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라웨어 대학교

덤프버전 :



[ 북동부 ]
[ 남부 ]
지역사립대학공립대학
남부 대서양
델라웨어없음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 델라웨어 대학교
메릴랜드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 파일: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로고.png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워싱턴 D.C.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없음
버지니아없음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 파일: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휘장.svg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 파일:Virginia_Tech_seal.sv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파일:ODUseal.jpg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없음파일:웨스트 버지니아 대학교 로고.svg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C 채플힐 아이콘.png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없음파일: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eal.png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Clemson_University_Seal.svg 클렘슨 대학교
조지아파일:에모리 대학교 아이콘.png 에모리 대학교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 · 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eorgia_State_University_Official_Seal.png 조지아 주립대학교
플로리다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South_Florida_seal.svg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로고.svg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 · 파일:플로리다 대학교 심볼.svg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 State University Seal.png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동남 중앙
켄터키없음파일:루이빌 대학교 로고.svg 루이빌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Kentucky_seal.svg 켄터키 대학교
테네시파일:밴더빌트 대학교 아이콘.png 밴더빌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emphis_seal.svg 멤피스 대학교 · 파일:테네시 대학교 로고.png 테네시 대학교
앨라배마없음파일:오번 대학교 아이콘.png 오번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Alabama_seal.svg.png 앨라배마 대학교 · 파일:uab _ university-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햄 · 파일:UAH-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헌츠빌
미시시피없음파일:University_of_Mississippi_seal.svg.png 미시시피 대학교 · 파일:미시시피 주립대학교 로고.svg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 파일: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문장.png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서남 중앙
아칸소없음파일:아칸소 대학교 로고.svg 아칸소 대학교
루이지애나파일:툴레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툴레인 대학교파일:루이지애나 휘장.svg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파옛 · 파일:Louisiana-State-University-LSU-Seal.png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없음파일:오클라호마 대학교 로고.png 오클라호마 대학교 · 파일:Oklahoma_State_University_seal.svg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텍사스파일:라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라이스 대학교 · 파일:베일러 대학교 로고.svg 베일러 대학교파일:노스 텍사스 대학교 로고.png 노스 텍사스 대학교 ·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 · 파일:Texas_Tech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공과대학교 · 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 파일:UT Dallas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2px-UofTsystem_seal.svg.png 텍사스 대학교 샌안토니오 · 파일: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Seal.png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파일: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 파일:University_of_Houston_seal.svg 휴스턴 대학교

[ 중서부 ]

[ 서부 ]

University of Delaware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wordmark.svg.png


표어Scientia Sol Mentis Esto (지식은 정신의 빛)
분류주립대학
개교1743년
국가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총장데니스 아사니스 (Dennis Assanis)
합격률72% (2023)
위치미국 델라웨어 주 뉴어크
학생 수학부 : 18,221명(2018년)
대학원 : 4,164명
(2018년)
기타 : 1,735명
(2018년)
교직원 수1,172명(2018년)
상징색{{{#00539F 청색}}}, {{{#FFD200 금색}}}
웹사이트https://www.udel.edu/

1. 개요
2. 특징
3. 출신 인물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campus.jpg
델라웨어 대학교 전경
델라웨어 대학교, University of Delaware

1743년에 개교한 미국 델라웨어 주 뉴어크에 위치한 공립 종합대학이자 플래그십 주립대학.[1] 델라웨어 주를 대표하는 명문 주립대학이며, UD라는 약칭으로 유명하다. 학부에서는 148개, 대학원에서는 176개의 전공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내 탑티어 수준인 Chemical Engineering을 선두로, Computer ScienceCybersecurity공과대학이 강세이며, 경영학행정학도 우수하다. 농학, 체육학, 보건학 분야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Howard and Matthew Green이 분류한 퍼블릭아이비(New Public Ivy) 31개 중 하나로 소속되어있다.

주립대학이면서도 15:1이라는 상대적으로 타 명문주립대학교 대비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학부 과정에서도 연구 활동(Research)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2. 특징[편집]


  • 토플 iBT 기본 점수를 90점 이상을 받아야 입학할 수 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계명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와 자매결연 관계이다. (한국외대에서 2년, 델라웨어대에서 2년을 수학하면 복수학위를 받을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 어학코스인 ELI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이 많이 가는 편이다.
  • 2018년 Best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Georgia Tech, Princeton, UT Austin과 함께 공동 6위를 기록하였다.
  • 2021년 Best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UCSB 와 함께 공동 8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Princeton 및 Michigan (공동 10위) 보다 높은 수치이다.
  • 2022년 Best Undergraduate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Georgia Tech 와 함께 공동 2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1위인 MIT와 비교되는 수치이다.

파일:DoctoralHooding.jpg
  • 박사학위 수여식


3. 출신 인물[편집]


  • 동문
    • 맷 네기 - NFL 시카고 베어스의 감독
    • 조 바이든 - 미합중국 제47대 부통령, 미합중국 제46대 대통령. 역사학과 정치학을 복수전공하고 영어를 부전공했다.[2]
    • 조 플라코 - 슈퍼볼 XLVII MVP
    • 존 카니 - 제74대 델라웨어 주지사.
    • 질 바이든 - 조 바이든의 배우자이자 미국의 교육자.
    • 크리스 크리스티 - 정치학 전공
    • 토머스 카퍼 - MBA 졸업.
    • 김민웅 - 정치학 박사 수료.
    • 김병준 - 정치학 박사
    • 김인철 -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제10-11대 총장. [3]
    • 김종달 - 경제학 박사. 現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명예교수.
    • 박광석 - 정책학 박사.
    • 홍정기 - 에너지 환경정책학 석사.

  • 교원
    • 리처드 F. 헥 - 명예교수 - 팔라듐 촉매교차결합 연구에 관한 업적으로 네기시 에이이치 미국 퍼듀 대학교 특별교수, 스즈키 아키라 일본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와 함께 20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이건홍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박범준 -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이승종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 강춘형 - 전남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 위정재 - 한양대학교 유기나노공학과 부교수
    • 손아정 -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구근호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조교수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6:46:32에 나무위키 델라웨어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미국 건국 전, 13개 식민지 시절에 세워졌지만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인가는 미국 건국 후에 받았으므로 콜로니얼 칼리지는 아니다.[2] 대통령이 된 덕분에(?) 이 학교 정책 및 행정대의 이름은 Biden School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이다.[3] 제60대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었으나 본인이 후보직에서 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