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XT 위민스 챔피언십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WE에 소속된 다른 위민스 챔피언십에 대한 내용은 WWE 위민스 챔피언 문서
WWE 위민스 챔피언번 문단을
WWE 위민스 챔피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XT_WomensChampionship--f61b92a1be288ebb84fac3dcd4c9391e.png
현재 타이틀 명칭NXT 위민스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라이라 발키리아
챔피언 등극일2023년 10월 24일
NXT 할로윈 해벅(2023)
이전 챔피언베키 린치
단체WWE
소속 브랜드NXT
벨트 창설일2013년 7월 24일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페이지
최다 획득 챔피언셰이나 베이즐러
샬럿 플레어
2회
최장기간 챔피언아스카523일
최단기간 챔피언인디 하트웰31일
최고령 챔피언셰이나 베이즐러38세
최연소 챔피언페이지20세
최중량급 챔피언라켈 곤잘레스80kg
최경량급 챔피언카이리 세인50kg
1. 개요 및 역사
2. 벨트 디자인 변천사
3. 역대 챔피언 목록



1. 개요 및 역사[편집]


WWE에 존재하는 챔피언쉽으로 신인육성 브랜드에서 기존의 FCW와 통합되면서 산하단체로 변신한 NXT를 대표하는 여성 챔피언 타이틀이다.[1] 2013년 6월 초대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가 진행되고 7월 24일 결승전(녹화일은 6월 20일)에서 페이지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초대 챔피언이 된다.

2013~2015년까지 WWE 본진의 디바들도 예전의 여러 선수들에 비하면 경기력이 좋은 편이지만 NXT의 여성 디비전의 경기력은 더욱 우수했으며, NXT 내에서의 디바 디비전의 비중은 WWE에 비해서 더 높았다. NXT의 디바들이 WWE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중이다. 경기력 못지 않게 미모와 매력이 중요한 요소인 디바 디비전이다 보니 일단 2015년 초까지는 매 페이퍼뷰마다 양질의 경기를 쏟아내서 호평을 받았다. 하우스 쇼에서는 NXT 위민스 챔피언쉽이 NXT 챔피언쉽을 능가하고 메인 이벤트로 배치되는 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다.

2017년 4월 1일 테이크오버: 올랜도에서 NXT 모든 챔피언십 밸트가 새 디자인의 벨트로 바뀌었다. 벨트가 바뀌면서 메인 로스터의 위민스 챔피언십과 동일하게 사이드 플레이트에 선수 개인의 커스텀 플레이트를 끼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NXT가 어느새 메인 브랜드와 다를 바 없는 위상을 지니게 되면서 동시의 타이틀의 위상도 전보다 격상되었다.

2022년 4월 2일 NXT 스탠드 & 딜리버 2022에서 또한번 새 디자인의 벨트로 바뀌었는데, 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처럼 벨트의 가죽이 하얀색으로 변경되었다.

2. 벨트 디자인 변천사[편집]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WWE_NXT_Women%27s_Championship.png
2017년 테이크오버: 올랜도 전까지 사용되던 벨트

파일:external/www.wwe.com/NXT_Womens_Championship--934970350d445835eff37fee38acb2a0.png
2017년 테이크오버: 올랜도를 시작으로 2022년 3월까지 사용되던 벨트


3.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페이지1회2013년 7월 24일 (274일)WWE NXT
-공석-2014년 4월 24일WWE NXT[2]
2샬럿1회2014년 5월 29일 (258일)NXT 테이크오버[3]
3사샤 뱅크스1회2015년 2월 11일 (192일)NXT 테이크오버: 라이벌
4베일리1회2015년 8월 22일 (223일)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5아스카1회2016년 4월 1일 (523일)NXT 테이크오버: 댈러스[4]
-공석-2017년 9월 6일WWE NXT[5]
6엠버 문1회2017년 11월 18일 (140일)NXT 테이크오버: 워게임스
7셰이나 베이즐러1회2018년 4월 7일 (133일)NXT 테이크오버: 뉴올리언스
8카이리 세인1회2018년 8월 18일 (71일)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IV
9셰이나 베이즐러2회2018년 10월 28일 (416일)WWE 에볼루션
10리아 리플리1회2019년 12월 18일 (109일)WWE NXT[6]
11샬럿 플레어2회202년 4월 5일 (63일)WWE 레슬매니아 36 NIGHT 2
12시라이 이오1회2020년 6월 7일 (304일)NXT 테이크오버: 인 유어 하우스
13라켈 곤잘레스1회2021년 4월 7일 (202일)NXT 테이크오버: 스탠드 & 딜리버 NIGHT 1
14맨디 로즈1회2021년 10월 26일 (413일)WWE NXT 2.0 : WWE 할로윈 해벅(2021)
15록샌 페레즈1회2022년 12월 13일 (109일)WWE NXT
16인디 하트웰1회2023년 4월 1일 (31일)NXT 스탠드 & 딜리버 2023
-공석-2023년 5월 2일WWE NXT[7][8]
17티파니 스트랫턴1회2023년 5월 28일 (107일)NXT 배틀그라운드 2023
18베키 린치1회2023년 9월 12일 (42일)WWE NXT
19라이라 발키리아1회2023년 10월 24일 (235일)NXT 할로윈 해벅(20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20:51:55에 나무위키 NXT 위민스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신인 FCW에는 FCW 디바스 챔피언쉽 타이틀과 'Queen of FCW'라는 티아라 형태의 챔피언쉽이 있었다.[2] WWE로 승격한 페이지가 타이틀을 반납했고 새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를 열기 위해 공석 처리한다.[3]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나탈리아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 샬럿릭 플레어의 딸이고, 나탈리아는 브렛 하트의 조카라서 두 레전드가 링 코너에서 경기를 지켜보았다.[4] 아스카의 K.O 승. 아스카는 NXT 최초의 동양인 챔피언이기도 하다.[5] 아스카의 부상과 메인 로스터 콜업이 맞물려서 아스카가 타이틀을 반납하는데, 실제 녹화일은 2017년 8월 24일이다.[6] NXT UK 위민스 챔피언 획득 기록도 가지고있는 최초의 여성 선수다.[7] 2023 WWE 드래프트를 통해 인디 하트웰RAW로 콜업되면서 챔피언십을 반납, NXT 배틀그라운드에서 차기 챔피언이 결정된다.[8] 태그팀 챔피언인 아일라 던과 알바 파이어는 아직 타이틀을 반납하지 않은 점, 드래프트 자체는 백래쉬 이후부터 적용된다는 발표도 있었던 점을 비뤄볼땐 드래프트 보다는 인디 하트웰의 부상때문에 반납한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