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종로11 (r1판)

편집일시 :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마을버스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14px;"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 펼치기 · 접기 ]


파일:종로11번.png파일:종로11번신차.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종로1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삼청공원)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서울역)
종점
첫차06:00기점
첫차06:15
막차23:00막차23:15
배차간격10분
운수사명삼청교통인가대수7대
노선삼청공원 - 금융연수원 - 삼청동주민센터 - 삼청파출소 - 경복궁.국립민속박물관 - 경복궁 - 세종문화회관광화문.조선일보시청역 → 삼성플라자 → 서울역숭례문 → 한국프레스센터 → KT광화문지사 → 경복궁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삼청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3년 8월 10일에 경동교통군포교통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104-2번 도시형버스(삼청동 - 서울역)가 마을버스로 전환되었다. 당시에는 군포교통 삼청영업소에서 운영했다.
차량번호는 서울74사 7314 7331 7368 7369 7370 7371.

  • 1995년 3월에 군포교통 삼청영업소가 삼청교통으로 분리 독립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종로11번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관광지로도 유명한 삼청동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종로02번이 삼청동을 스쳐 지나가긴 하지만 종로02번은 북촌한옥마을 수요가 절대다수. 삼청동 깊숙히 들어가는 노선이다 보니 주말, 휴일만 되면 관광객들로 항상 만원이다. 삼청동 뿐만 아니라 광화문(세종문화회관), 경복궁, 시청, 남대문 같은 주요 명소들을 지나는 관광객 수요로 먹고 사는 노선. 삼청공원 쪽을 통해서 북악산으로 가려는 사람들도 타는 것으로 보인다.

  • 서울역 정류소는 인천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염천교 방면으로 더 뒷편에 있으니 주의.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이 노선을 찾으면 매우 곤란하다. 한편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연계는 잘 되지 않는다. 경복궁 정류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경복궁역이나 안국역과의 거리가 각각 500m 가량 떨어져 있기 때문. 따라서, 3호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청이나 광화문에서 종로09번으로 환승하면 경복궁역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 중구에 들어오는 8개 뿐인 마을버스이다.[1] 이 중 서울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시청앞으로 들어오는 단 둘뿐인 마을버스.[2]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3,428명-
2014년3,607명△ 179
2015년3,458명▽ 149
2016년3,231명▽ 227
2017년3,198명▽ 33
2018년3,239명△ 41
2019년3,320명△ 81
2020년2,166명▽ 1,15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일단, 노선이 겹치는 종로09번, 종로11번, 그 두 노선과 서울역에서 간접적으로 만나는 서대문06번, 용산04번, 약수역에 들어오는 성동05번, 성동07번, 성동12번, 잠깐이나마 신당역으로 오는 성동01번까지.[2] 종로09번과 같이 광화문광장 - 숭례문 구간이 중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