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70공병단

덤프버전 : (♥ 0)




제1170공병단
第1170工兵團
The 1170th Engineer Corps
파일:제8군단.svg
창설일0000년 00월 00일(제1170공병단)
해체일2021년 12월 01일
상징명칭충용공병
소속대한민국 육군
명령 체계제8군단
규모
역할8군단 공병지원
해체 전 단장대령 000(육사 00기)
위치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1. 개요
2. 특징
3. 예하부대
3.1. 단직할대
3.2. 제136공병대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6. 기타
6.1. 근무환경
6.2. 부대가
7. 사건사고
8.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제8군단 예하 공병단이었다.


2. 특징[편집]


강원도 양양군 위치하며 제8군단 공병지원을 담당하고 있었다.

공병이라는 이름에 맞게 연대급 규모로 단장은 대령급이 역임했었다.


3. 예하부대[편집]



3.1. 단직할대[편집]


  • 본부중대
  • 장비중대
  • 교량중대

3.2. 제136공병대대[편집]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단직할대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었다. 유격, 혹한기의 행군을 단직할대 왕복코스로 구성했었다.

4. 과거부대[편집]




5. 출신인물[편집]



5.1. 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170공병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단장
00대000예) 대령육사 00기단장
00대최용규대령단장
00대박형석대령학군 26기단장
00대이동민대령육사 46기단장
00대최진완대령학군 28기단장
00대000대령육사 00기단장


5.2. 장교/부사관[편집]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136공병대대 기준으로 양양터미널에서 택시 기본요금으로 왕복할 수 있다. 강원도 내의 부대치고는 교통은 괜찮은 편.

6.2. 부대가[편집]



7. 사건사고[편집]



8.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43:46에 나무위키 제1170공병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