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27 (r3판)

편집일시 :




파일:DSCF9399.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이대목동병원.목동6단지)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25
막차23:00막차00:00
평일배차11~15분주말배차토요일 13~16분 / 공휴일 15~17분
운수사명양천운수인가대수13대[1]
노선양천공영차고지 - 서부트럭터미널 - 강신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 - (→ 가양8단지.가양역 → 가양초등학교 →/← 가양역.현대아파트 ← 강서구청별관 ←) - 가양9단지 - 염창동한마음.관음삼성아파트 - 염창동아3차아파트 - 신목동역.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월촌중학교.목동1단지 → 목동3단지 → 목동파라곤 → 파리공원 → 이대목동병원.목동6단지 → 신목동역.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양천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28.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은 김포교통의 노선이던 구 22-1번의 '신월5동사무소 - 이대목동병원' 구간을 가지고 왔으며, 당시에는 신월6동에서 화곡역, 강서구청, 가양동, 목동아파트단지를 양방향 순환하는 노선이었다.[2]

  • 2005년 3월에 '신월6동 - 양천구청 - 이대목동병원'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5년 4월 27일에 신월6동 방면이 과학수사연구원입구사거리에서 우회전한 후 지양로를 거쳐 가도록 바뀌었다.


  • 2006년 9월 1일에 이대목동병원 회차에서 '이대목동병원 → 월촌중 → 목동3~4단지사잇길 → 목동사거리 → 대일고 → 강서구의회 → 등촌사거리 → 염창도시가스 → 나이아가라호텔' 순으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9호선 연계를 위해 2009년 6월 20일에 목동2단지로 단축되었고, 이대목동병원 회차로 바뀌면서 다시 이대목동병원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양천구 공지사항

  • 2009년 9월 21일에 파리공원에서 행복한세상백화점까지 연장되었다. 양천구 공지사항

  • 2018년 10월 1일에 기점 기준 막차시각이 10분 앞당겨졌다. 이와 동시에 평일 운행횟수는 2회 감회되고, 토요일과 공휴일 운행횟수는 각각 8회, 4회 증회되었다. 이로써 토요일 배차간격의 경우 많게는 2분가량 감소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19년 2월 1일부터 토요일 운행 댓수가 2대 늘어 평일과 운행 댓수가 같아졌다.[3] 이와 동시에 토요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고, 이 조치에 따라 토요일의 최대 배차간격이 종전 대비 1분 늘어난 19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공문

  • 2021년 8월 17일을 기하여 1대가 증차되었다.[4] 이번 증차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1대씩 증편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77회/70회/64회에서 84회/77회/72회로 평일/토요일의 경우 7회씩, 공휴일의 경우 8회 증회되었다. 또한, 이번 증차로 평일의 최대 배차 간격은 17분에서 16분으로 줄고,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도 각각 16~19분/17~20분에서 13~18분/15~18분으로 줄어들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양천차고지에서 목동아파트단지로 가는 노선이지만, 신트리공원을 경유해 바로 가지 않고 가양/염창동으로 우회해서 간다.

  • 서부트럭터미널앞부터 마포중고등학교까지는 652번과 노선이 같으므로 먼저 오는 걸 탑승하면 편하다. 그래서 등교시간엔 구로/양천 지역에서 특성화학교인 서울금융고등학교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이 타는 것을 볼 수 있다.[5]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7,219명-
2014년7,301명△ 82
2015년7,461명△ 160
2016년7,304명▽ 157
2017년7,269명▽ 35
2018년7,075명▽ 194
2019년7,023명▽ 52
2020년5,587명▽ 1,436
2021년5,953명△ 366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7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목동파라곤
15361
목동5단지C상가.목동운동장북문
15151
목동4단지.목동종합운동장
15108
파리공원
15152
목동3단지
15107
목동5단지B상가.목5동주민센터
15153
목동2단지
15106
목동이대병원.목동6단지앞
15154
종점월촌중학교
15148
이상 회차 구간
신목동역-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15413
신목동역-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15360
-신목동역
15144
염창동아3차아파트.나이아가라호텔
16245
염창동리버파크호텔
16246
염창동새마을금고
16247
염창동새마을금고
16248
염창동한마음.관음삼성아파트
16249
염창동관음삼성아파트
16250
-태영송화아파트
16855
금호.한솔아파트
16252
태영.삼성한사랑아파트
16251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이마트
16254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이마트
16253
가양도시개발9단지.세현고등학교
16244
가양3동도시개발9단지아파트
16243
가양7단지상가앞
16348
-
강서구청별관
16241
가양초등학교
16240
가양역.현대아파트
16258
가양3동도시개발8단지아파트.가양역
16134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
16136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
16135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16138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16137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16140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16139
우장초등학교
16141
우장초등학교
16142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4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3
화곡본동시장
16145
화곡본동시장
16146
화곡역
16148
화곡전철역
16147
화곡푸르지오
16150
화곡푸르지오
16149
신화중학교
15345
신화중학교
15352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15346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15347
서울금융고등학교
15351
메디힐병원
15344
신월3동주민센터.신월3동우체국
15334
서부여성발전센터
15335
양서중학교
15332
신월1동주민센터.신월보건지소
15333
서서울호수공원
15338
서서울호수공원
15339
과학수사연구소입구
15315
국립과학수사연구소입구
15298
경창빌딩
15353
신월동남부주유소
15223
강신중학교
15331
강신중학교
15307
서부트럭터미널.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15316
서부트럭터미널.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15306
트럭터미널주유소앞
15362
-
양천공영차고지
15373 · 15718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14:46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62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1대, 일요일 9대 운행[2] 김포교통은 22-1번에서 다니던 차량을 중부운수로 넘기며 사실상 아예 손을 떼었다.[3] 단, 토요일의 경우 평일과 달리 2대는 단축 투입 차량에 해당되어 운행 횟수는 평일보다 적다.[4] 증차분은 602번 감차분이다.[5] 만약 저 구간에서 652번을 놓쳤다면, 이걸 타고 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