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수터

덤프버전 :

브루스 수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1982

}}} ||
[ 펼치기 · 접기 ]
SLNo.1No.2No.6
로저스 혼스비아지 스미스레드 션다인스트스탠 뮤지얼
No.9No.10No.14No.17
에노스 슬로터토니 라 루사켄 보이어디지 딘
No.20No.23No.24No.42
루 브록테드 시몬스화이티 허조그브루스 수터
No.42No.45No.85🎙️
재키 로빈슨밥 깁슨어거스트 부시잭 벅
※ 혼스비가 전성기를 보낸 시기에는 등번호가 따로 있지 않았다. 부시 스타디움 왼쪽 담장에 다른 영구 결번 야구인들과 함께 그의 이름이 존재한다.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c41e3a> '''[[짐 보텀리|{{{#ffef00 짐 보텀리}}}]]''' ||<width=20%> '''[[켄 보이어|{{{#ffef00 켄 보이어}}}]]''' ||<width=20%> '''[[루 브록|{{{#ffef00 루 브록}}}]]''' ||<width=20%> '''[[잭 벅|{{{#ffef00 잭 벅}}}]]''' ||<width=20%> '''[[거시 부시|{{{#ffef00 거시 부시}}}]]''' || ||<rowbgcolor=#c41e3a> '''[[디지 딘|{{{#ffef00 디지 딘}}}]]''' || '''[[짐 에드몬즈|{{{#ffef00 짐 에드몬즈}}}]]''' || '''[[프랭키 프리시|{{{#ffef00 프랭키 프리시}}}]]''' || '''[[밥 깁슨|{{{#ffef00 밥 깁슨}}}]]''' || '''[[칙 헤이피|{{{#ffef00 칙 헤이피}}}]]''' || ||<rowbgcolor=#c41e3a> '''[[제시 헤인스|{{{#ffef00 제시 헤인스}}}]]''' || '''[[화이티 허조그|{{{#ffef00 화이티 허조그}}}]]''' || '''[[로저스 혼스비|{{{#ffef00 로저스 혼스비}}}]]''' || '''[[토니 라 루사|{{{#ffef00 토니 라 루사}}}]]''' || '''[[마티 마리온|{{{#ffef00 마티 마리온}}}]]''' || ||<rowbgcolor=#c41e3a> '''[[윌리 맥기|{{{#ffef00 윌리 맥기}}}]]''' || '''[[조 메드윅|{{{#ffef00 조 메드윅}}}]]''' || '''[[자니 마이즈|{{{#ffef00 자니 마이즈}}}]]''' || '''[[스탠 뮤지얼|{{{#ffef00 스탠 뮤지얼}}}]]''' || '''[[브랜치 리키|{{{#ffef00 브랜치 리키}}}]]''' || ||<rowbgcolor=#c41e3a> '''[[레드 션다인스트|{{{#ffef00 레드 션다인스트}}}]]''' || '''[[마이크 섀넌|{{{#ffef00 마이크 섀넌}}}]]''' || '''[[에노스 슬로터|{{{#ffef00 에노스 슬로터}}}]]''' || '''[[아지 스미스|{{{#ffef00 아지 스미스}}}]]''' || '''[[빌리 사우스워스|{{{#ffef00 빌리 사우스워스}}}]]''' || ||<rowbgcolor=#c41e3a> '''[[브루스 수터|{{{#ffef00 브루스 수터}}}]]''' || '''[[커트 플루드|{{{#ffef00 커트 플루드}}}]]''' || '''[[밥 포쉬|{{{#ffef00 밥 포쉬}}}]]''' || '''[[조지 키셀|{{{#ffef00 조지 키셀}}}]]''' || '''[[테드 시몬스|{{{#ffef00 테드 시몬스}}}]]''' || ||<rowbgcolor=#c41e3a> '''[[샘 브리든|{{{#ffef00 샘 브리든}}}]]''' || '''[[크리스 카펜터|{{{#ffef00 크리스 카펜터}}}]]''' || '''[[테리 무어|{{{#ffef00 테리 무어}}}]]''' || '''[[조 토레|{{{#ffef00 조 토레}}}]]''' || '''[[페퍼 마틴|{{{#ffef00 페퍼 마틴}}}]]''' || ||<rowbgcolor=#c41e3a> '''[[팀 맥카버|{{{#ffef00 팀 맥카버}}}]]''' || '''[[마크 맥과이어|{{{#ffef00 마크 맥과이어}}}]]''' || '''[[해리 브러킨|{{{#ffef00 해리 브러킨}}}]]''' || '''[[빈스 콜먼|{{{#ffef00 빈스 콜먼}}}]]''' || '''[[레이 랭크포드|{{{#ffef00 레이 랭크포드}}}]]''' || ||<rowbgcolor=#c41e3a> '''[[모트 쿠퍼|{{{#ffef00 모트 쿠퍼}}}]]''' || '''[[제이슨 이스링하우젠|{{{#ffef00 제이슨 이스링하우젠}}}]]''' || '''[[스캇 롤렌|{{{#ffef00 스캇 롤렌}}}]]''' || '''[[톰 허|{{{#ffef00 톰 허}}}]]''' || '''[[존 튜더|{{{#ffef00 존 튜더}}}]]''' || ||<rowbgcolor=#c41e3a> '''[[빌 화이트|{{{#ffef00 빌 화이트}}}]]''' || '''[[키스 에르난데스|{{{#ffef00 키스 에르난데스}}}]]''' || '''[[찰스 코미스키|{{{#ffef00 찰스 코미스키}}}]]''' || '''[[맷 홀리데이|{{{#ffef00 맷 홀리데이}}}]]''' || '''[[훌리안 하비에르|{{{#ffef00 훌리안 하비에르}}}]]''' || ||<rowbgcolor=#c41e3a> '''[[맥스 라니어|{{{#ffef00 맥스 라니어}}}]]''' || '''[[호세 오켄도|{{{#ffef00 호세 오켄도}}}]]''' || '''[[|{{{#ffef00 }}}]]''' || '''[[|{{{#ffef00 }}}]]''' || '''[[|{{{#ffef00 }}}]]'''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0e3386> '''[[알버트 스팰딩|{{{#cc3433 알버트 스팰딩}}}]]''' ||<width=20%> '''[[안드레 도슨|{{{#cc3433 안드레 도슨}}}]]''' ||<width=20%> '''[[앤디 파프코|{{{#cc3433 앤디 파프코}}}]]''' ||<width=20%> '''[[빌 버크너|{{{#cc3433 빌 버크너}}}]]''' ||<width=20%> '''[[빌 랭|{{{#cc3433 빌 랭}}}]]''' || ||<rowbgcolor=#0e3386> '''[[빌리 허먼|{{{#cc3433 빌리 허먼}}}]]''' || '''[[빌리 윌리엄스|{{{#cc3433 빌리 윌리엄스}}}]]''' || '''[[브루스 수터|{{{#cc3433 브루스 수터}}}]]''' || '''[[찰리 그림|{{{#cc3433 찰리 그림}}}]]''' || '''[[찰리 루트|{{{#cc3433 찰리 루트}}}]]''' || ||<rowbgcolor=#0e3386> '''[[클락 그리피스|{{{#cc3433 클락 그리피스}}}]]''' || '''[[돈 케신저|{{{#cc3433 돈 케신저}}}]]''' || '''[[에드 레울바흐|{{{#cc3433 에드 레울바흐}}}]]''' || '''[[어니 뱅크스|{{{#cc3433 어니 뱅크스}}}]]''' || '''[[퍼거슨 젠킨스|{{{#cc3433 퍼거슨 젠킨스}}}]]''' || ||<rowbgcolor=#0e3386> '''[[프랭크 챈스|{{{#cc3433 프랭크 챈스}}}]]''' || '''[[프랭크 슐트|{{{#cc3433 프랭크 슐트}}}]]''' || '''[[개비 하트넷|{{{#cc3433 개비 하트넷}}}]]''' || '''[[글렌 벡허트|{{{#cc3433 글렌 벡허트}}}]]''' || '''[[그렉 매덕스|{{{#cc3433 그렉 매덕스}}}]]''' || ||<rowbgcolor=#0e3386>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cc3433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 '''[[핵 윌슨|{{{#cc3433 핵 윌슨}}}]]''' || '''[[행크 사우어|{{{#cc3433 행크 사우어}}}]]''' || '''[[해리 카레이|{{{#cc3433 해리 카레이}}}]]''' || '''[[하이니 짐머맨|{{{#cc3433 하이니 짐머맨}}}]]''' || ||<rowbgcolor=#0e3386> '''[[히포 본|{{{#cc3433 히포 본}}}]]''' || '''[[잭 브릭하우스|{{{#cc3433 잭 브릭하우스}}}]]''' || '''[[지미 라이언|{{{#cc3433 지미 라이언}}}]]''' || '''[[조 맥카시|{{{#cc3433 조 맥카시}}}]]''' || '''[[조 팅커|{{{#cc3433 조 팅커}}}]]''' || ||<rowbgcolor=#0e3386> '''[[존 클락슨|{{{#cc3433 존 클락슨}}}]]''' || '''[[자니 에버스|{{{#cc3433 자니 에버스}}}]]''' || '''[[켄 홀츠먼|{{{#cc3433 켄 홀츠먼}}}]]''' || '''[[카이카이 카일러|{{{#cc3433 카이카이 카일러}}}]]''' || '''[[킹 켈리|{{{#cc3433 킹 켈리}}}]]''' || ||<rowbgcolor=#0e3386> '''[[리 스미스|{{{#cc3433 리 스미스}}}]]''' || '''[[레오 듀로셔|{{{#cc3433 레오 듀로셔}}}]]''' || '''[[루 보드로|{{{#cc3433 루 보드로}}}]]''' || '''[[마가렛 도나휴|{{{#cc3433 마가렛 도나휴}}}]]''' || '''[[모데카이 브라운|{{{#cc3433 모데카이 브라운}}}]]''' || ||<rowbgcolor=#0e3386> '''[[오벌 오버롤|{{{#cc3433 오벌 오버롤}}}]]''' || '''[[필립 K. 리글리|{{{#cc3433 필립 K. 리글리}}}]]''' || '''[[팻 피퍼|{{{#cc3433 팻 피퍼}}}]]''' || '''[[필 카바레타|{{{#cc3433 필 카바레타}}}]]''' || '''[[랜디 헌들리|{{{#cc3433 랜디 헌들리}}}]]''' || ||<rowbgcolor=#0e3386> '''[[릭 러셸|{{{#cc3433 릭 러셸}}}]]''' || '''[[릭 서클리프|{{{#cc3433 릭 서클리프}}}]]''' || '''[[릭스 스티븐슨|{{{#cc3433 릭스 스티븐슨}}}]]''' || '''[[로저스 혼스비|{{{#cc3433 로저스 혼스비}}}]]''' || '''[[론 산토|{{{#cc3433 론 산토}}}]]''' || ||<rowbgcolor=#0e3386> '''[[라인 샌드버그|{{{#cc3433 라인 샌드버그}}}]]''' || '''[[스탠 핵|{{{#cc3433 스탠 핵}}}]]''' || '''[[윌리엄 헐버트|{{{#cc3433 윌리엄 헐버트}}}]]''' || '''[[윌리엄 리글리 3세|{{{#cc3433 윌리엄 리글리 3세}}}]]''' ||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cc3433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 || ||<rowbgcolor=#0e3386> '''[[요시 카와노|{{{#cc3433 요시 카와노}}}]]''' || '''[[벅 오닐|{{{#cc3433 벅 오닐}}}]]''' || '''[[호세 카데날|{{{#cc3433 호세 카데날}}}]]''' || '''[[팻 휴즈|{{{#cc3433 팻 휴즈}}}]]''' || '''[[숀 던스턴|{{{#cc3433 숀 던스턴}}}]]''' || ||<rowbgcolor=#0e3386> '''[[마크 그레이스|{{{#cc3433 마크 그레이스}}}]]''' || '''[[|{{{#cc3433 }}}]]''' || '''[[|{{{#cc3433 }}}]]''' || '''[[|{{{#cc3433 }}}]]''' || '''[[|{{{#cc3433 }}}]]''' ||



파일:MLB 로고.svg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Sutter%20Bruce%20Plaque_NBL.png
브루스 수터
헌액 연도2006년
헌액 방식기자단(BBWAA) 투표
투표 결과76.9% (13회)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게일로드 페리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브루스 수터
(시카고 컵스)
스티브 칼튼
(필라델피아 필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롤레이즈 구원 투수 상
롤리 핑거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브루스 수터
(시카고 컵스)
롤리 핑거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1년 ~ 198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롤레이즈 구원 투수 상
롤리 핑거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브루스 수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알 홀랜드
(필라델피아 필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롤레이즈 구원 투수 상
알 홀랜드
(필라델피아 필리스)
브루스 수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제프 리어든
(몬트리올 엑스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9년 ~ 198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세이브왕
롤리 핑거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브루스 수터
(시카고 컵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리 스미스
(시카고 컵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세이브왕
리 스미스
(시카고 컵스)
브루스 수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제프 리어든
(몬트리올 엑스포스)

시카고 컵스 등번호 42번
밀트 윌콕스
(1975)
브루스 수터
(1976~1980)
리치 보디
(1983~1984)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42번
밥 사이크스
(1979~1980)
브루스 수터
(1981~1984)
리 터넬
(1987)
호세 올리바
(1995)
영구결번[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40번
토미 보그스
(1980~1983)
브루스 수터
(1985~1986, 1988)
호세 알바레즈
(1988~1989)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42번
릭 말러
(1980~1987)
브루스 수터
(1988)
릭 말러
(1989~1991)
[1] 재키 로빈슨과 공동 영구결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 42
하워드 브루스 수터
Howard Bruce Sutter
출생1953년 1월 8일
펜실베이니아 주 랭커스터
사망2022년 10월 13일 (향년 69세)
조지아 주 카터스빌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도네갈 고등학교
신체188cm / 86kg
포지션마무리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70년 드래프트 21라운드 전체 501번 (WSA)
1971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CHC)
소속팀시카고 컵스 (1976~198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81~1984)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85~1986, 1988)

1. 개요
2. 선수 생활
3. 피칭 스타일
5.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6. 연도별 성적
7. 기타



1. 개요[편집]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를 주름잡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고의 불펜투수 중 한 명.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투수 중에서 선발등판 경력이 없는 최초의 투수다. 통산 성적은 13시즌 동안 68승 71패 300세이브, 2.83 ERA, 1042.1이닝, 861K, K/9 7.94, BB/9 2.18, K/BB 3.64, HR/9 0.79를 기록했다.


2. 선수 생활[편집]


파일:external/maniacjoe.com/BRUCE_SUTTER_aaih188_s.jpg
고등학교를 마칠 무렵 워싱턴 세네터스의 지명을 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1971년 자유계약으로 시카고 컵스에 입단한다. 컵스에서 5년간 마이너 생활을 마친 후, 1976년에 메이저리그로 올라와 데뷔 시즌부터 맹활약했다. 이 당시 마무리 투수는 1이닝만 막는 현재의 형태가 아니라, 승패가 넘어갈 수 있는 고비에 나와서 경기 끝까지 책임지는 형태였다. 그래서 수터는 마무리로 뛰었지만 매년 80이닝 이상을 던졌다. 마리아노 리베라가 80이닝을 넘게 던진 시즌이 딱 두 번뿐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마무리의 패러다임이 달랐던 시대에 뛴 것.

성적이 가장 뛰어났던 시즌은 1979년. 다소 마구잡이로 투입하던 마무리투수 기용법을 이기는 경기에만 투입하는 것으로 바꾼 허먼 프랭크스 감독의 결정 덕분에, 이기는 경기에만 나오면서 6승 6패 37세이브를 기록하며 이 해 사이 영 상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80년에도 세이브 1위를 달성. 하지만 컵스는 부상도 은근히 많았던 그를 그다지 탐탁치 않아 했는지, 어이없게도 그를 레온 더럼, 켄 레이츠, 추후지명선수[1]를 상대로 철천지 원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트레이드시켰다. 그리고 이 트레이드는 세인트루이스에게 날개를 달아 주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1983+Doinruss+AAS+%252341+Bruce+Sutter+.jpg
많이 던진 탓에 좀 흔들리는 경향은 있어도 1980년대 초반 수터는 여전히 리그 정상급 마무리로 군림한다. 당시 감독이었던 화이티 허조그가 그를 평해 구원 투수계의 샌디 코팩스라고 칭한 것처럼, 수터는 세인트루이스의 마운드를 지켜냈다. 그 결과는 1981년, 1982년, 1984년 세이브 1위. 특히 1984년에는 45세이브로 정규시즌 세이브 기록 타이를 달성했다.[2]

파일:external/a.espncdn.com/mlb_a_sutter_200.jpg
1984년을 끝으로 FA가 되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이적했지만, 그의 전성기는 끝이 나고 있었다. 어깨 부상을 입으면서 고전한 것. 결국 브레이브스에서는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1988년 은퇴했다.


3. 피칭 스타일[편집]



그가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수 있었던 비결은 우선 2이닝 이상, 필요하다면 3이닝도 막아내는 구원 투수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13시즌이라는 짧은 커리어와 다소 적어보이는 300세이브 기록으로도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수 있었다. 이는 투수 분업화가 보편화되는 1980년대 말 이후로는 사라지기 때문에, 사실상 이런 유형의 구원 투수 중의 마지막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수터를 설명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스플리터다. 그의 스플리터는 마이크 스캇과 함께 역대 최고의 스플리터로 평가받으며, 스플리터를 대중화시킨 최초의 선수였다. 처음 그가 스플리터를 본격적으로 주무기로 쓰자 사람들은 마구라고 난리를 쳤다고 할 정도. 원래 스플리터의 별명이 마른 스핏볼[3]이라고 할 정도라고 한다. 미국의 야구 전문 기자 롭 네이어가 평가하기로는 역대 메이저리그 최고의 스플리터/포크볼 계열의 구사자.

다만, 스플리터가 몸에 무리가 많이 투구 구종이라는 속설 때문인지 선수 생활 말년에 부상이 잦았다. 어깨 부상으로 수술 3번, 무릎 부상으로 역시 수술 3번, 팔꿈치 수술 한 번, 등 부상으로 또 한 번 수술(...) 덕분에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는 투수들이 15년 정도는 뛰는 편인데, 수터는 딱 12년을 뛰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고, 그나마도 말년은 많이 뛰지도 못했다.


4. 명예의 전당 입성 및 영구결번[편집]


파일:external/mlb.mlb.com/Q2ZGqfwc.jpg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불펜투수들에게 짠 기자들의 성향 때문에 애를 먹었다. 분명 압도적인 성적을 냈고, 스플리터를 대중화시킨 투수였으며, 단순한 1이닝 마무리는 아니였지만, 뛴 기간이 짧았고, 한 팀의 프랜차이즈가 아니었다는 점이 감점 요인이 된 듯.

이 때문에 은퇴한지 18년이 지난 2006년에 13번째 투표만에 간신히 입성에 성공했다. 입성 당시 투표율도 76.9%로 턱걸이. 사실 이도 당시 경쟁자들이 거의 없다시피한 사정 때문에 가능했다. 왜냐면 그 이듬해 등장하는 양반들이 칼 립켄 주니어토니 그윈(...) 만일 이 해 못 들어갔으면, 2008년 마지막 투표에서 간신히 들어갔거나, 정말 아예 못 들어갔을 듯.

컵스에서 버림받은 기억도 있고, 또 생애 유일한 우승 반지를 안겨준 팀이자 세이브 1위를 세 번 차지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모자를 쓰고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고, 2006년 9월 17일 그의 등번호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영구결번이 되었다. 등번호 42번은 그의 명전입성 전에 이미 재키 로빈슨의 영구 결번이 되어 세인트루이스는 42번을 동시에 결번 처리했다. 이로서 그는 메이저리그 역사상 단 세명에 불과한 42번 영구결번의 주인공이 되었다.[4]

그 이후 여생을 살던 도중 암 투병을 했고 2022년 10월 13일 조지아의 한 호스피스 병동에서 눈을 감았다.

5.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편집]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브루스 수터15307917
HOF 입성자 평균4018510050

  • JAWS - Relief Pitcher (1st)
career WAR7yr-peak WARJAWS
브루스 수터24.624.624.6
릴리프 HOF 입성자 평균40.628.234.4


6.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브루스 수터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1976CHC526310283⅓2.70634260731.0681421.92.6
19776273310107⅓1.346952311290.8573285.26.5
19786481027298⅔3.1982103411061.1761262.31.2
19796266370101⅓2.226733201100.9771884.84.9
19806058282102⅓2.64905341761.2121501.93.3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1981STL483525082⅓2.62645241571.0691361.11.6
19827098362102⅓2.90888343611.1921260.20.9
19836091021089⅓4.23908301641.343860.5-0.7
19847157450122⅔1.541099231771.0762271.54.5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1985ATL587723088⅓4.489113293521.35885-0.6-0.1
198616203118⅔4.3417390161.39393-0.10.2
1987MLB 기록 없음
1988381414245⅓4.76494111401.324780.7-0.4
MLB 통산
(12시즌)
66168713001110422.8387977309138611.14013619.224.5

7. 기타[편집]


2011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월드 시리즈에 진출하면서 1차전 홈경기를 갖게 되자 시구를 했다.



함께 나온 이들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60년대 MLB를 주름잡은 에이스 밥 깁슨과 2011년에는 결장했지만 2006년 마무리 투수로 나서며 카디널스의 우승을 확정했던 현역 에이스 애덤 웨인라이트.

[1] 타이 월러[2] 이 기록은 몇 차례 경신되어 현재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가 가진 62세이브가 최고 기록이다.[3] 공에 담배즙을 발라서 던지는 반칙 투구의 일종. 공이 갑자기 궤적이 떨어지면서 가라앉는다고 한다.[4] 재키 로빈슨과 수터 자신, 그리고 메이저리그 역사상 마지막 42번 등번호의 주인공인 뉴욕 양키스마리아노 리베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1:05:19에 나무위키 브루스 수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