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지상 병기/이탈리아 트리/경전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이탈리아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공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요격기 | 육군 전투기 | 해군 전투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2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 육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2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 해군 ]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I 랭크
파일:WarThunder_AB_41.png
파일:WarThunder_L6_40.png
파일:WarThunder_AS_42.png
파일:WarThunder_L3_33_CC.png
파일:WarThunder_M11_39.png
[ M13/40 I/III ]
파일:WarThunder_M13_40_(I).png
파일:WarThunder_M13_40_(III).png

파일:WarThunder_47_32_L40.png
파일:WarThunder_AS_42_47.png
파일:WarThunder_M14_41.png
파일:WarThunder_Lancia_3Ro_(100_17).png
II 랭크
파일:WarThunder_AB_43.png
파일:WarThunder_M15_42.png
파일:WarThunder_CM52.png
[ M41 (75/18 75/32) ]
파일:WarThunder_75_18_M41.png
파일:WarThunder_75_32_M41.png

파일:WarThunder_M3A3_(Italy).png
파일:WarThunder_Pz.III_N_(Italy).png
파일:WarThunder_M42_(Italy).png
파일:WarThunder_75_34_M42.png
파일:WarThunder_M24_(Italy).png
파일:WarThunder_P40.png
[ M43 (105/25 75/34) ]
파일:WarThunder_105_25_M43.png
파일:WarThunder_75_34_M43.png

III 랭크
파일:WarThunder_Breda_501.png
파일:WarThunder_M4A4_(Italy).png
파일:WarThunder_R3_T20_FA-HS.png
파일:WarThunder_90_53_M41M.png
파일:WarThunder_M18_(Italy).png
파일:WarThunder_M4_Tipo_IC.png
파일:WarThunder_StuG_III_G_(Italy).png
파일:WarThunder_Sherman_Vc_(Italy).png
파일:WarThunder_75_46_M43.png
IV 랭크
파일:WarThunder_FIAT_6614.png
파일:WarThunder_M26A1.png
파일:WarThunder_M36B1.png
파일:WarThunder_AUBL_74.png
V 랭크
파일:WarThunder_C13_T90.png
파일:WarThunder_M47_(105_55).png
파일:WarThunder_SIDAM_25.png
파일:WarThunder_M113A1_(TOW).png
파일:WarThunder_R3_T106_FA.png
파일:WarThunder_OF-40.png
VI 랭크
파일:WarThunder_Centauro_I_105.png
파일:WarThunder_OF-40_Mk.2A.png
파일:WarThunder_VBC_(PT2).png
파일:WarThunder_Centauro_I_105_R.png
파일:WarThunder_Leopard_1A5_(Italy).png
파일:WarThunder_Dardo.png
파일:WarThunder_VCC-80_60.png
파일:WarThunder_Ariete_(P).png
VII 랭크
파일:WarThunder_Centauro_I_120.png
파일:WarThunder_Ariete_PSO.png
파일:WarThunder_SIDAM_25_(Mistral).png
파일:WarThunder_VCC-80_30.png
파일:WarThunder_Ariete.png
파일:WarThunder_OTOMATIC.png
파일:WarThunder_Ariete_AMV.png

[ 프리미엄 장비 ]
I 랭크
파일:WarThunder_L6_40_(31_Rgt.).png
파일:WarThunder_Toldi_IIA_(Italy).png
파일:WarThunder_M13_40_(II).png
II 랭크
파일:WarThunder_M14_41_(47_40).png
파일:WarThunder_Turan_II_(Italy).png
파일:WarThunder_Celere_Sahariano.png
파일:WarThunder_P40_G.C._Leoncello.png
파일:WarThunder_M4_Hybrid_(Italy).png
III 랭크
파일:WarThunder_M43_G.C.Leoncello.png
파일:WarThunder_Zrinyi_I_(Italy).png
파일:WarThunder_Pz.IV_G_(Italy).png
IV 랭크
파일:WarThunder_M26_D.C.Ariete.png
V 랭크
파일:WarThunder_M60A1_D.C.Ariete.png
파일:WarThunder_AUBL_74_HVG.png
VI 랭크
파일:WarThunder_OF-40_(MTCA).png
파일:WarThunder_VRCC.png






1. 개요
2. 1랭크
2.3. AS 42/47
3. 2랭크
4. 3랭크
4.1. ◉M24
4.2. 브레다 501
5. 4랭크
5.1. ◉M18
5.2. AUBL/FIAT 계열
6. 5랭크
6.1. C13 T90
6.2. R3 T106 FA
7. 6랭크
7.1. VCC-80/60
7.2. 센타우로 계열
7.2.2. 센타우로 I 105 R
8. 7랭크
8.1. 센타우로 I 120



1. 개요[편집]


AB41로 시작해 Centauro MGS로 끝나는 이탈리아 경전차 트리이다. 특징으로는 철제 궤도가 아닌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차륜형 장갑차와 일부 경전차가 배속되어 있다, 대부분의 차량이 대단히 민첩하고 브레다 501부터는 강력한 무장을 갖추지만, 모든 차량의 장갑 방호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워 썬더 이탈리아 지상군의 상징적인 라인업이다.붕붕이 트리

이탈리아 트리들 중 유일하게 미제 차량이 없는 트리였으나, 1.99 스타파이터 패치로 스튜어트, 채피, 헬캣이 추가됨으로서 모든 이탈리아 트리에 미제 차량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 문자표가 붙은 차량은 이탈리아 제국 이후 연합군 점령하 이탈리아,나치 독일으로부터 수입한 독일제 전차, 전후 이탈리아군 소속의 외산 차량이다.


2. 1랭크[편집]



2.1. AB 41[편집]


AB 41
Fiat-Ansaldo Autoblinda 41
피아트-안살도 오토블린다 41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ab_4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시작)AB 41M11/39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는 1랭크 AB 41부터 7랭크 첸타우로 MGS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AB 41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0가격(라이언)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1BR1.0/1.0/1.0
중량7.4톤최대속도86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2.8°
엔진 출력124마력, 2800RPM등판각°고저각-12/20 °
차체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최대 수리 비용181
포탑장갑정면 18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12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20 mm Breda Mod.35 cannon7.8초API-T, HVAP-T, HEFI-T*456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I-TPerforante mod.3510.14Kg832m/초39mm29mm21mm
HVAP-TPzGr 401Kgm/초64mm63mm2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8 mm Breda Mod. 38 machine gun10.4초API-T, AP, IT1,992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개요에서 설명하였듯 차륜형 장갑차 라인업의 시작을 알리는 기종이다. 20mm 브레다 35식 기관포를 탑재하였으며 탄창 1개당 8발의 포탄이 장전되어 있다. 최대 48mm 관통력의 독일제 Pz.gr 40 탄티를 빌려 쓸 수 있기에 주포의 위력은 양호하나 문제는 장탄수다. 한 탄창에 단 8발만 장전된다. 물론 동급의 2호 전차 역시 한 탄창이 10발로 큰 차이는 없지만 이 차량은 2호 전차 만큼 튼튼하지 못하다. 장갑 수치가 겨우 8mm로 7mm 기관총탄 조차 근거리에서 제대로 막아낼 수 있을지 불확실할 정도로 형편 없기에 재장전 동안 목숨을 부지하기가 힘들다. BR은 같으나 명백히 2호 전차의 하위 호환인 셈이다.

장점으로는 차륜형 장갑차가 대개 그러하듯 후진 속도가 전진 속도와 같으며, 게임상 기능은 하지 않지만 후방 운전수가 있으므로 유사시 대체 인원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전진-사격-후진 식으로 치고 빠지기로 운용하는 것만이 살 길이다. 기관포로는 원거리에서 유효한 타격을 주기 힘들지만 경장갑 차량 상대라면 중거리 까진 교전이 가능하다.


2.2. M11/39[편집]


M11/39
Fiat-Ansaldo M11/39
피아트-안살도 M11/39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it_m11_39.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AB 41M11/39AB 43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2,900가격(라이언)7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1BR1.0/1.0/1.0
중량11.0톤최대속도km/h포탑회전 속도초당 8.3°
엔진 출력마력, RPM등판각°고저각- 8/15 °
차체장갑정면 30측면 14후면 14최대 수리 비용
포탑장갑정면 30측면 14후면 14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Vickers-Terni 37/40 mod.18 cannon4.1초APHE84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Granata Perforante da 37무료0.7Kg640m/초35mm25mm17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8mm Breda Mod. 38기본72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무료mmmmmm

바로 이전 단계의 AB41을 비롯하여 장갑차나 탱캣에 비해 장갑이 강화되었지만 높지 않은 관통력의 포를 가진 전차이다.
철갑유탄을 사용하기에 일단 관통만 한다면 한방에 적 전차를 격파할 수 있다.

2.3. AS 42/47[편집]



AS 42 장갑차에 47mm 47/32 mod.39 전차포를 탑재한 차량이다. 특유의 기동성으로 적 전차 우회타격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낮은 관통력과 개방되어있는 차체, 적은 승무원으로 인해 생존성이 매우 낮다.

3. 2랭크[편집]



3.1. AB 43[편집]


AB 43
Fiat-Ansaldo Autoblinda 43
피아트-안살도 오토블린다 43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ab_43.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1/39AB 43◎M3A3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7,900가격(라이언)10,0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2BR2.0
중량7.8톤최대속도81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8.4°
엔진 출력210마력, 2800RPM등판각°고저각-7/20 °
차체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최대 수리 비용826
포탑장갑정면 18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37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7 mm 47/40 mod.38 cannon3.3초HE, APBC146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Granata mod.352.4Kg250m/초4mm4mm4mm
APBCGranata Perforante mod.391.4Kg755m/초69mm59mm5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8 mm Breda Mod. 38 machine gun10.4초1,992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이탈리아판 푸마 장갑차로 볼 수 있다.
기존의 AB41 장갑차를 개량하여 47mm 47/40 38식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AB 43은 기관포를 장착한 형식, 47mm 전차포를 정착한 형식 등 여러가지의 형식이 존재하는데, 워썬더에 등장하는 AB43 Cannone는 프로토타입 1대만 만들어진 채 이탈리아 왕국이 전쟁에서 항복해버려서 끝나버린 장갑차이다. 기관포에 비해 연사 속도는 느리지만[1] 구경이 커졌기에 관통력과 파편 비산량이 향상되어 AB41 장갑차보다 나은 장거리 교전이 가능하다. 동일 국가의 중형전차인 M13의 포보다 구경장이 길어져 관통력은 높아졌으나 여전히 동 BR대에서는 낮은 관통력을 보인다. 특히 조금이라도 BR이 높은 게임이 잡힌다면 우회 교전이 강제화된다.

덩치만 크고 장갑이 매우 얇은 원판 차체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2] 포격이라도 시작되면 목숨을 부지하기 어렵다. 후진 속도가 빠른건 여전하기에 치고 빠지기 전술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포탑 회전속도가 빠르지 않고 제자리 회전이 불가능한 차륜장갑차이니 시가전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기타 특징으로는 BR이 높아지면서 쓸모있는 정찰 기능이 생긴 것과 146발에 이르는 휴행 탄수이지만, 다 쓸 일도 없을 뿐더러 적재량이 많을수록 유폭 확률이 올라가므로 되려 약점만 되니 적절히 줄여서 탑재하도록 하자.


3.2. ◉M3A3[편집]


◎M3A3
Carro leggero M3A3
경전차 M3A3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m3a3_stuart.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AB 43◎M3A3◎M24

전후 이탈리아 공화국은 자국 육군의 기갑 전력을 재건하는 작업에 착수하였고 미국은 이탈리아에게 다양한 전차를 비롯한 군사 물자를 제공하였다. 그 중에서 스튜어트 전차도 있었다.

경사장갑이 적용된 스튜어트 전차, 수직 장갑인 기존의 스튜어트 전차에 비하면 포탄 도탄률이 좀 더 높다

구경이 37mm이지만 철갑탄 관통력이 꽤나 강력하고 장전 속도도 빨라서 화력 투사력에서 꽤 앞선다 또한 기존의 L6/40 경전차는 궤도식이지만 엔진 마력이 약해서 기동성이 딸리고, AB 43은 단순 추중비는 괜찮은데 차륜식이라서 험지 기동성이 딸린다

그런데 M3A3 톤당 마력도 높고 궤도식이라서 험지에서도 기동성이 경쾌하고 포에 스테빌라이저가 장착되어서 급 정차 시 포신 정렬이 매우 빠르다 덕분에 빨리 빨리 중요한 지점에 가서 안정적으로 포를 쏴제끼기에 좋다

전체적으로 무난한 경전차라서 그다지 큰 단점은 없다, 특히 1랭크부터 2랭크 초반까지는 먼저 쏘는 놈이 이기는 싸움이니까 장갑이 얇니 뭐니는 그닥 중요하지 않고 오히려 M3A3 스튜어트의 장갑은 꽤 선방하는 편이다.



4. 3랭크[편집]



4.1. ◉M24[편집]


◎M24
Carro leggero M24
경전차 M24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m24_chaffee.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3A3◎M24브레다 501

원본인 미국 M24와 동일한 전차이다.

원본과 동일하게 빠른 기동성과 좋은 화력으로 T-34[3] 등 일부 전차를 제외하고는 전면에서 전부 무리없이 격파할 수 있다.

75mm M6 저반동포를 사용하여 화력은 M4 셔먼과 대등한 수준으로 3, 4호 전차 정도는 무난하게 잡아내고 T-34도 약점 사격으로 충분히 격파가 가능하다. 전차장용 12.7mm M2HB 기관총이 장착되어 있어 경장갑차나 자주대공포를 잡아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좋은 화력과 경전차의 기동성을 가졌으나 장갑이 두껍지 못하니 2선에서 아군을 지원하는것이 좋다.

대전기 미군의 장비답게 스태빌라이저가 달려있다. 23kph를 넘으면 꺼지지만 확실히 아무것도 안달린 3호 4호 T-34등을 상대할때는 둘다 이동중이라면 원하는 부위(약점)에 선타를 때릴수 있어서 이동중 갑자기 출몰한 적에 대항하기 편하다.

적절한 화력, 적절한 기동성, 스태빌라이저, 브라우닝 중기관총, 괜찮은 후진, 정찰기능 등 장갑제외 모든걸 가졌지만 (셔먼과 같은 스펙의)스태빌라이저를 제외하면 한 분야에 특화된 차량(예를들어 기동성은 차륜형인 푸마에 밀리고, 화력은 4호 등에 비해 좀 밀리는 등) 특출나게 잘하는거 없이 전체적으로 다재다능한 장비이다.

장점

• 스태빌라이저가 있어서 기동중 사격이나 갑작스러운 적 출몰시 선타치기 편하다
• 75mm M6는 65mm 셔먼의 주포, 포탄과 동일한 성능을 가져서 괜찮은 관통력과 좋은 관통후 피해량을 가지고 있다.
• 경전차답게 좋은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전진 56kph, 후진 23kph로 전진 후진 모두 괜찮은 속도이다.
• 5배율로 나쁘지 않은 배율
• M2 브라우닝 대공 중기관총
• 탄약고 위치가 괜찮은편[4]
• 연막탄 발사기

단점

• 경전차답게 장갑이 없다. 40mm 보포스 대공포를 달고다니는 AMX-13 DCA 40이나 Lvkv 42등의 대전차용 대공전차를 만난다면 한번에 잡거나 포를 무력화시키지 못한다면 정면에서도 매우 쉽게 찢기며 측면을 잡히면 적이 기관포 수준의 무장을 가졌다면 쉽게 뚤린다.
• 스톡이 AP로 M61 APCBC(APHE이다)를 연구해야 사용가능하다.
•경전차 치고는 빠른편은 아니다.


4.2. 브레다 501[편집]


Breda 501
Semovente Ruotato da 90/52 Breda 501
90/52 장착 차륜형 자주포 브레다 501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semovente_breda_50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24브레다 501◎M18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26,000가격(라이언)10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3BR4.0
중량8.9톤최대속도52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3.4°
엔진 출력248마력, 1800RPM등판각°고저각-4/21 °
차체장갑정면 30측면 8후면 8최대 수리 비용2,071
포탑장갑정면 30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9시간 11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 mm 90/53 mod.41 cannon7.8초HE, APCBC3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Granata Perforante da 9012.1Kg758m/초130mm120mm110mm
HEGranata da 9010.1Kg850m/초13mm13mm13mm
APCBCGranata Perforante mod.435011.1Kg773m/초156mm146mm134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2 x 8 mm Breda Mod. 38 machine gun10.4초3,36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90mm 53구경장 41형 대전차포를 탑재한 차륜형 자주포이다. 같은 대포를 장착한 90/53 M41M 자주포에 비해 가속력과 기동성이 향상되어 적의 측면 및 지점 확보 능력이 향상되었고 탄약 적재량도 개선되어 더욱 장기적인 교전이 가능하다. 90mm Granata Perforante mod.43 저저항피모철갑탄은 최대 158mm 장갑 관통이 가능하여 KV 중전차는 물론 독일군의 티거 1 중전차의 차체 전면 장갑도 관통할 수 있다. 비슷한 90/53 M41M 자주포에 비교하자면, 완전히 뻥 뚫린 차체 때문에 항공기 공습과 기관총에 비교적 취약하다는 점이다.[5] 트럭에 대전차포를 얹은 장비이기 때문에 기동성은 다른 동 국가 장갑차에 비해 떨어진다. 또한 후진이 매우 느려 치고 빠지는 플레이가 불가능하기에 운용에 숙련을 요하는 장비이다.

패치로 양 옆에 있던 판이 내려가 거의 모든 방향으로 조준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판이 여기저기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시가전에서 기동성이 꽤 취약해졌다.

주포와 주력탄인 Granta Performamte da 90은 90mm로 티거의 8,8cm와 구경이 비슷하며 티거의 업그레이드탄인 PzGr.처럼 작약이 많아 폭압이 적용되서 관통만 하면 킬을 99% 보장한다.[6] 탄 관통력도 티거의 PzGr.탄과 비슷하다. 전체적으로 8,8cm FlaK 37 Sfl.(대공버스)의 기동성을 매우 올린대신 BR이 4.7으로 올라갔다고 생각하고 사용해도 된다.

후방 기관총 사수 2명이 있다. 근데 기관총이 8mm급인데다가 정면조준이 불가능해서 쓸일은 없다. 한명은 그냥 예비 승무원, 한명은 장전수이다.



5. 4랭크[편집]



5.1. ◉M18[편집]


◎M18
Semovente controcarri M18 da 76/52
대전차자주포 M18 da 76/52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m18_hellcat.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브레다 501◎M18피아트 6614

민첩하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대전차자주포라는 것이 특징[7]

자주포이지만 어지간한 경전차 수준으로 대단히 민첩하고 험지 주파력도 나름 괜찮다, 처음 헬캣 자주포를 탄다면 얇은 장갑 때문에 이질적인 기분을 느낄 수 있지만 특징을 이해하고 숙련되면 여기가서 쏘고 저기가서 쏴서 적을 당황시킬 수 있다.물론 이태리는 장갑이 없고 기동성을 살려 플레이해야하기 때문에 적응해야한다.

76mm M1 강선포는 무난한 성능과 화력을 가졌다, 중형전차 수준의 화력이며 장전 속도도 준수해서 적의 허를 찌르기에 좋다.

또한 대전차자주포임에도 선회 전투실을 갖춰서 모든 방향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SU-122 , 세모벤테 M41/M42 , 3호 돌격포 등 어지간한 대전차자주포가 고정 전투실로 조준 범위에 제한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장점이다.

그런데 민첩하다고 해서 전면에서 나서지 말자, 장갑이 얇아서 기관총 사격에 장갑이 숭숭 뚫리는데 특히 전투실 상부 장갑이 전무하고 전차장이 노출되어 있어서 전투기의 기총 사격에 쉽게 무력화 될 수 있다. 이 헬캣은 우회기동을 하라고 존재하며 차륜형(바퀴)도 아니라서 험지 기동성이 떨어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어딘가로 이동할 때에는 미리 적기의 존재를 파악하는 게 좋고 최대한 우회를 하거나 비어 있는 루트로 가서 적에게 빨리 포를 쏘고 빨리 튀어서 새로운 위치를 선점하는 게 적절하다.

또 원본 헬켓과 다르게 포방패 방수포와 양쪽 스커트가 없다.

5.2. AUBL/FIAT 계열[편집]



5.2.1. AUBL/74[편집]


AUBL/74
FIAT AUBL/74
피아트 AUBL/74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fiat_6616_cockerill.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피아트 6614AUBL/74C13 T90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95,000가격(라이언)260,0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4BR6.7
중량8.5톤최대속도99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8.6°
엔진 출력160마력, RPM등판각°고저각-9/27 °
차체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최대 수리 비용
AB/RB/SB
3,128/5,030/5,046
포탑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3일 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 mm Cockerill Mk.3 cannon9.7초HEATFS, HESH32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ATFSM620A18.3Kg890m/초250mm250mm250mm
HESHM625A11108.2Kg800m/초102mm102mm10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 mm Beretta MG42/59 machine gun10.4초80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피아트 사에서 제작한 AUBL/74 전투장갑차는 90mm Cockerill Mk.3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106mm M40 무반동포와 비교할 경우 발당 위력은 다소 약하지만 M620A1 날개안정 대전차고폭탄은 포구초속과 장전 속도에서 우위를 점한다.

M620A1 대전차고폭탄은 최대 300mm 장갑 관통력을 (현재는 업데이트 이후, 관통력이 50mm 가량 너프를 먹은 상태이다. 최대 관통력: 250mm) 지녀서 주요 교전 상대인 T-54, IS-3, 센추리온, T32 전차의 전면 장갑을 능숙히 관통하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포탄이기 때문에 다른 전차들은 비싼 돈주고 사야하는 포탄이 무료라는 큰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M625A1 점착유탄은 장갑차와 자주대공포를 격파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차륜형 장갑차 특성상 포장 도로에서 쾌속 주행이 가능한데 민첩하기로 유명한 Ru 251 경전차를 앞지를 정도이다. 그리고 FIAT 6614과 차량 베이스가 비슷하기 때문에 안정감있는 운전을 할 수 있으며 후진이 빠르다. 포장 도로를 이용하면 신속한 이동 및 거점 확보가 가능하지만, 늪지대에서는 기동성이 크게 떨어진다. 차량 중량이 겨우 8.2톤에 불과하여 장갑 방호력이 대단히 부족한데, 7.62mm 기관총 사격에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구경 12.7mm 이상의 철갑탄은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한다.

또한 차체가 포 반동을 억제하지 못해 초탄 사격 후 다시 조준해야 하는데 특히 신속 대응 사격이 필요한 순간에 번거롭고, 1km 저격 명중률이 낮아 저격 플레이하기에 부적합하다.

업데이트로 R3 T106 FA와 자리를 맞바꿨다. BR은 그대로 6.7이다.

1.95 업데이트로 AUBL/74 HVG와 함께 야간투시경이 추가되었다.

2020년 4월 8일 잠수함 패치로 BR 6.3이 되었다.


5.2.2. 피아트 6614[편집]


FIAT 6614
FIAT 6614 (M40A1)
피아트 6614 (M40A1)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fiat_6614_106sr.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8피아트 6614AUBL/74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78,000가격(라이언)230,0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4BR6.3
중량8.5톤최대속도111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3.2°
엔진 출력277마력, 3199RPM등판각°고저각-10/12 °
차체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최대 수리 비용
AB/RB/SB
5,488/5,764/5,517
포탑장갑정면 8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4일 2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6 mm Recoilless Rifle Cannone da 106 s.r.M40A113초HEAT, HESH17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ATM344A110Kg502m/초433mm433mm433mm
HESHM361A110Kg498m/초152mm152mm15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 mm M80 machine gun3.2초12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피아트 6614 수송 장갑차에 106mm M40A1 무반동포를 장착하여 자주화 한 기종이다. 수송 장갑차라는 특징 덕분에 빠른 주행성을 겸비하였고 이 덕분에 신속한 거점 점령 및 전술적 가치가 있는 지점을 확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 다른 이탈리아 장갑차들과는 달리 가로로 살짝 넓어 안정적인 운전을 할 수 있다.

106mm M40A1 무반동포는 M361A1 점착유탄과 M344A1 성형작약로켓탄을 장전할 수 있는데 점착유탄은 152mm의 관통력과 콤포지션A 폭약이 3.5kg의 조합을 가지고, 성형작약로켓탄은 최대 433mm의 관통력을 가진다.

차륜형 특유의 우월한 도로 주행성덕에 점령, 기습 공격, 우회에서 큰 위력을 발휘한다. 또한 경전차로 분류되기에 정찰 능력을 부여 받아 지시한 적 전차의 위치를 아군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 그리고 포신이 -10도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헐다운을 시전할 수 있다.

그러나 장갑 방호력이 매우 약하여 7mm급 기관총에도 승무원이 죽을 수 있으며, 중기관총이나 기관포에 맞기 시작하면 개복치마냥 죽는 수준이라 개나소나 M2를 달고다니는 미국은 피아트에게 있어 쥐약이나 다름없다.

포신 선회 속도가 초당 6도로 매우 느린데다, 무반동포 특성상 탄속도 느리며[8] 화학탄밖에 없기에 철조망, 수풀 등 장애물이 많은 맵에서는 활약하기 힘들다. 장전속도도 10초대로 느린편이다. 거기에 포신이 위치한 곳이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등 사격 시 생각할게 많은 차량이다.

부무장 취급인 12.7mm 스포팅 라이플에는 화력을 기대하지 않는것이 좋다. 최대관통력이 7mm에 장탄수도 5발 뿐이다.

툭 튀어나온 해치 때문에 조준이 불편했으나 패치로 인해 이제는 좌 우측으로도 포를 내릴수 있게 되어 어느정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했던 KM900 장갑차는 피아트 6614 장갑차의 면허 생산형이다.



6. 5랭크[편집]



6.1. C13 T90[편집]


C13 T90
C13 T90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c13_t90.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AUBL/74'C13 T90R3 T106 FA

다이렉트 힛 업데이트로 추가된 이탈리아의 경전차이다. M113을 닮은 C13 APC 차량 위에 T90 포탑을 얹어서 만들었다.

기동력은 리얼리스틱 기준으로는 스톡 상태에서도 나름 기동력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전 장비나 다음 장비에 비하면 상당히 느려터졌기 때문에 근접 교전하기에도 애매하다. 그렇다고 해서 장갑이 좋은 것도 아니다. APC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중기관총에는 쉽게 뚫리는 면모를 보인다. 그 때문인지 개시 이후 공방에서는 보기가 드물 정도이다.
또한 주포는 AUBL/74와 동일한 주포를 쓰기 때문인지 여전히 비루한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 여러모로 답이 없어 보이는 수준이다.


6.2. R3 T106 FA[편집]


R3 T106 FA
OTO R3 T106 FA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oto_r3_106sr.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C13 T90R3 T106 FA첸타우로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170,000가격(라이언)440,0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5BR7.0
중량3.5톤최대속도127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9.5°
엔진 출력181마력, 4200RPM등판각°고저각-7/10 °
차체장갑정면 33측면 15후면 15최대 수리 비용
AB/RB/SB
5,094/9,363/11,979
포탑장갑정면 0측면 0후면 0무료 수리 시간5일 4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6 mm Recoilless Rifle Cannone da 106 s.r.M40A1 2정13초HEAT, HESH10(5+5)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ATM344A110Kg502m/초433mm433mm433mm
HESHM361A110Kg498m/초152mm152mm15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2 x 12.7 mm M80 machine gun3.2초24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106mm M40A1 무반동포 2문을 장착한 자주무반동포. 무반동포 2문을 동시에 사격하기 때문에 위력은 2배 향상되었으며 사격 키를 세분화하여 개별적으로 사격할 수 있다. FIAT 6614 (M40A1)와 비교 시 대전차 능력이 2배 향상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포신의 선회 속도가 향상되어 근거리 교전 혹은 적의 기습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6문의 포가 하나로 취급되는 미국의 온토스와 달리 양 포가 별개로 취급된다. 오른쪽 포가 주포, 왼쪽 포가 부포이다. 온토스는 무조건 좌측포 먼저 소진 후 우측포를 쏴야 하고 다 쏘고 나서야 장전이 가능하지만 OTO R3 T106 FA는 원하는 포를 골라 쏠 수 있고 장전도 별개라 운용이 훨씬 유연하다.[9] 거기다 주포로 적을 맞추는데 실패해도 부포로 다시 사격할 기회가 있어 실수를 어느 정도 완화해 준다는 것도 아주 좋은 점. 탄종을 따로 설정도 되며 포 하나만 피격되면 나머지 포들은 못 쓰는 온토스와 달리, 하나가 파괴되어도 나머지 포는 멀쩡하게 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장갑차 고유의 장점인 빠른 주행성은 여전히 이어졌으며 경전차로 분류되어 정찰 행위 및 아군의 야전 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포탄 적재량은 10발밖에 안되는데 주포가 두개 달려있어, 이 10발마저 5번 쏘면 금방 소모한다. 전 단계에서 쭉 이어지는 장갑 방호력의 결여 또한 치명적인 단점이다. 전전단계인 FIAT 6614와는 다르게 포신이 잘 내려가지 않아 헐다운을 시전하기 어렵다.

특징으로는 이탈리아 대공포 트리에 있는 R3 T20 FA-HS과 같은 차량 베이스이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유사하다.

업데이트로 AUBL/74와 자리를 맞바꿨다.

업데이트로 BR이 6.7에서 7.0이 되었다.

1.89 업데이트로 후진시 30km/h 정도 달릴 수 있게 되었다.

고질적인 버그가 있는데 힛탄,해쉬탄 두개 다 들면 좌측포만 탄종 변경 할수 있다 우측은 힛탄 고정이라서 만약 해쉬탄만 남으면 우측포는 사용 불가능이 된다. 부포 취급을 하면서 생긴 결함이다. 하지만 힛탄이 좋아 해쉬탄은 안쓰다 보니 큰 문제는 없다.


7. 6랭크[편집]



7.1. VCC-80/60[편집]


VCC-80/60
VCC-80/60
60mm 자동장전 탑재형 다르도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vcc_80_hitfist_60.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첸타우로 ROMORVCC-80/60센타우로 MGS

"Winged Lions"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장갑차. 다르도 장갑차의 무장을 이탈리아의 오토멜라라와 이스라엘의 IMI가 공동개발한 HVMS 60/70 OTO-Melara 기관포[10]로 교체한 차량이다. 60밀 다르도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자동장전기가 있어서 단 2초마다 발사할 수 있으며 준비탄 수량은 약실 1발+16발이다. 그외 예비탄은 16발로 포탑에 들어간다. 주력 포탄은 M300 날개안정분리철갑탄으로 이탈리아 프리미엄 차량인 AUBL/74 HVG가 쓰는 것과 동일하다. 관통력이 249 mm로 높지는 않으나 동 BR대 차량들은 무리없이 관통할 수 있다.

업탄으로 VT탄이 있어서 대공도 가능하다. 베글라이트가 쓰는 비슷한 구경의 57 mm VT탄과 비슷한 성능이라 위력이 좋다. 대공포로는 조금 부족한 연사력이나, 포탄의 성능이 좋아서 유사 대공포로도 활용할 수 있다.

포수 1세대 열상과 레이저 거리 조준기 및 전차장 사격 기능이 있는 CITV 등 소프트 스펙도 충실하다.

이렇게만 보면 좋아 보이는 차량이나 단점들도 상당하다.

일단 AUBL이 그렇듯 60 mm 날탄은 파편이 매우 적은 유사 경심철갑탄 수준의 포탄이라 정확한 약점 사격 능력을 요구한다. 탄자 내구도도 나빠서 어디 잘못 맞추면 탄이 증발해 버리는 경우도 상당하다. 또한 2초 장전도 빠르다곤 하나, 기관포 치곤 구경대비 그리 빠른 편은 아니라서 부족한 파편과 함께 화력이 애매하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먼저 적을 관통시켜도 승무원만 하리보로 만들고 마는 경우가 많은데, 2초가 은근히 길다보니 차탄넣기 전에 반격당하는 경우가 꽤 있다. 그리고 연사력이 훨씬 빠른데다 미사일까지 가진 IFV들 상대로 우위에 있다고 보긴 힘들어서 이들과도 정면상대는 안심하기 힘들다.

탄약 적재량도 60 mm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적은 33발이다. 포탑에 맞고 유폭사 하기 싫다면 17발만 실어야 하는데, 날탄 위력이 나빠 여러번 쏴야 하는 경우가 많고 VT탄 까지 실어야 하므로 그러기가 어렵다. 승무원 3명 중 2명이 포탑에 꼭 붙어서 타므로, 포탑맞고 격파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그냥 다 채우고 다녀도 상관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준비탄 채우는 속도가 발당 17초 이상이라는 매우 느린 속도라 현자타임이 지나치게 길다. 거의 120 mm급 포탄을 옮기는 수준의 속도. 화력도 뭔가 나사 빠진 느낌인데 그마저도 오래 지속할 수 없다. 고작 6 kg짜리 포탄 옮기는데 드는 시간이 뭐가 그렇게 기냐는 불만이 많다.

처음 소개될 때만 하더라도 대공도 가능한 이탈리아판 HSTV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그 기관포 화력이 거품에 가깝다는 것이 밝혀져서 HSTV만큼의 명품은 아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BR 혹은 준비탄 채우는 속도가 버프받기 전까진 평가가 바뀌긴 힘들 것이다. 단번에 탄약고를 정확하게 뚫을 수 있는 약점사격 실력을 가진 사람이면 재미있게 탈 수 있으나, 재미 이상의 성능을 갖기는 힘들다.

7.2. 센타우로 계열[편집]



7.2.1. 센타우로 I 105[편집]


Centauro I 105
Blindo presante Centauro, Preserie
블린도 아르마타 B1 첸타우로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b1_centauro.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R3 T106 FA첸타우로첸타우로 ROMOR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170,000가격(라이언)44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5BR8.7
중량27톤최대속도119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7.8°
엔진 출력909마력, 2400RPM등판각°고저각-6/16 °
차체장갑정면 35측면 25후면 20최대 수리 비용
AB/RB/SB
4,180/6,769/5,579
포탑장갑정면 25측면 25후면 15무료 수리 시간6일 19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 mm OTO Melara 105/52 cannon8.7초APFSDS, HEATFS, HESH, Smoke4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ATFSM456무료10.5Kg1173m/초400mm400mm400mm
APFSDSM7351103.7Kg1501m/초353mm342mm333mm
APFSDSDM232103.79Kg1455m/초337mm330m322mm
HESHM39318014.85Kg732m/초145mm145mm145mm
SmokeM4163011.4Kg730m/초---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2 X 7.62 mm Beretta MG42/59 machine gun10.4초AP/P6,500(2,000+4,50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워 썬더 이탈리아 경전차 라인업의 대표를 넘어 이탈리아 지상군의 상징과도 같은 장륜 장갑차이다.

원래 구축전차 판정이였는데 특이하게 아군 수리와 정찰이 가능했다. 이후엔 아예 경전차로 변경.

우선 105mm 오토멜라라 105/52 전차포를 탑재하여 T-62, M60A1, 치프틴 등 2세대 전차를 위협할 수준의 무장을 갖추었으며 1세대 포수 열상을 장비하였다. 스테빌라이저는 존재하지만 시속 75km가 넘어가면 흔들림을 잡지 못한다. 75km에서 기동사격을 하는건 좀

방호력은 사실상 없는 수준으로 20mm 기관포 사격에 치명상을 입는다. 대신 차체 전면 상부 장갑은 경사각을 극대화하여 단순 장갑 두께는 얇더라도 경사 각도에 의해 점착유탄을 도탄내는 경우도 존재할 만큼 도탄각이 뛰어나다.

주행성 및 험지 기동성이 개선되어 AUBL/74 및 피아트 6614 장갑차와는 다른 뛰어난 주행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차륜형 장갑차 특성상 산악과 흙밭 등 비포장 도로 및 험지 가속력과 기동성은 궤도 차량에 비해 느리며, 포 반동을 이기지 못해 옆을 보고 쏠 경우 차체가 크게 흔들린다는 점과 부각이 -6도라는 단점이 있다.

좋은 기동성과 105mm 날대탄 및 분리철갑탄, 1세대 포수 열상을 장비함으로써 8.0BR에서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

2021년 7월 13일 업데이트로 첸타우로 ROMOR과 가까워졌다. BR이 대폭 상승함과 동시에 분철이 삭제되고 M456 대탄이 기본탄으로 변경되었으며, M735 및 DM23 날탄이 각각 I티어와 IV티어에 추가되었다.


7.2.2. 센타우로 I 105 R[편집]


Centauro ROMOR
Blindo pesante Centauro, Serie 1, ROMOR
블린도 페산테 첸타우로, 세리에 1, ROMOR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b1_centauro_romor.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첸타우로첸타우로 ROMORVCC-80/60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차종구축전차랭크VIBR9.0
(AB)
9.0
(RB)
9.0
(SB)
승무원 인원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28.0 톤시인성84 %포탑 회전 속도20.1°/초
(AB)
13.6°/초
(RB)(SB)
엔진변속기전진 기어: 5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39 마력 | 2400 rpm
(AB)
460 마력 | 24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120 km/h | 후진: 43 km/h
(AB)
전진: 110 km/h | 후진: 40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5 mm25 mm20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1,950파일:19px-Sl_icon.png
(AB)
3,000파일:19px-Sl_icon.png
(RB)
1,93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25 mm25 mm15 mm무료 수리 시간5일 01시간
(AB)
10일
(RB)
9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 - VII 랭크
필요 RP22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58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17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20%파일:13px-Rp_icon.png
(AB)(SB)(RB)
2.2×(100%)
(AB)(SB)(RB)
보상 9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00%파일:19px-Sl_icon.png
(SB)
0.9×(100%)
(AB)
1.3×(100%)
(RB)
1.0×(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8.0x-12.0xNVD 종류포수열영상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LWS/LR[1]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9-6NVD 성능포수1세대, 500x300 해상도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1] Laser warning system and Laser rangefinder, 레이저 경보 시스템/거리 측정기로 아직 미번역 상태다.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05 mm 오토 멜라라 105/52 전차포8.7 초
(기본)
6.89 발/분
(기본)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SH (점착유탄)
연막 (연막탄)
4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6° / +16°±180°20°/초
(AB)
14°/초
(RB)(SB)
11°/초
(AB)
4.5°/초
(RB)(SB)
2축수동 장전16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HEATFSM456무료105 mm10.5 kg1173 m/s콤포지션 B970 g
연막M41640파일:19px-Sl_icon.png105 mm11.4 kg730 m/s연막 조성물50 g
HESHM393A2110파일:19px-Sl_icon.png105 mm14.85 kg732 m/s콤포지션 A2.99 kg
APFSDSM735110파일:19px-Sl_icon.png105 mm3.7 kg1501 m/s--
APFSDSDM33220파일:19px-Sl_icon.png105 mm3.79 kg1455 m/s--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HEATFSM4561.27 kg0.05 m0.1 mm---
연막M41650 g연막 차장 범위: 20 m
연막 차장 시간: 5초
연막 차장 지속시간: 25 초
HESHM393A24.31 kg0.05 m0.1 mm---
APFSDSM735------
APFSDSDM33------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HEATFSM45665°72°77°
연막M416---
HESHM393A273°77°80°
APFSDSM73576°77°80°
APFSDSDM3378°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400mm400mm400mm400mm400mm400mm
연막M416------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353mm350mm342mm333mm322mm312mm
APFSDSDM33408mm405mm398mm389mm379mm37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346mm346mm346mm346mm346mm346mm
연막M416------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274mm271mm265mm258mm250mm242mm
APFSDSDM33344mm342mm336mm328mm320mm312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200mm200mm200mm200mm200mm200mm
연막M416------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166mm164mm161mm156mm151mm146mm
APFSDSDM33236mm234mm230mm225mm219mm214mm

부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2 mm 베레타 MG42/59 기관총 ×2AP (철갑탄)
T (예광탄)
6500 발
(동축기관총 4500 발)
(포탑기관총 2000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10mm9mm7mm4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9mm8mm6mm3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4mm3mm3mm2mm0mm0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첸타우로 강행정찰장갑차의 차체 및 포탑에 ROMOR-A ERA을 장착하여 화학탄 방호 능력을 개선하였으며 새로운 DM33 날탄을 받았기 때문에 대전차전 화력이 더욱 강해졌다.

DM33은 105mm 날탄 중에서도 M900, DM63, M833 다음으로 관통력 높다. 동급 M774 보다 좋기 때문에 105mm의 만성적인 파편 부족 문제 빼고는 BR 10.0 전차들을 상대할만하다.

B1 첸타우로 그 특유의 가속력은 여전히 이어졌다, 포장된 도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건 흔히 볼 수 있는 경우이며 비록 6랭크 전차전에서 화학탄이 사용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으나 그래도 ROMOR-A 반응 장갑은 종종 소구경 화학탄 정도는 운좋게 방호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기존의 B1 첸타우로를 강화하였다는 점은 명백하나 포탑 측면의 연막탄 발사기가 제거되었고, 장륜 장갑차 특성상 험지 기동성이 느리다는 점은 여전하다. 가장 큰 문제점은 장갑차의 한계로 인한 낮은 장갑 방호력인데 6랭크의 전차는 성능이 향상되었고 더욱 강력한 포탄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 포탄 도탄 현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일단 포탄에 적중되면 첸타우로 ROMOR는 손쉽게 파괴된다. 사실상 이전 첸타우로에 APFSDS탄만 추가된거나 마찬가지. 그러고서 BR은 1.0이나 올라갔다.

잠수패치로 기본탄이 HEATFS으로 변경되었다.

패치로 BR이 9.0까지 내려왔다.

하지만 영국 트리에 비슷한 차륜형 장갑차 포지션인 루이캇트 105가 열상, 기본 DM23을 들고나온 마당에 BR 8.7로 출시되었다. 심지어 프리미엄 전차라 루이카트는 스톡이 없어 센타우로 ROMOR는 덱 짜기도 묘한 포지션이 되었다.



8. 7랭크[편집]



8.1. 센타우로 I 120[편집]


Centauro MGS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it_centauro_mgs_120.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VCC-80/60첸타우로 MGS(추가 예정)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차종구축전차랭크VIIBR10.0
(AB)
10.3
(RB)
10.3
(SB)
승무원 인원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25.0 톤시인성136 %포탑 회전 속도25.2°/초
(AB)
17.0°/초
(RB)(SB)
엔진변속기전진 기어: 5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39 마력 | 2400 rpm
(AB)
460 마력 | 24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120 km/h | 후진: 43 km/h
(AB)
전진: 110 km/h | 후진: 40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20 mm15 mm1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2,412파일:19px-Sl_icon.png
(AB)
5,306파일:19px-Sl_icon.png
(RB)
5,145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20 mm20 mm20 mm무료 수리 시간5일 16시간
(AB)
12일
(RB)
11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I - VII 랭크
필요 RP39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2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9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9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10%파일:19px-Sl_icon.png
(SB)
0.9×(100%)
(AB)
1.3×(100%)
(RB)
1.1×(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8.0x-12.0xNVD 종류포수열영상
전차장열영상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LWS/LR[1]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9-6NVD 성능포수2세대, 800x600 해상도
전차장2세대, 800x600 해상도
조종수야시경
[1] Laser warning system and Laser rangefinder, 레이저 경보 시스템/거리 측정기로 아직 미번역 상태다.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20 mm 오토 멜라라 120/45 전차포6.5 초
(기본)
9.23 발/분
(기본)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33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6° / +16°±180°25°/초
(AB)
24°/초
(RB)(SB)
39°/초
(AB)
11°/초
(RB)(SB)
2축수동 장전9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HEATFSDM12A1무료120 mm13.5 kg1140 m/s콤포지션 B1.64 kg
APFSDSDM33110파일:19px-Sl_icon.png120 mm4.3 kg1640 m/s--
APFSDSCL3143230파일:19px-Sl_icon.png120 mm5.6 kg1705 m/s--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HEATFSDM12A12.15 kg0.05 m0.1 mm---
APFSDSDM33------
APFSDSCL3143------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HEATFSDM12A165°72°77°
APFSDSDM3378°80°81°
APFSDSCL314378°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DM12A1480mm480mm480mm480mm480mm480mm
APFSDSDM33481mm478mm470mm461mm450mm440mm
APFSDSCL3143625mm622mm613mm601mm588mm575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DM12A1416mm416mm416mm416mm416mm416mm
APFSDSDM33406mm403mm397mm389mm380mm371mm
APFSDSCL3143527mm525mm517mm507mm496mm485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DM12A1240mm240mm240mm240mm240mm240mm
APFSDSDM33278mm276mm272mm266mm260mm254mm
APFSDSCL3143361mm360mm354mm347mm340mm332mm

부무장 1
[ 펼치기 · 접기 ]
명칭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2.7 mm M2HB 기관총AP (-2 (M2 철갑탄)
API-T (M20 철갑소이예광탄)
I (M1 소이탄)
1080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31mm30mm26mm22mm18mm15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27mm26mm22mm19mm16mm13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12mm11mm10mm8mm7mm6mm

부무장 2
[ 펼치기 · 접기 ]
명칭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2 mm 베레타 MG42/59 기관총 ×2AP (철갑탄)
T (예광탄)
6500 발
(동축기관총 4500 발)
(포탑기관총 2000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10mm9mm7mm4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9mm8mm6mm3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4mm3mm3mm2mm0mm0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76 mm 연막탄 발사기 ×88 초13 m2 초20 초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이탈리아의 방산업체인 레오나르도 디펜스 시스템스에서 제작 한 HITFACT-1 포탑을 장착한 첸타우로 강행정찰장갑차로 2003년 사우디 아라비아의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IDEX 2003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실제로 같은 해 오만이 이 첸타우로 MGS를 9대 주문하였고 현재까지 운용 중이라고 한다

기존의 첸타우로 시리즈와 비교하면 몇 가지 부분이 달라졌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20mm 오토 멜라라 120/45 활강포를 탑재했다는 점이다 최대 625mm 두께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는 CL 3143 날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승무원 스킬 부분에서 전차장의 지휘력과 탄약수의 장전 속도를 MAX로 하고 에이스 자격증을 취득하면 발당 5초라는 정신나간 화력 투사 능력을 자랑한다

CL 3143 날탄은 레오파르트 2A6 전차의 120mm DM53(최대 관통력 652mm)에 이어 워 썬더에서 2번째로 관통력이 강한 철갑탄이다 이러한 포탄을 5초마다 쏘고 있으니 워 썬더에서 존재하는 모든 전차들 중에서 이거 버틸 수 있는 전차는 없다
장갑차 주제에 강력한 전차라고 평가되는 M1A2 에이브람스 , 챌린저 2 , 90식 전차 , Strv 122 등 현대적인 전차들을 아득히 능가하는 화력 투사 능력이 첸타우로 MGS의 가장 큰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광학장비도 꽤 훌륭하다 레이저 경보시스템을 장착하였는데 이 덕분에 적이 조사하는 레이저를 역추적 하여 레이저를 발사하는 적의 위치를 탐지하고 자신이 적에게 조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탑재한 것은 당연하였다

장갑 방호력은 발전하였지만 오히려 중량은 이전의 첸타우로 ROMOR에 비하면 3톤 가벼워진 25톤이다 덕분에 추중비가 개선되었고 장갑 방호력은 ZSU-23-4 쉴카의 23mm 철갑탄을 정면에서는 능히 방어하고 BMP-2의 30mm 철갑예광탄은 거리가 벌어지면 어느정도 막아낸다 정면으로는 종종 베글라이트판처의 57미리 철갑유탄도 튕겨내거나 버틴다 하지만 전차포탄을 막을 수준은 아니니 너무 맹신하지 말자 또한 위 첸타우로 시리즈랑 똑같이 부각
이 -6도로 그리 좋진 않다.

또한 센타우로 ROMOR에 이르러 삭제된 연막탄 발사기가 다시 장착되었다 76mm 연막탄은 8발이 장착되었다

8륜 차량이다 보니 교전 중 포탄이나 파편에 의해 타이어가 하나 펑크 나더라도 어느정도 기동이 가능하다 궤도가 터지면 주행이 되지 않는 궤도식 차량에 비하면 나은 수준이다 타이어가 많이 터질 수록 기동성은 떨어지니 타이어 하나 터지면 바로 빠져서 펑크난거 메우자

물론이지만 열상도 달려있다 포수열상과 전차장열상이 동시에 장착되었는데 화질은 모두 2세대급으로 나름 선명하게 열을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다

준비탄이 9발 밖에 되지 않아서 오랫동안 빠른 속사 능력은 부족하다 하지만 준비탄 채워넣는 속도가 발당 10초로 그리 답답한 수준은 아니고 날탄의 관통력이 어마어마 하게 강력해서 준비탄 9발을 텅 비우는 경우는 딱히 없다

첸타우로 MGS는 워 썬더에 있는 차륜형 장갑차 중에서 기능적으로나 무장면에서나 1등급 수준이다 차량의 기능적 특성은 차륜형 장갑차 중에서 딱히 모난 곳도 없고 이런 차량을 즐겨 운용했다면 센타우로 MGS도 무리없이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무장이나 전자광학 분야 등 소프트웨어 분야까지 합하면 어지간한 타국 주력 MBT와 대등한 수준이거나 일부 주력전차보다 월등한 성능을 갖춘다

즉 장갑만 튼튼했다면 빼도박도 못할 전차가 되었을 것이다, 성능이나 무장도 좋은데 수리비는 리얼리스틱 모드 풀업 기준으로 6110 실버라이언으로 꽤 저렴하다 이탈리아 주력전차 아리에테보다 4000~5000 싼 수준. 차륜형 장갑차나 장갑차에 포탑 올라간 거 취향인 사람에게 권할만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7:39:42에 나무위키 워 썬더/지상 병기/이탈리아 트리/경전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장전 시간 자체는 47mm가 20mm 기관포 한 탄창 장전시간보다 빠르다. 따라서 20mm보다 나을 수도 있다.[2] 포방패를 제외한 전방위 장갑 수치가 8mm에 불과하다.[3] 약점사격시 꽤 원거리에서도 T-34를 격파 가능하다.[4] 터렛 밑에 모여있다. 티거 판터같이 정말 아무데나 있는것에 비해 탄약고를 피격당할 확률이 눈에 띄게 적으며 25발(24발 탄약고 1발 약실)만 가져가면 뒤에서 보는 기준으로 탄약고 오른쪽반을 비울수 있다.[5] 90/53 M41M은 정면과 후면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의외로 생존성이 좋다.[6] 가끔 어이없게 뚫었는데도 안되는 경우, 그리고 너무 장갑이 얇아서 신관이 작동하지 않은경우, 연료통,엔진, 트랜스미션 등이 탄을 먹은 경우[7] 해당 이유로 이 차량은 현실에서는 대전차자주포이지만 워썬더에서는 경전차로 분류된다.[8] M361A1 점착유탄은 초속 498m, M344A1 성형작약로켓탄은 초속 503m[9] 기본 조작키 설정은 부포와 주포를 동시에 쏘게 되어있으므로,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주포와 부포 조작을 미리 설정해두는 것이 좋다.[10] 이스라엘이 개량한 셔먼이자 칠레 육군에 도입된 M-60이 동일한 주포를 쓴다. 향후 이스라엘 지상 트리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