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승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민주당)구파 (구파동지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노장파합작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중도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1차 진산 파동
민주당민정당자민당국민의당
1차 진산 파동 ~ 신민당 창당
민주계 유진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구파계유진산계국민당민중당
2차 진산 파동 ~ 10.26 사건
신파계구파계이철승계민주통일당
10.26 사건 ~ 5.17 내란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민주통일당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상도동계 신민당 민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상도동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신민당 꼬마민주계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동교동 신파동교동 구파후단협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친노비노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정동영계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참여계민평련친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혁통계민평련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박지원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김민석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천정배계구민주계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김민석계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친문안희정계평화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친문비문평화대안손학규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민주민생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친명친문이낙연계민생
20대 대선 ~ 현재
친명친문비명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이철승계
형성1971년
해체1988년[1]
수장이철승
정치적 이념보수주의
냉전반공주의
경제적 이념경제적 자유주의
주요 정치인송원영
이기택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상세
3. 소속 인물



1. 개요[편집]


신민당, 신한민주당에서 이철승을 따른 계파이다.


2. 상세[편집]


1·2차 진산 파동 이후 당내는 범진산계와 반진산계로 나뉘었고, 이철승계는 범진산계의 분파 정도로 주류를 일었다. 다만, 1970년 대통령 경선 때 유진산김영삼·김대중·이철승 중 지지율이 40%가 넘었던 김영삼을 지지하자, 당시 있던 이철승계가 반발했다. 1차 투표엔 이철승이 탈락했고, 결국 이철승계가 후에 있을 전당대회에서 김대중계가 이철승을 미는 조건으로 김대중을 2차 투표에서 밀어주며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1974년 유진산의 별세와 함께 유진산계가 해체되었고, 이철승계는 원래 이철승을 지지하던 분파와 후에 합류한 중도파로 이루어졌다. 1974년 7월엔 모든 계파가 그랬듯이, 호남에서 압도적이고 서울·경기·강원지역에서 우세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김영삼에게 졌고, 고흥문계와 신도환계, 정일형, 정해영 등과 함께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을 사주했다. 결국 9월에 치러진 임시 전당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된다.

1980년 12.12 군사반란 때 신민당이 해산된 뒤 5년간 정계를 잠정 은퇴했다가, 구 신민당 소속, 일부 민주한국당, 민권당민중민주당 당원들이 김영삼, 김대중을 중심으로 신한민주당을 창당할 때 같이 들어갔다. 그러나 이민우 구상에 동의하여, 양김이 신한민주당을 탈당하고 신당을 창당할 때 남아있었고, 대통령 직선제가 확립되자 이철승은 퇴물로 전락했고, 이듬해 선거에서 낙선하며 이철승계는 해체된다.


3. 소속 인물[편집]



신한민주당 : 김수한[2] ,신도환[3], 임춘원[4], 신병렬, 김병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3:15:10에 나무위키 이철승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한민주당 해체.[2] 신한민주당 창당 당시에는 이철승계로 분류됐으나, 1986년 경 상도동계로 이적했다.[3] 신민당에서 독자 세력을 이루고 신한민주당에서도 나름대로 있었으나, 총선 전에 은퇴하면서 이철승계의 이미지가 짙어졌다.[4] 1987년 6월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