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인물

덤프버전 :







1. 개요
2. 인물 목록
2.1. ㄱ
2.2. ㄴ
2.3. ㄷ
2.4. ㄹ
2.5. ㅁ
2.6. ㅂ
2.7. ㅅ
2.8. ㅇ
2.9. ㅈ
2.10. ㅊ
2.11. ㅋ
2.12. ㅌ
2.13. ㅍ
2.14. ㅎ
3. 테마 분류
3.1. 가야계 신라인
3.2. 가야계 도래인 및 후손
3.3. 전설 및 신화


1. 개요[편집]


가야의 인물들 목록. 가야의 기록이 굉장히 부족하기 때문에, 전해지는 인명은 고구려, 백제, 신라보다 훨씬 적은 편이다.

가이의 인물이 등장하는 사료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이 있다.

2. 인물 목록[편집]



2.1. ㄱ[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가렵직기갑배귀족5세기 추정일본서기
계화왕비6세기삼국유사
국사리왕족4세기일본서기
고전해귀족6세기일본서기
과고사신4세기일본서기
구례사기모사신6세기일본서기
구취유리귀족6세기일본서기
극충귀족4세기삼국유사
기전지왕족4세기일본서기
김상귀족5세기삼국유사



2.2. ㄴ[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노수구리사신6세기일본서기
나기타갑배장군5세기 말일본서기


2.3. ㄷ[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대불손귀족6세기일본서기
도령귀족5세기삼국유사


2.4. ㄹ[편집]



2.5. ㅁ[편집]


이름분류시기사료
마도왜계 가야인6세기일본서기
모정귀족, 왕후1세기삼국유사
모량귀족1세기삼국유사

2.6. ㅂ[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백구지왕족4세기일본서기
박원도대신5세기삼국유사
방원귀족5세기삼국유사
복수왕후5세기삼국유사
분질수이질귀족6세기삼국유사
분파위좌사신6세기일본서기


2.7. ㅅ[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소나갈질지사신?[1]일본서기
신귀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신보대신1세기삼국유사
신천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숙(淑)왕후5세기 말삼국유사


2.8. ㅇ[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아도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아수지왕족4세기일본서기
아지왕후4세기삼국유사
여도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오도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오천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용녀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우륵음악가6세기삼국사기
유수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유천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월광태자왕족6세기신증동국여지승람
이나사왜계 가야인6세기일본서기
이라마주왕족4세기일본서기
이문음악가6세기삼국사기
이문지왕족4세기일본서기
이타관료6세기일본서기
인덕왕후5세기삼국유사
일라왕족6세기일본서기


2.9. ㅈ[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정견모주여신?신증동국여지승람
조광대신1세기삼국유사
좌리금가야계 도래인미상신찬성씨록
죽문지귀족6세기일본서기
정신왕후4세기삼국유사
진사귀족5세기삼국유사
집지사신6세기일본서기


2.10. ㅊ[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출충귀족5세기 말삼국유사


2.11. ㅋ[편집]



2.12. ㅌ[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탈지이질금왕족6세기삼국유사
탐하리자객2세기삼국사기


2.13. ㅍ[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피도간개국공신1세기삼국유사

2.14. ㅎ[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호구왕후3세기삼국유사
허황옥왕비1세기삼국유사
흘건지관료6세기일본서기


3. 테마 분류[편집]



3.1. 가야계 신라인[편집]




  • 기타
    • 강수
    • 석체(昔諦)[2]
    • 가라포고이: 9세기 초 일본으로 망명한 신라인으로, 이름상 가야 지역 출신으로 추정된다.

3.2. 가야계 도래인 및 후손[편집]


  • 가와치노아타히(河內直)
  • 이나사(移那斯)
  • 마도(麻都)
  • 좌리금(左李金): 다른 이름은 좌리기모(佐利己牟)로 셋쓰노쿠니(攝津国)의 도요츠노미야츠코씨(豊津造), 가라히토씨(韓人)의 조상이다.
  • 한인진정(韓人眞貞): 일본육국사 중 하나인 일본삼대실록에 의하면 선조가 임나국인(任那國人)이라고 한다. 867년 풍롱숙녜(豊瀧宿禰)의 성을 하사받았다.
  • 이하도군: 가야계 도래인으로 보기도 한다.

3.3. 전설 및 신화[편집]


  • 금관가야 건국설화[5]
    • 수로왕
    • 허황옥
    • 구간(九干)[3]
    • 함달왕(含達王)[4]
    • 석탈해
    • 신보(申輔): 허황옥의 시종.
    • 조광(趙匡): 허황혹의 시종.
    • 모정(慕貞): 신보의 부인.
    • 모량(慕良): 조광의 부인.

  • 대가야 건국설화[7]
    • 이비가(夷毗訶) / 이비가지(夷毗訶支)
    • 정견모주(正見母主)
    • 뇌질주일(惱窒朱日), 뇌질청예(惱窒靑裔)[6]

  • 황세장군과 출낭자
    • 황정승
    • 출정승[8]
    • 황세(黃洗)
    • 여의(如意)
    • 유민공주[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2:27:26에 나무위키 가야/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서기 기년에는 기원전 1세기로 나오나 설화적 성격이 강해서 진실일 가능성은 낮다.[2] 강수의 아버지.[3] 총 9명으로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五刀干)·유수간(留水干)·유천간(留天干)·신천간(神天干)·오천간(五天干)·신귀간(神鬼干)을 말한다.[4] 가락국기에 기록된 석탈해의 아버지. 완하국의 왕이라고 한다.[5] 삼국유사에 인용된 가락국기의 기록[6] 각각 이진아시왕, 수로왕에 해당된다.[7]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인용된 석순응전, 석이정전의 기록.[8] 겸지왕의 부인 왕후 숙(淑) 아버지 각간 출중(出忠)이 모티브로 추정된다.[9] 겸지왕의 딸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