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마리아(1903)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김마리아(1891) 문서
김마리아(1891)번 문단을
김마리아(1891)# 부분을
,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한 내용은 박마리아 문서
박마리아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박마리아#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여성 독립 운동가 ]
강원신강혜원공백순권기옥권애라
김경화김덕세김도연김마리아김란사
김순애김알렉산드라김자혜김점순김정숙
김조이김향화김효숙남자현동풍신
민영주박계남박신애박원희박자혜
박차정박현숙방원희부덕량부춘화
신마실라신순호신의경신정숙심영신
안경신안영희양방매어윤희연미당
오건해오광심오희영유관순유순희
윤용자윤희순이병희이신애이의순
이혜련이효정이희경장매성장선희
전수산전월순정정화조마리아조순옥
조신성조화벽주세죽지복영차경신
차미리사차보석최선화최용신최정숙
홍애시덕황마리아황애시덕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김마리아
金馬利亞 | Mariya Elenovna Kim[1]
파일:external/weekly.chosun.com/2138_40_03.jpg
김마리아(좌)와 아들 이부흥(우)
출생1903년 9월 5일
한성부 남서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신당리동
(現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사망1970년 2월 1일 (향년 66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 366-16번지 자택
본관경주 김씨
별칭호(號): 추산(秋山)
아명(兒名): 김수란(金秀蘭)
부모아버지 김동수(金東守)[2]
배우자이범석
자녀장남 이부흥, 차남 이인종
학력국방대학교 (졸업 / 1기)
종교개신교 (침례회)
병역한국광복군 (상사 전역)
상훈건국포장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정치인, 군인. 한국광복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의 부인으로 총리 부인, 국방장관 부인, 행정안전부장관 부인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903년 9월 5일 한성부 남서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신당리동(현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에서 아버지 김동수(金東守)[3]의 딸로 태어났다.

김상옥과 함께 마상 쌍권총 실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고 하여 별명이 쌍권총 김마리아였다고 한다. 만주에서 고려혁명군에 입대해 정치공작대원으로 시베리아에서 일본군과의 교전에 참전하기도 했으며, 활동 중에 일본제국 경찰에 잡혀 고문을 당한 적이 있고 이 때의 후유증으로 병을 얻게 되었다.

1925년 8월 후일 광복군 참모장,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국방장관이 되는 이범석과 만나 결혼하였다.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입대한 뒤, 배우자 이범석을 보좌하며 한국광복군 본부 요원, 중화민국 육군중앙군관학교 제7분교 러시아어 교관, 전간단(戰幹團) 제7분단 한청반(韓靑班) 러시아어·중국어 교관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광복군 대원들에 대한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남편 이범석과 이기붕권력 암투를 벌일 때 이를 지원하며 이기붕의 아내인 박마리아[4]와 대립하기도 했으며, 그 싸움에서 밀려 이범석이 실각하자 직접 경무대로 가서 이승만과 말다툼을 벌였다는 일화가 있다.

1970년 2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5] 366-16번지 자택에서 숙환인 만성 당뇨병으로 인해 별세했다.[6]

대한민국 정부는 그녀에게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김마리아의 묘는 국립서울현충원 제유공자묘역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4:58:34에 나무위키 김마리아(190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시아명[2] 성리학 유생이었다고 한다. 후일 러시아로 귀화하였는데 귀화명은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김이다.[3] 러시아식 이름은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김이다.[4]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여성 친일반민족행위자 가운데 1명이다.[5] 1975년 중구에 이관되었다.[6] 영상역사관에서 장례식 영상을 볼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