎒ (제주)|100.5㎒ (서귀포)
방송품질2채널 스테레오
네트워크망파일:BBS불교방송 영문 아이콘.svg 네트워크
언어한국어
가청취권역제주시, 서귀포시 전역
운영파일:제주BBS.png
소유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1. 개요
2. 역사
3. 프로그램
4. 구성원
5. 여담



1.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를 가청권으로 하고 있는 지역 BBS불교방송이다. 호출부호는 HLEL.

방송국은 제주시 임항로 14 덕산빌딩 5층에 있다.[1]

2018년 9월 9일에 개국했으며, 개국 초창기에는 서귀포 중계소가 없어서 제주시에서만 수신이 가능했으나, 2020년 8월 1일에 서귀포 중계소도 개국하면서 청취 권역이 제주도 전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제주국악방송 송신소 이전 입찰공고에 따르면 견월악 송신소 제원(8페이지)에 제주불교방송 관련 언급이 있는 것을 볼 때 일자 미상에 북제주권 송신소를 견월악으로 이전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교방송 홈페이지에는 아직 관련 내용이 없어서 확실치 않다. 참고로 제주국악방송은 현재 송신소 이전을 이미 완료한 상태이다.


2. 역사[편집]


  • 2017년 3월 23일 : KT한라산 송신소(FM 94.9㎒, 출력 1㎾)와 미악산 중계소(FM 100.5㎒, 출력 1㎾)에 송신소와 중계소를 두는 것으로 허가했다.
  • 2018년 9월 9일 : 제주불교방송 개국
  • 2020년 8월 1일 : 서귀포 미악산 중계소 개국


3. 프로그램[편집]


03:54여기는 제주불교방송입니다
04:00각산스님의 새벽 명상
04:30선묵혜자스님의 나를 찾는 백팔기도문
05:00아침예불
05:30경전공부
05:55명법스님의 여시아문
06:00송담스님의 현대인을 위한 참선
06:40구암스님의 염불치유명상
06:55제주어로 듣는 법정스님의 무소유
07:00BBS 뉴스대행스님의
행복한 삶을
위한 법문
BBS 초대석
07:20전영신의 아침저널전영신의 아침저널
08:00다르마 산책
08:30아침저널 제주, 이병철입니다인생은 아름다워(08:20)
09:00좋은 아침 성전입니다오늘을 향기롭게
10:00오늘도 두근두근, 광우입니다거룩한 만남라디오 법회
10:53신행 365일
11:00지금은 수행시대김혜옥의 아름다운 초대
12:00BBS 정오종합뉴스이효주의 싱싱라디오
12:15이효주의 싱싱라디오
13:00
14:00백팔가요오승진의 뮤직 포 유
15:00
15:55천태의 법향
16:00영산스님의 음악산책자용스님의 행복한 오후
17:00제주BBS 뉴스BBS 뉴스왓룸비니 동산
17:05가릉빈가의 노래
17:20내 생에 가장 행복한 순간
17:30제주의 법향현응스님의 5분불교영어
(대구불교방송 제작)
(17:55)
장병의 시간
17:35100세 시대, 죽음을 배우다 
18:00운문사 우리말 저녁예불
18:20BBS 뉴스파노라마BBS 경제토크
아름다운 사람들
BBS 뉴스와
사람들
19:00최은경의 음악이 흐르는 풍경
20:00
20:55명법스님의 여시아문(재방송)
21:00메모리 IN 제주BBS 스페셜
22:00BBS 뉴스다시듣는 명강의
22:05밤의 창가에서선업스님의 힐링스테이션23:00
24:00경전공부 스페셜
25:00오늘의 기도
25:55제주어로 듣는 법정스님의 무소유
26:00방송 종료
매월 4째주 BBS 10만 공덕주를 모십니다 특집 생방송
}}}
[1] 제주BBS 운영위원이기도 한 (주)덕산 강덕주 회장이 연주소 건물을 선뜻 내줬다. 해당 건물엔 뉴스1 제주본부도 입주해있다.


  • 구암스님의 염불치유명상 (매일 오전 6:45~6:55)
  • 제주어로 듣는 법정스님의 무소유 (매일 오전 6:55~7:00 / 매일 새벽 1:55~2:00 재방송)
  • BBS아침저널 제주, 이병철입니다 (월-목 오전 8:30~9:00)
  • 오늘을 향기롭게 (토-일 오전 9:00~10:00)
  • BBS 뉴스(제주) (평일 오후 5:00~5:05)
  • 가릉빈가의 노래 (평일 오후 5:05~5:20)
  • 내 생에 가장 행복한 순간 (평일 오후 5:20~5:30)
  • 제주의 법향 (평일 오후 5:30~5:35)
  • 100세 시대, 죽음을 배우다  (평일 오후 5:35~6:00)
  • BBS 뉴스왓 (매주 토요일 오후 5:00~5:50)
  • 메모리 IN 제주 (평일 밤 9:00~10:00)
  • 오늘의 기도 (매일 새벽 1:00~1:55)


4. 구성원[편집]


  • 윤두호 사장[2]
  • 문태준 총괄국장
  • 이병철 방송부장[3]
  • 안지예 기자/PD[4]
  • 김종광 기자/PD[5]


5. 여담[편집]


  • 서울특별시 본사에서 전국 단위로 제작 방송하던 "한낮의 휴식 장수연입니다"가 2018년 9월 10일부터 제주 지역 불교 홍보라는 목적으로 제작 장소를 제주로 옮겨 전국에 동시 송출했던 적이 있었다. 이는 BBS 역사상 유례없는 일이며, 이를 위해 서울 본사 측에서는 DJ인 장수연 아나운서와 이응진 대PD를 이 방송국의 개국 멤버로 투입했다. 이후에는 자정에 방송되었던 "이선희의 붓다의 향기"가 제주불교방송을 통해 송출 및 방송했다가 다시 서울 본사로 옮겼고, 2부 시간대에 자체 프로그램을 방송함에 따라 "이선희의 붓다의 향기"는 제주불교방송에서는 1부만 청취할 수 있었다. 그러다가 2021년 가을 개편으로 "이선희의 붓다의 향기"가 폐지되고 "경전공부 스페셜"과 "음악공감"이 방송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음악공감" 대신 "오늘의 기도","제주어로 듣는 법정스님의 무소유"(재방송)를 방송한다.

  • 지역 불교방송 가운데 부산불교방송 다음으로 로컬 편성 비율이 높다. 제주불교방송을 개국하기 10년 전에 개국한 울산불교방송이 겨우 3개의 로컬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것과 비교해도 상당히 많다.[6] 부산광역시도 그렇지만, 제주특별자치도불자의 비중이 타 지역에 비해 높다보니 단기간 내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편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9 14:46:01에 나무위키 제주불교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 前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3] 前 제주불교신문 기자[4] 前 제주MBC 라디오 DJ 겸 리포터[5] 前 제주매일, 제주일보 기자[6] 개국 초창기에는 서울 릴레이 편성 비율이 자체 편성 비율에 비해 많았으나, 2019년 봄 개편부터 자체 편성 비율을 늘려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