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틴 애덤스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2d72><width=20%><colcolor=#fff> 투수 ||<colbgcolor=#fff,#191919><colcolor=#ff5910,#ef4900> 23 피터슨 · 25 레일리 · 34 센가 · 38 메길 · 39 디아즈 · 40 스미스 · 47 루케시 · 50 빅포드 · 62 퀸타나 · 70 부토 · 71 리드-폴리 · 75 개럿 · 91 워커 · 93 하트윅 · # 세베리노 · # 애덤스 · # 톤킨 · # 로페즈 · # Y.라미레즈 · # 하우저 ||
|| 포수 || 2 나바에즈 · 4 알바레스 · # 하이네만 ||
|| 내야수 || 1 맥닐 · 10 마우리시오 · 12 린도어 · 20 알론소 · 22 베이티 · 27 비엔토스 · # 아쿠냐 · # 쇼트 · # 웬들 ||
|| 외야수 || 6 마르테 · 9 니모 · 29 스튜어트 · # A.라미레스 · # 험멜 · # 테일러 ||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카를로스 멘도사 파일:미국 국기.svg 존 기븐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헤프너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로사도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반즈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차베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안토안 리차드슨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사보어 ||
||<-2><bgcolor=#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시라큐스 메츠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오스틴 애덤스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70번
결번오스틴 애덤스
(2017~2019)
벤 브레이머
(2020)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63번
롭 윌렌
(2017~2018)
오스틴 애덤스
(2019)
디에고 카스티요
(2021~202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4번
에릭 야들리
(2019)
오스틴 애덤스
(2020~2022)
결번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55번
제이크 파리아
(2021)
오스틴 애덤스
(2023)
결번
뉴욕 메츠 등번호 번
오스틴 애덤스
(2024~)
현역

파일:디백스오스틴애덤스.webp
뉴욕 메츠 No.
오스틴 애덤스
Austin Adams
본명오스틴 랜스 애덤스
Austin Lance Adams
출생1991년 5월 5일 (33세)
플로리다 주 탬파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제프리힐스 고등학교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신체190cm / 100kg
포지션불펜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2년 드래프트 8라운드 (전체 267번, LAA)
소속팀워싱턴 내셔널스 (2017~2019)
시애틀 매리너스 (2019)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0~202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3)
뉴욕 메츠 (2024~)
계약1yr / $
연봉2024 / $




1. 개요[편집]


뉴욕 메츠 소속 우완 투수로 한때 샌디에이고의 롱릴리프 역할을 맡았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워싱턴 내셔널스[편집]




2.2. 시애틀 매리너스[편집]




2.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편집]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오스틴 아담스.jpg

2.4.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편집]


2023 시즌을 앞두고 애리조나와 마이너 계약을 맺은 뒤 5월 20일 콜업되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2.5. 뉴욕 메츠[편집]


2023년 11월 30일, 메츠와 메이저 스플릿 계약을 맺었다.

3. 연도별 기록[편집]


파일:MLB 로고.svg 오스틴 애덤스의 역대 MLB 기록
년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ERA+fWARbWAR
2017WSH6000053.604081102.4001330.00.0
20182000010.00103004.000-0.10.1
년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ERA+fWARbWAR
2019WSH/SEA3022010323.94204161531.1251130.70.6
년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ERA+fWARbWAR
2020SD3000144.50312071.2501010.00.0
2021653201152⅔4.102813524761.196950.20.2
2022210002⅓0.00003021.286-0.00.1
년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ERA+fWARbWAR
2023ARI24010717⅓5.7116185221.385780.2-0.2
MLB 통산
(7시즌)
13265029114⅓4.1772775311701.2861011.00.7


4. 여담[편집]


  • 2021년 9월 13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다저스전에서 0:6으로 뒤진 8회 등판해 5연속 출루에 3연속 몸 맞는 볼을 기록해 공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제구력이 엉망이 아닌데 슬라이더가 말썽이다. 직구의 비중이 적고 슬라이더에만 의존하는데 영점조절이 안되어 타자들을 맞히는 것이다. 48⅔이닝에 23사구로 1909년 잭 워홉이 기록한 26사구 이후로 최다 기록이다. 워홉은 243⅓이닝을 던졌는데, 그의 5분의 1밖에 던지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 9월 17일 카디널스전에서 야디어 몰리나를 맞춰 52이닝 24HBP로 시즌을 마무리함으로써 라이브볼 시대 이후 최고기록을 세웠다.


5. 관련 문서[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8:21:54에 나무위키 오스틴 애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