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창설1926년
개최 주기2년
개최 횟수56회
종목5종목
최근 대회2021 휴스턴
최근 우승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1)
최고 성적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149/ 103/ 165.5[1])[2]
주관국제탁구연맹 ITTF

1. 개요
2. 역대 대회
3. 역대 메달




1. 개요[편집]


탁구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 1999년 45회 대회부터 국가 대항 단체전 경기는 세계단체탁구선수권대회로 따로 분리되어 남녀 단·복식과 혼합 복식 5종목의 경기만 열린다. 세계탁구선수권대회는 홀수 해, 세계단체탁구선수권대회는 짝수 해에 각각 열린다.


2. 역대 대회[편집]


회차연도개최지종목비고
11926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런던5
21928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6
31929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6
41930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베를린6
51931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6
61932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6
71933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바덴바이빈6
8193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7
9193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런던7
101936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7
111937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바덴바이빈7
121938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런던7
131939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카이로7
14194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7
151948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런던7
161949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7
171950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7
18195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7
191952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뭄바이7[3]
201953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부쿠레슈티7
211954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런던7
22195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위트레흐트7
231956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7
241957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7
251959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도르트문트7
261961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이징7
271963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7
281965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7
291967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7
301969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뮌헨7
31197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나고야7
321973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7
331975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콜카타7
341977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버밍엄7
351979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평양7
36198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노비사드7
37198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7
381985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테보리7
391987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뉴델리7
401989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도르트문트7
41199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치바현7
421993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테보리7
43199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톈진7
441997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맨체스터7
451999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아인트호벤5[개인]
452000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2[단체]
46200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오사카7[4]
47200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5[개인]
472004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도하2[단체]
48200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5[개인]
482006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브레멘2[단체]
49200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자그레브5[개인]
492008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저우2[단체]
50200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요코하마5[개인]
502010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모스크바2[단체]
51201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로테르담5[개인]
512012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도르트문트2[단체]
52201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5[개인]
522014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2[단체]
53201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쑤저우5[개인]
532016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2[단체]
542017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뒤셀도르프5[개인]
542018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할름스타드2[단체]
552019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5[개인][5]
56202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휴스턴5[개인]
56202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청두2[단체]
57202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5[개인]
5720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산2[단체]
58202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도하5[개인]
592026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2[단체]


3. 역대 메달[편집]


  • 0.5개 메달은 국적이 다른 선수들끼리 조를 이뤄 딴 복식 메달.

역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49103165.5471.5
2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685973.5200.5
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83974161
4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2836.558.5123
5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1710.518.546
6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151314.542.5
7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426.55797.5
8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319.532.5
9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713.53555.5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4.5164161.5
11파일:독일 국기.svg 독일414.519.538
12파일:북한 국기.svg 북한3.581223.5
13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31113.527.5
14파일:소련 국기.svg 소련34714
15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2.51923.5
16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13711
17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1258
18파일:독일 국기.svg 서독1247
19파일:한반도기.svg 남북단일팀1135
20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11.53.5
21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03.56.510
22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222.524.5
23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213
24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01.534.5
25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01.51.53
26파일:동독 국기.svg 동독0112
2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00.52.53
28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00.511.5
29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00.500.5
30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002.52.5
31파일:인도 국기.svg 인도0022
32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001.51.5
33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001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0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001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0011
3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000.50,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0:19:33에 나무위키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른 나라 선수와 함께 출전한 복식 경기에 출전해 메달을 딴 경우 0.5개로 계산[2] 세계단체탁구선수권대회의 성적 포함[3] 비유럽 최초 개최[개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단체] A B C D E F G H I J K L [4] 마지막 통합 대회[5] 2020년 55회 단체선수권은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