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ZD 아레나

덤프버전 : (♥ 0)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2024-25 시즌 구단별 홈구장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ffffff,#191919> 안지
아레나
[1]
파일:Dinamo_logo_PNG.png
||<width=25%> VTB
아레나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width=25%> 로스토프
아레나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width=25%> RZD
아레나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아크 바르스
아레나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 옷크리티예 반크
아레나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
[2]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 아흐마트
아레나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가조비크
스타디움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 가즈프롬
아레나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 VEB
아레나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 니즈니 노브고로드
스타디움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 중앙 무역 연합
스타디움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 아레나
힘키

파일:FC 힘키 로고.svg
||
||<-4><rowbgcolor=#071130> *표시 - 인조잔디 구장 ||
||<-4><bgcolor=#000> 파일:1st_League_Logo_2022.png ||
||<-4><bgcolor=#f7f7f7,#222>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1] 기존에 사용하던 트루트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2] 기존에 사용하던 크리스탈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
||



파일:7b8bcb97211ebb0a6cd3603cd6326.jp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RZD 아레나
(РЖД Арена)
위치러시아 모스크바
소유러시아 철도
운영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수용 능력27,320석
필드 크기104 × 68m
잔디천연잔디
기공2000년
개장2002년 7월 5일
건설 비용1억 7천만 달러
건축가드미트리 부시
홈팀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UEFA 명칭스타디온 로코모티프[1]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축구 경기장이다.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홈경기장이다. 2002년에 재건축되었고 27,320석 규모가 됐다. 경기장의 재건축에는 러시아 교통부가 1억 7000만 달러의 비용을 지원했다. 2010 FIFA 월드컵 예선 일부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홈팀인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운영에 러시아 철도가 참여하고 있어, 골이 들어가면 기차 경적 소리를 울려준다. 참고로 이미 소련 시절부터 철도가 운영에 참가했다.

한 때 러시아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멋진 축구경기장이었으나 현재는 러시아 내 다른 축구장들이 훨씬 크고 더욱 현대적으로 건설되자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회장은 이를 인식한 듯 2020년까지 경기장을 대대적으로 개보수 하기로 하였는데 사실 이전부터 좌석을 늘리고 돔을 설치하고 좀 더 현대적으로 개보수를 계획하고 있었다. 공사는 2019년부터 시작한다.

2021년부터 다시한번 경기장 개조를 시작하면서, 2021-22시즌의 로코모티프는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하게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3:40:17에 나무위키 RZD 아레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EFA의 규정에 따라 UEFA 주관 대회에서는 스폰서의 이름이 포함 되어있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