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돈 크레머

덤프버전 :

파일:Gidon-Kremer-logo-white.png
기돈 크레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A82132><width=10%> '''[[1974년|{{{#white 1974년}}}]]''' ||<width=10%> '''[[1975년|{{{#white 1975년}}}]]''' ||<width=10%> '''[[1976년|{{{#white 1976년}}}]]''' ||<width=10%> '''[[1977년|{{{#white 1977년}}}]]''' ||<width=10%> '''[[1978년|{{{#white 1978년}}}]]''' || || [[벤저민 브리튼]] [br] (작곡) || [[올리비에 메시앙]] [br] (작곡)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br] (첼로)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br] (지휘) || [[루돌프 제르킨]] [br] (피아노) || ||<rowbgcolor=#A82132> '''[[1979년|{{{#white 1979년}}}]]''' || '''[[1980년|{{{#white 1980년}}}]]''' || '''[[1981년|{{{#white 1981년}}}]]''' || '''[[1982년|{{{#white 1982년}}}]]''' || '''[[1983년|{{{#white 1983년}}}]]''' ||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br] (바리톤) || [[엘리엇 카터]] [br] (작곡) || [[기돈 크레머]] [br] (바이올린) ||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br] (작곡) || [[피에르 불레즈]] [br] (지휘) || ||<rowbgcolor=#A82132> '''[[1984년|{{{#white 1984년}}}]]''' || '''[[1985년|{{{#white 1985년}}}]]''' || '''[[1986년|{{{#white 1986년}}}]]''' || '''[[1987년|{{{#white 1987년}}}]]''' || '''[[1988년|{{{#white 1988년}}}]]''' || || [[예후딘 메뉴인]] [br] (바이올린) || [[안드레스 세고비아]] [br] (기타) ||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br] (작곡) || [[레너드 번스타인]] [br] (지휘) || [[페터 슈라이어]] [br] (테너) || ||<rowbgcolor=#A82132> '''[[1989년|{{{#white 1989년}}}]]''' || '''[[1990년|{{{#white 1990년}}}]]''' || '''[[1991년|{{{#white 1991년}}}]]''' || '''[[1992년|{{{#white 1992년}}}]]''' || '''[[1993년|{{{#white 1993년}}}]]''' || || [[루치아노 베리오]] [br] (작곡) || [[한스 베르너 헨체]] [br] (작곡) || [[하인츠 홀리거]] [br] (오보에) || [[H.C.로빈스 랜던]] [br] (음악학) || [[리게티 죄르지]]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4년|{{{#white 1994년}}}]]''' || '''[[1995년|{{{#white 1995년}}}]]''' || '''[[1996년|{{{#white 1996년}}}]]''' || '''[[1997년|{{{#white 1997년}}}]]''' || '''[[1998년|{{{#white 1998년}}}]]''' || || [[클라우디오 아바도]] [br] (지휘) || [[해리슨 버트위슬]] [br] (작곡) || [[마우리치오 폴리니]] [br] (피아노) || [[헬무트 라헨만]] [br] (작곡) || [[죄르지 쿠르탁]]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9년|{{{#white 1999년}}}]]''' || '''[[2000년|{{{#white 2000년}}}]]''' || '''[[2001년|{{{#white 2001년}}}]]''' || '''[[2002년|{{{#white 2002년}}}]]''' || '''[[2003년|{{{#white 2003년}}}]]''' || || [[아르디티]] [[현악 4중주]] [br] (현악 4중주)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라인홀트 브링크만]] [br] (음악학)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br] (지휘) || [[볼프강 림]]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04년|{{{#white 2004년}}}]]''' || '''[[2005년|{{{#white 2005년}}}]]''' || '''[[2006년|{{{#white 2006년}}}]]''' || '''[[2007년|{{{#white 2007년}}}]]''' || '''[[2008년|{{{#white 2008년}}}]]''' || || [[알프레드 브렌델]] [br] (피아노)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앙리 뒤티외]] [br] (작곡) || [[다니엘 바렌보임]] [br] (피아노, 지휘) || [[안네 소피 무터]] [br] (바이올린) || ||<rowbgcolor=#A82132> '''[[2009년|{{{#white 2009년}}}]]''' || '''[[2010년|{{{#white 2010년}}}]]''' || '''[[2011년|{{{#white 2011년}}}]]''' || '''[[2012년|{{{#white 2012년}}}]]''' || '''[[2013년|{{{#white 2013년}}}]]''' || || [[클라우스 후버]] [br] (작곡) || [[미하엘 길렌]] [br] (지휘) || [[아리베르트 라이만]] [br] (작곡) || [[프리드리히 체르하]] [br] (작곡) || [[마리스 얀손스]] [br] (지휘) || ||<rowbgcolor=#A82132> '''[[2014년|{{{#white 2014년}}}]]''' || '''[[2015년|{{{#white 2015년}}}]]''' || '''[[2016년|{{{#white 2016년}}}]]''' || '''[[2017년|{{{#white 2017년}}}]]''' || '''[[2018년|{{{#white 2018년}}}]]''' || || [[피터 구르크]] [br] (음악학) ||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br] (지휘) || [[페르 뇌고르]] [br] (작곡) ||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br] (피아노) || [[베아트 푸러]]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19년|{{{#white 2019년}}}]]''' || '''[[2020년|{{{#white 2020년}}}]]''' || '''[[2021년|{{{#white 2021년}}}]]''' || '''[[2022년|{{{#white 2022년}}}]]''' || '''[[2023년|{{{#white 2023년}}}]]''' || || [[레베카 손더스]] [br] (작곡) || [[타베아 침머만]] [br] (비올라) || [[죠르주 아페르기스]] [br] (작곡) || [[올가 노이비르트]] [br] (작곡) || [[]] [br] ||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기돈 크레머
Gidon Kremer
파일:external/img.rsrs.co.kr/3470.jpg
출생1947년 2월 27일 (77세)
소련 라트비아 SSR 리가
국적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학력모스크바 음악원
직업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수상제4회(1970 차이콥스키 콩쿠르 바이올린 1위 금메달
파가니니 대회 1위 (1969, 제노바)
2000년 승리상 (모스크바)
별 3개 훈장 장교 (라트비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1982)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라트비아 출신의 독일바이올리니스트이다.


2. 상세[편집]


바이올리니스트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 어릴때부터 바이올린을 접했다고 한다. 1954년 6살부터 리가음악원에서 수학하였고, 불과 열 여섯에 그는 소비에트 연방 콩쿨에서 우승하게 된다. 그뒤 1965년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다비드 오이스트라흐를 사사하게 된다. 그뒤 1967년 브뤼셀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를 수상하게되고 2년 뒤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과 파가니니 국제콩쿨을 석권하면서 세계에 괴수로서 이름을 알린다. 연주 스타일은 화려한 색채의 기교파 바이올리니스트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레코딩이 대체로 빠른 템포에 기교적이다.

1981년에는 그의 이름을 본딴 크레메라타 무지카를 설립하였으며, 1992년에는 실내악 축제인 Lockenhaus를(지금까지 매년 개최되고 있다), 그리고 1997년에는 발트해 연안 국가의 음악가들을 모아서 크레메라타 발티카 라는 연주단체를 설립했다.

그는 클래식이라는 장르뿐 아니라 각종 쇼, 탱고, 재즈를 크로스오버하는 파격적인 예술적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그 와중에도 젊었을때 이미 녹음한 바흐 전곡을 다시 녹음하는 등 본래 클래식계에서도 왕성히 활동하는 등, 다방면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친구인 알프레트 시닛케의 작품을 자주 연주한다.

전통있는 고가의 바이올린을 다수 소장하며 연주한다. 1734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1730년산 과르네리 델 제수 그리고 1641년산 아마티를 소유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에서의 독재에 반대하며 그에 대해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용감한 음악가이기도 하다.

2015년 6월,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필립 글래스바이올린 협주곡 2번 '미국의 사계'를 담은 신보를 냈다.

2023년 6월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KBS 교향악단의 정기연주회에 협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최근 내한 공연을 할 때는 대부분 크레메라타 발티카와 함께 내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국내 교향악단의 정기 공연 협연자로써의 내한인지라 화제가 되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2:49:58에 나무위키 기돈 크레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