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황사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오스만 제국 황조
1299년 ~ 192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장.svg
국장
스타일황제폐하
초대 군주오스만 1세
마지막 군주메흐메트 6세
관저톱카프 궁전, 돌마바흐체 궁전 ,이을드름 궁전
군주 직함베이 (1299년~1383년)
술탄 (1383년~1922년), 파디샤(황제) (1453년~1922)[1]
통치 국가오스만 제국(1299년~1922년)
거주지쇠위트,부르사, 에디르네, 이스탄불

파일:오스만 술탄 모든 사진.jpg

[2]

1. 개요
2. 설명
3. 목록
4. 가계도 및 갤러리
5. 기록
6. 취미
6.1. 기타 취미
6.2. 시인
6.3. 작곡가
6.4. 서예가
6.5. 운동
7. 여담
8. 매장지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오스만 제국 황제들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2. 설명[편집]


'황제'로 불리는 것은 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로마 황제'를 자칭했는데 이것이 오스만 제국 군주의 공식 명칭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술탄'이라는 명칭도 관습상 계속해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러시아의 차르와 비슷한 경우다.

참고로 여기 나온 황제 이름들은 현대 튀르키예식 발음이다. 아랍식 발음은 좀 다르다. 예를 들어 메흐메트: 무함마드(مُحَمَّد), 압뒬하미트: 압둘하미드(عَبْدُ الْحَمِيد)[3], 쉴레이만: 술라이만(سُلَيْمَان)에 대응한다. 현대 튀르키예어에서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인명들 중 끝이 'd'로 끝나는 것을 't'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이를테면 메흐메트(Mehmet), 무라트(Murat) 같은 이름들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전에는 아랍 문자의 'd' 음가로 표기하여 메흐메드(Mehmed), 무라드(Murad)로 표기했지만 튀르키예어 발음에서 유성음이 끝에 위치하면 무성음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음상으로는 끝에 d가 오든 t가 오든 둘 다 무성음 t발음으로 나므로 의미가 없다. 오늘날에도 오스만 제국을 지지하는 이슬람주의자들은 오스만어에 기반한 옛날식 표기를 고수하기 때문에 튀르키예에서는 이 d와 t의 차이가 굉장히 중요하며 해당 저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데도 유용한데 같은 압뒬하미트도 세속주의자 학자들은 Abdülhamit, 이슬람 성향의 학자들은 Abdülhamid, 오스만 복고주의자나 친아랍주의자들은 아예 아랍식 철자로 Abd-ül Hamid로 쓰기 때문에 철자만으로 해당 저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3. 목록[편집]


대수이름즉위년일퇴위년일비고
00파일:download-46-1.jpg에르투으룰 가지(Ertuğrul Gazi)[4]12301281
01파일:오스만 1세.jpg오스만 1세(Gazi Birinci Osman)(1281)12991324
02파일:Orhan_Gazi.jpg오르한(Orhan Gazi)1324?1360
03파일:220px-Murat_Hüdavendigar.jpg무라트 1세 휘다벤디갸르(Birinci Murat Hüdavendigâr)13601389.6.15
04파일:바예지트 터키.jpg바예지트 1세 '뇌제'(Yıldırım Sultan Bayezit)1389.6.151402.7.20
혼란기 (1402~1413)[5]
05파일:메흐메트 1세.jpg메흐메트 1세(Birinci Mehmet)1413.7.51421.5.26
06파일:1200px-II._Murat.jpg무라트 2세(İkinci Murat)[6]1421.6.251444
07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entile_Bellini_003.jpg메흐메트 2세 '정복제'(Fatih Sultan Mehmet)[7]14441446
-무라트 2세(İkinci Murat)[8]14461451.2.3
-메흐메트 2세 '정복제'(Fatih sultan İkinci Mehmet)[9]1451.2.31481.5.3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08파일:Bayezid.webp바예지트 2세 '정의제'(Veli İkinci Bayezit)1481.5.191512.4.25
09파일:셀림1세.jpg셀림 1세 '엄격제'(Yavuz Sultan Selim Han)[10]1512.4.251520.9.21칼리파 지위 획득
10파일:EmperorSuleiman.jpg쉴레이만 1세 '대제', '입법제'(Kanuni Sultan Süleyman)1520.9.221566.9.5최장 즉위(45년 359일)
1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lim_II.jpg셀림 2세(İkinci Selim)1566.9.291574.12.21
12파일:Sultan_Murad_III.jpg무라트 3세(Üçüncü Murat)1574.12.221595.1.16
13파일:Sultan_Mehmet_III_of_the_Ottoman_Empire.jpg메흐메트 3세(Üçüncü Mehmet)1596.1.271603.12.20
14파일:Sultan_I._Ahmet.jpg아흐메트 1세(Birinci Ahmet)1603.12.211617.11.22
15파일:Mustafa_I_portrait.jpg무스타파 1세(Birinci Mustafa)[11]1617.11.221618.2.26
16파일:오스만 2세.jpg오스만 2세(İkinci Osman)1618.2.261622.5.19
-무스타파 1세(Birinci Mustafa)[12]1622.5.201623.9.10
17파일:무라트 4세.jpg무라트 4세(Dördüncü Murat)1623.9.101640.2.8
18파일:이브라힘 1세.jpg이브라힘(İbrahim)1640.2.91648.8.8
19파일:Sultan_Mehmed_IV_(2).jpg메흐메트 4세(Dördüncü Mehmet)1648.8.81687.11.8중흥기·쇠퇴기
20파일:Süleyman_II.jpg쉴레이만 2세(İkinci Süleyman)1687.11.81691.6.22대 튀르크 전쟁
21파일:Ahmet_II.jpg아흐메트 2세(İkinci Ahmet)1691.6.221695.2.6
22파일:II._Mustafa.jpg무스타파 2세(İkinci Mustafa)1695.2.61703.8.22카를로비츠 조약
23파일:오스만 터키 아흐메트 3세.jpg아흐메트 3세(Üçüncü Ahmet)1703.8.221730.10.1파사로비츠 조약
24파일:오스만 마흐무드 1세.jpg마흐무트 1세(Birinci Mahmut)1730.10.21754.12.13베오그라드 조약, 2차 중흥
25파일:오스만 3세.jpg오스만 3세(Üçüncü Osman)1754.12.131757.10.29
26파일:오스만 무스타파 3세.jpg무스타파 3세(Üçüncü Mustafa)1757.10.301774.1.21다시 쇠퇴기
27파일:오스만 압뒬하미트 술탄.jpg압뒬하미트 1세(Birinci Abdülhamit)1774.1.211789.4.6
28파일:셀림 3세.jpg셀림 3세(Üçüncü Selim)1789.4.71807.5.29
29파일:IV._Mustafa.jpg무스타파 4세(Dördüncü Mustafa)1807.5.291808.7.28
30파일:MahmutII.jpg마흐무트 2세(İkinci Mahmut Han)1808.7.281839.7.1
31파일:220px-Sultan_Abdulmecid_Pera_Museum_3_b.jpg압뒬메지트 1세(Birinci Abdülmecit Han)1839.7.11861.6.25크림 전쟁
32파일:Abdulaziz.jpg압뒬아지즈(Abdülaziz Han)1861.6.251876.5.30
33무라트 5세(Beşinci Murat Han)1876.5.301876.8.31최단 즉위(93일)
34압뒬하미트 2세(İkinci Abdülhamit Han)1876.8.311909.4.27산 스테파노 조약, 발칸 반도 상실
35메흐메트 5세(Beşinci Mehmet Reşat Han)1909.4.271918.7.3제1차 세계 대전 패배, 세브르 조약
36파일:바히데틴.jpg메흐메트 6세(Altıncı Mehmet Vahidettin Han)1918.7.31922.11.1최후의 술탄
폐위 이후 수니파 칼리파
37압뒬메지트 2세(Halife İkinci Abdülmecit)1922.11.191924.3.3최후의 칼리파
오스만 가의 수장[13]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Altıncı Mehmet Vahidettin Han)1922.11.1(1922.11.19)1926.5.16[14]
-압뒬메지트 2세(Halife İkinci Abdülmecit)1924.3.3(1926.5.16)1944.8.23
38아흐메트 니하트(Ahmet Nihat Osmanoğlu)1944.8.231954.6.4
39오스만 푸아트(Osman Fuat Osmanoğlu)1954.6.41973.5.19
40메흐메트 압뒬아지즈(Mehmet Abdülaziz Osmanoğlu)1973.5.191977.1.19
41알리 바스프(Ali Vâsıp Osmanoğlu)1977.1.191983.12.9
42메흐메트 오르한(Mehmet Orhan Osmanoğlu)1983.12.91994.3.12[15]
43에르투으룰 오스만(Ertuğrul Osman Osmanoğlu)1994.3.122009.9.23[16]
44오스만 바예지트(Osman Bayezit Osmanoğlu)2009.9.232017.1.7
45뒨다르 알리 오스만(Dündar Ali Osman Osmanoğlu)2017.1.72021.1.18
46하룬 오스만(Harun Osman Osmanoğlu)2021.1.18.

4. 가계도 및 갤러리[편집]


파일:오스만 술탄 가계도1.png
파일:오스만 술탄 가계도2.gif

5. 기록[편집]



6. 취미[편집]


파일:오스만 술탄 취미.jpg

6.1. 기타 취미[편집]


메흐메트 1세: 끈 만들기
메흐메트 2세: 지도 만들기, 원예
셀림 1세: 보석 세공
쉴레이만 1세: 보석세공
메흐메트 3세: 숟가락 만들기
아흐메트 1세: 숟가락 만들기
오스만 2세: 말안장 만들기
메흐메트 4세: 문신
아흐메트 3세: 그림 그리기
마흐무트 1세: 도장 파기
오스만 3세: 목공예
무스타파 3세: 동전 만들기
셀림 3세: 그림 그리기
마흐무트 2세: 건선
압뒬아지즈: 미술
압뒬하미트 2세: 목공예, 도자기 공예

6.2. 시인[편집]


무라트 2세
메흐메트 2세
바예지트 2세
셀림 1세
쉴레이만 1세
무라트 3세
메흐메트 3세
아흐메트 1세
오스만 2세
무라트 4세
메흐메트 4세
무스타파 2세
아흐메트 3세
마흐무트 1세
무스타파 3세
셀림 3세
마흐무트 2세
메흐메트 5세
18명

6.3. 작곡가[편집]


바예지트 2세
무라트 3세
무라트 4세
마흐무트 1세
셀림 3세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메흐메트 6세
8명

6.4. 서예가[편집]


바예지트 2세
무라트 3세
쉴레이만 2세
아흐메트 2세
아흐메트 3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압뒬아지즈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6세
12명

6.5. 운동[편집]


메흐메트 1세: 씨름 선수
메흐메트 4세: 사냥꾼
압뒬아지즈: 레슬링 선수

7. 여담[편집]


  • 복장이 시대마다 달랐다. 특히모자인데 오스만 1세부터 셀림 1세까지는 둥근 모자를 썼다.
    • 쉴레이만 1세와 메흐메트 4세까지는 위아래로 모자를 썼다.[17]
    • 무스타파 3세와 1826년 (마흐무트 2세 18년)까지는 챙이가 긴 형태를 쓴것으로 보인다.
    • 마흐무트 2세와 최후까지는 페즈를 썼다.
  • 무스타파 1세가 유일하게 미혼 군주였다.
  • 키는 168cm에서 195cm사이로 추정된다.

8. 매장지[편집]


부르사: 오스만 1세에서 무라트 2세까지
이스탄불: 메흐메트 2세에서 메흐메트 5세까지.
다마스쿠스: 메흐메트 6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5:04:33에 나무위키 오스만/황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술탄과 파디샤와 관련된 호칭으로 오스만 제국 황제(Osmanlı İmparatorluğu Padişahları/Sultan of Ottoman Empire), Sultân-ı Âzam(술타느 아잠), Sultân-es Selâtin(술타네스 셀라틴), Hüdâvendigâr(휘다벤디갸르), Hakan(하칸), Kağan(카안), İslam Halifesi(이슬람 칼리프), Kayser-i Rum(카이세리 룸), Kendi unvanı(나만의 호칭)이 있다.[2] 읽는 방법: 아래부터 읽고 2번째 칸부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왔다갔다를 해야 한다. 무스타파 4세(여섯칸 맨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압뒬하미트 2세(여섯 칸 맨 외쪽으로) 간다음 위로 올라가서 오른쪽으로 가면 완전히 다 본 것이다.[3] 문자적으로는 '압드 알하미드'지만 구어체상에서는 축약된 형태인 압둘하미드라 읽힌다.[4] 에르투으룰 가지는 오스만 1세의 아버지로, 룸셀주크와 동로마와의 전쟁에서 셀주크를 지원하면서 오늘날 앙카라 인근에 위치한 카라자 다으(Karaca dağ) 일대를 봉토로 받고 쇠위트(Söğüt)에 수도를 정해 공국을 세웠다. 그의 아들인 오스만 1세는 에르투으룰 가지가 죽고 나서 이 공국을 상속받았고 1299년에 독립해 오스만 베이국을 세웠기 때문에 튀르키예에서는 에르투으룰 가지의 공국도 오스만 역사로 포함시킨다.[5] 바예지트 1세가 티무르와의 싸움에서 패하고 포로로 잡힌 후 그 아들 사형제가 황위를 두고 내전을 벌인 기간이다. 결국 넷째인 메흐메트 1세가 승리하여 단독 술탄이 되었다.[6] 1차 재위[7] 1차 재위[8] 2차 재위[9] 2차 재위[10] 괄호 안의 부분에서 '엄격제' 에 해당하는 부분은 'Yavuz'인데 이걸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해진 것이 없는 듯하다. 튀르키예 원어의 뉘앙스를 적절히 살릴 수 있는 단어가 다른 언어에 없는 탓이기 때문인 것 같은데 문자 그대로 직역하자면 엄숙하다는 뜻이지만 근엄하다거나 완강하다는 정도로 의역하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강인한 황제'라고 창작에 가깝제 의역하는 경우도 있다.[11] 1차 재위[12] 2차 재위[13] 오스만 제국 붕괴 후 튀르키예 공화국 정부는 오스만 가문(Osmanoğlu)을 튀르키예에서 추방하여 입국 금지 조치를 단행했다. 이 조치는 케말 아타튀르크 전 대통령이 사망한 36년 뒤인 1974년에 해제되었으나 실제 오스만 구 황가의 튀르키예 귀국은 2004년에 와서야 이뤄졌다.[14] 11월 1일에 파디샤에서 폐위당했지만 칼리파는 17일이 지나서야 튀르키예 의회가 사촌인 압뒬메지트를 후임자로 선출했다.[15] 이시형 교수의 에세이로 유명해진 인물이지만 그 이야기는 사실과 좀 다른 면이 있다.(참고)[16] 2004년에야 튀르키예 국적을 회복했다. 간혹 최후의 오스만이라고 일컬어진다. 계승자들이 제국 붕괴 이후 태어났기 때문이다.[17] 쉴레이만 2세와 오스만 3세의 영묘에 그모자가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