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경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오만

서아시아경제
키프로스아나톨리아페르시아
ta-hash-start=w-2dccf6705e5b830d7fdb5f915694a678[[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ta-hash-start=w-5d944358f99554eb0ce6e66402f77404[[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ta-hash-start=w-420e075d7059c4778c23a02ae4125bdb[[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ta-hash-start=w-c73e7f943839a71a151742af7104a8a2[[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ta-hash-start=w-1a13f50bb84f047a40d7834f97f3f8dd[[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캅카스
ta-hash-start=w-b99c61acedb54c5253819b7b4f2d88c6[[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ta-hash-start=w-bee3d07327a21d8e7f02e10ba4b35c15[[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ta-hash-start=w-0b49a9811e1fc2a3b5eebf2411061887[[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ta-hash-start=w-54ca3e5a2cebd8681900aa488903e0ad[[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레반트
ta-hash-start=w-03114c0c3fae310726281dd79793bcc3[[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ta-hash-start=w-a3a0bac12700672bc9488d80c7d7adc2[[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ta-hash-start=w-21bc599fa4dd7ac5d5367f4398458adc[[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ta-hash-start=w-683a1c93fba8f45836af5ebf08c662f8[[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ta-hash-start=w-bc7dcd53d7e23cf2e0e61ef748c905b0[[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ta-hash-start=w-7c5256aaa04f375abfd1b271744cf74d[[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아라비아 반도
ta-hash-start=w-a49ab7f57366ac88e823ae316a39e6fb[[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ta-hash-start=w-0745c9f3b077943479f915522823b209[[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ta-hash-start=w-c43aa697165c1f99d53d37d5d279f9a3[[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ta-hash-start=w-51fc3e8151a09d12c0fa4b29a7898567[[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ta-hash-start=w-af1f6658a546ce4e40e87c489224e23e[[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ta-hash-start=w-a661c28041b100e3187b142c4e5b3c9d[[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ta-hash-start=w-e71115f0e8e04f6a0f69a223797f308a[[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61B 33%,transparent 33%), linear-gradient(to bottom, #fff 10%, #db161b 10%, #db161b 90%, #0080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오만|[[파일:오만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오만
관련 문서
}}}}}}
<^|1><height=34><colcolor=#fff><bgcolor=#0080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오만의 경제 정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Muscat_Oman.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Oman_%28better%29_%28orthographic_projection%29.svg.png
명목 GDP$766억 900만(2019년,67위)
GDP(PPP)$2,039억 5900만(2019년,64위)
1인당 명목 GDP$17,791(2019년,46위)
1인당 GDP(PPP)$47,365(2019년,25위)
수출$21,000,000,000(2016년)
수입$20,600,000,000(2016년)
신용등급무디스 Ba1
S&P BB
피치 BB+
외환보유고$16,000,000,000(2019년 10월 기준)
GDP 대비 공공부채41.3%(2017년)
화폐 단위오만 리알
ISO 4217OMR

1. 개요
2. 산업 구조
2.1. GDP 구조
3. 무역 구조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오만은 산유국으로 석유수출 국가이다. 수출의 대부분을 석유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석유 시추는 1960년 부터 시행하였다. 이후 오만의 석유산업은 오만경제의 막대한 영역을 차지하였다. 1999년 기준으로 오만의 수출에서 석유-천연가스 관련 제품이 차지하는 80% 이상이다. 오만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대비하여[1] 경공업을 육성하고 있다. 1992년 부터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불황을 대비하기 위해 5차 5개년 개발계획을 추진하는 중이다. 이러한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하였으며 2006년에 6.6%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데 디딤돌이 되었다.

하지만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불황은 피할수가 없었던지라 2015년부터 재정적자가 심해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오만 정부는 여태까지 국민들에게 지급되었던 연료 보조금을 삭감하기 시작했고 휘발유 가격을 올렸다. 국방예산 역시 재정적자로 25%나 축소해야 했다. 불황이 심하다보니 국가신용등급 역시 하락했는데 S&P는 오만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낮추었고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보았다.

무디스는 2019년 3월 5일에 오만의 국가신용등급을 Ba1으로 내리고 등급전망도 부정적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중동국가들이 그렇듯이 오만도 현재 탈석유 시대로 들어섰다. 2021년 5월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린수소 생산단지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관광업으로도 적지 않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옆나라 예멘이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수준의 치안을 자랑하며 관광객도 이슬람 규율을 크게 지킬 필요도 거의 없다는 점이 오만 관광의 메리트이다.

2. 산업 구조[편집]



2.1. GDP 구조[편집]


오만의 2006년 기준 산업별 구성 비율은 아래와 같다. [2]
공업38.8%
서비스업58.7%
농업2.5%

3. 무역 구조[편집]


파일:2021년 오만 수출 HS17_4 OEC.png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오만의 수출구조.#
위 트리맵은 2021년 오만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오만은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금속류(Metals),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수송수단(Transportation), 기계류(Machines), 식품류(Foodstuffs), 축·수산물(Animal Products), 석재·유리(Stone and Glass), 농산물(Vegetable Products),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종이류(Paper Goods), 계기류(Instruments), 의류·섬유류(Textiles), 귀금속류(Precious Metals), 기타(Miscellaneous),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천연피혁류(Animal Hides), 무기류(Weapon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오만은 2021년 599억 달러를 수출했다.

파일:2021년 오만 수입 HS17_4 OEC.png
OEC에 따른 2021년 오만의 수입구조.#
위 트리맵은 2021년 오만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오만은 기계류(Machines),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금속류(Metals), 수송수단(Transportation),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식품류(Foodstuffs), 축·수산물(Animal Products), 농산물(Vegetable Products),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의류·섬유류(Textiles), 귀금속류(Precious Metals), 계기류(Instruments), 기타(Miscellaneous), 석재·유리(Stone and Glass),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종이류(Paper Goods),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무기류(Weapons), 천연피혁류(Animal Hides),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오만은 2021년 341억 달러를 수입했다.
OEC에 따르면 2021년 오만은 599억 달러를 수출하고 341억 달러를 수입, 25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로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출의 64.8%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기계류, 광물제품류, 금속류, 수송수단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7.2%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한국, 미국, 카타르, 일본, 브라질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6:58:47에 나무위키 오만/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만의 석유 매장량은 다른 걸프만의 국가들보다 그 양이 적으며 생산비용까지 높아 석유가 고갈될시 입을 경제적 타격이 엄청나다.[2]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7755&mobile&categoryId=200000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