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히텐슈타인/경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리히텐슈타인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2B7F 50%,#ce1126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D83D"
[[리히텐슈타인|[[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리히텐슈타인
관련 문서
}}} }}}
<^|1><height=34><colcolor=#FFD83D><bgcolor=#ce1126,#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3202_-_Vaduz_-_%C3%84ulestrasse.jpg

리히텐슈타인의 경제 정보
인구37,340명 (2015년)
경제 규모(명목 GDP)51억 달러(약 5조 원), 2012년 세계 147위
경제 규모(PPP)35억 달러(약 3조 원), 2012년 세계 163위
1인당 명목 GDP143,151 달러 - 세계 2위
1인당 PPP98,432 달러 - 세계 2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알 수 없음
통화스위스 프랑(CHF)

1. 개요
2. 세금
3. 산업 구조


1. 개요[편집]


리히텐슈타인은 알프스 산맥 한복판의 산악국가로 금융업이 핵심 산업이다. 세금을 내지 않으려는 전 세계 부자들의 재산을 맡아 숨겨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리히텐슈타인의 LGT라는 은행은 사실상 한스아담 2세의 개인 소유다.# 원래 왕실 재산을 보관하고 불리는 가족 은행이었는데 돈을 숨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아예 사업 방향을 돈세탁으로 튼 것으로 알려졌다.[1]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한스아담 2세의 개인 재산은 50억 달러(5조 4600억원). 세계 군주 가운데 6위, 유럽 군주 가운데는 가장 부자다. #

2009년 1인당 GNI가 세계에서 제일 높은 국가(9만 9천 159달러)에 랭크된 나라이기도 하다. 사실 이 나라 사람들은 스위스나 오스트리아에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침대 국가로 불리기도 한다. 이렇게 리히텐슈타인의 수입의 45%는 해외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벌어오므로, 1인당 GDP가 의미가 없는 특이한 나라.

사실상 스위스의 보호국이라 돈도 스위스 프랑을 사용한다.[2] 하지만 유럽 상당수 국가가 유로화로 통화로 채택하면서 역시 유로화도 취급하고 있다.[3] 그런데 우편 시스템은 스위스와는 따로 있다. 특히 리히텐슈타인의 우표가 유명해서 우표를 수집하는 사람에게는 나름대로 꿈의 나라. 근처를 지나갈 일이 있으면, 우표나 사가자고 리히텐슈타인까지 겸사겸사 들르는 사람들이 꽤 있어서 관광수입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건설현장이나 공장에서는 인연이 깊다. 유명 공구회사 힐티(HILTI)가 리히텐슈타인에서 창업한 회사이다. 리히텐슈타인 국내 회사 중 가장 많은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회사이기도 하다.

리히텐슈타인 샨(Schaan)에 위치한 이보클라 비바덴트(Ivoclar Vivadent AG)라는 치과용품 제조회사도 있다. 전 세계 틀니20%가 리히텐슈타인에서 생산된다. 포브스 억만장자 순위에 리히텐슈타인 사람으로는 유일하게 올라온 크리스토프 젤러가 이 회사의 오너이다. 재산은 약 30억 달러(2019년 현재 약 3.5조원).[4]


2. 세금[편집]


세금이 없는 국가라고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으나, 세율이 낮지만 엄연히 세금이 있다.

세율이 매우 낮은 국가 중의 하나이다. 때문에 조세회피처로 쓰기 위해 각국의 회사들이 이 곳에 설립해놓은 지주회사페이퍼 컴퍼니(일명 Letter Box Company) 들이 많아서 인구수 보다 등록된 회사수가 많은 국가다. 회사뿐 아니라 외국의 부자들이 재산은닉을 위해 명의신탁 해놓은 재단들도 - 대개는 리히텐슈타인 변호사 명의 - 많이 등록되어 있다. 인구 3만 7천명에 등록법인은 7만 3천개를 넘는다. 덕분에 이 회사들로부터 나오는 수입이 리히텐슈타인 예산의 30% 정도라고 한다. 흔히 우표사업이 제1위의 수입원이라고 알려진 것도 대표적인 정보 조작 중의 하나이며, 우표 수입의 비중은 생각보다 작다고 한다.
  • 법인세 - 일률적으로 12.5% - 유럽내에서 안도라의 10%에 이어 두번째로 낮은 세율이며, 조세회피를 위해 각종 페이퍼 컴퍼니가 몰리는 가장 큰 이유.
  • 소득세 - 기본세율 1.2%에서 시작하여 각 지방마다 다른 세금이 합쳐져 17.82% 수준.
  • 사회보장세 - 최저 4.3%~11%
각종 소득세 총합이 29% 정도라고 하며 유럽에서는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재산세가 매우 낮아 0.89% 수준이며, 증여세/상속세도 배우자(0.5%), 자녀(0.75%), 가족이 아닌 경우에도 최고 27% 에 불과하다.

이러한 부자들을 위한 조세제도가 리히텐슈타인을 조세회피처로 기능하도록 만들었으며, 국제사회에서 블랙리스트 국가에 오르는 등 문제가 되기도 한다. 리히텐슈타인 정부에서는 겉으로는 개선할 조치를 취하지만, 자국에 이익이 되기에 근본적인 해결에는 적극적이지 않은 듯. 이와 관련해 드라마 슈츠에서는 "스테로이드 맞은 스위스"로 표현되기도 했다.


3. 산업 구조[편집]


  • 산업별 GDP (2008년 기준)
산업GDP 점유율
농업7.1%
공업42.8%
서비스업50.1%
합계100%
  • 산업별 고용인력 (2010년 기준)
산업고용인력비율
농업0.8%
공업39.3%
서비스업59.9%
합계100%
  • 노동인구 (2008년 기준)
국적인원비율비고
자국인10,440명29.5%
외국인7,550명21.3%국내체류 외국인
통근외국인17,450명49.2%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에서 통근하는 인력
합계35,440명1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1:58:21에 나무위키 리히텐슈타인/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세 피난처의 원조 중 하나다. 아예 관련 법을 1926년부터 만들었다.[2] 과거엔 신성 로마 제국의 영향으로 1852년 오스트리아와 맺은 관세동맹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크로네를 사용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 붕괴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봉신국에서 벗어나 스위스의 보호국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아주 짧게 임시 자국통화도 발행했으나 스위스와 1919년 관세동맹을 체결한 이후로는 스위스 프랑을 사용하고 있다.[3] 리히텐슈타인은 EFTA 가입국이지만, 유럽연합에는 가입되어 있지 않은 4개국인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중 하나이다. EU 가입국과 거의 동등한 대우를 받지만, 리히텐슈타인의 외교를 위임받은 스위스가 영세중립국이라는 정치적 문제로 EU 가입을 하지 않고 있으며, 스위스의 보호국인 리히텐슈타인도 마찬가지로 영세중립국이라는 이유 등으로 스위스의 정책에 따르고 있다.[4] 한스 아담 2세가 리스트에 등재되지 않은 이유는 각국의 왕실이나 독재자 등의 위치에 있는 사람은 순위에서 제외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