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侻}}}가벼울 탈/알맞을 태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9획
미배정
미배정
-
}}}
일본어 음독
タイ, タツ
일본어 훈독
-
-
}}}
표준 중국어
tuì, tuō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侻은 '가벼울 탈' 내지는 '알맞을 태'라는 한자로, '가볍다', '알맞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4FB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CRU(人金口山)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바꿀 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일본어[편집]



3.6.1. 훈독[편집]



3.6.2. 음독[편집]



3.7. 중국어[편집]



3.8.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가벼울 경)
  • 𩇫(가벼울 비)
  • (가벼울 엽)
  • 𡛟(가벼울 월)
  • (가벼울 유)
  • (가벼울 편)
  • /(가벼울 표)

5. 상대자[편집]


  • (무거울 근)
  • (무거울 수)
  • 𠍪[⿰亻⿱豕灬](무거울 저)
  • (무거울 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𥹲(싸라기 대)
  • 𣇋(저물 만)
  • (말씀 설/달랠 세)
  • (맛볼 설)
  • (강신제 세)
  • (세금 세)
  • (수건 세)
  • (수의 세)
  • (씻을 세)
  • (작은 제사 세)
  • (잿물 세)
  • (허물 세)
  • 𨁑(가시 밟을 열)
  • (기쁠 열)
  • (갈아 없앨 예)
  • (날카로울 예)
  • (막대기 탈/동자기둥 절)
  • /𨉋(벗을 탈)
  • (작은 가물치 탈)
  • 𩊭(기울 태)
  • (깊고 펀펀한 모양 태)
  • (말빨리달릴 태)
  • (명주 태)
  • (아름다울 태)
  • 𩎰(자루 혜)
  • 𨹪
  • 𦩃
  • 𨌔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9:44:4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