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

덤프버전 :



파일:bt-logo-white.png

파일:sdfiusdfdfsf.png}}}
본명
브라이언 웨인 트랜소
Brian Wayne Transeau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출생
1971년 10월 4일 (52세)
메릴랜드 록빌
직업
프로듀서, DJ
활동 시기
1989년 - 현재
장르
일렉트로니카, 트랜스, 트립합, IDM, 앰비언트, 하우스, 브레이크비트, 오케스트라
소속
워너 뮤직 그룹
관련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활동
4. 앨범
4.1. 정규 앨범
4.1.1. 今 (Ima)
4.1.2. ESCM
4.1.3. Movement In Still Life
4.1.4. Emotional Technology
4.1.5. This Binary Universe
4.1.6. These Hopeful Machines
4.1.7. If The Stars Are Eternal So Are You And I
4.1.8. Morceau Subrosa
4.1.9. A Song Across Wires
4.1.11. Between Here And You
4.1.12. Everything You're Searching For Is On The Other Side Of Fear
4.1.13. The Lost Art Of Longing
4.1.14. Metaversal
4.1.15. The Secret Language Of Trees
5. 기타


1. 개요[편집]


메릴랜드 출신의 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 겸 사운드 엔지니어.


2. 특징[편집]


한창 뮤지션으로 활발히 활동할 때는 주로 트랜스 장르의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작곡했으나 정확하게는 다른 장르와의 융합을 통한 프로그레시브 계열의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작곡했다. 특히나 작곡과 프로듀싱을 안 해본 장르가 없을 정도로 정말 다양한 장르 음악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프로듀싱 능력을 지닌 천재로 불린다[1][2].

그의 음악만큼 유명한게 사운드 엔지니어링인데 현재도 작곡되고 있는 EDM 음악의 현대적인 기술적 기법들을 다듬은 뮤지션으로 꼽힌다. 거기에다 에이펙스 트윈처럼 본인이 가상악기까지 만들어내는 수준까지 도달해 이를 기반으로 정말 독특한 음악적 시도를 많이 보여준다.

대표곡은 Flaming June[3], Somnambulist, A Million Stars, Tomahawk, Every Other Way, Skylarking, Kimosabe[4]가 있다.


3. 활동[편집]


90년대 중반부터 등장했으며, 대단한 인기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메이저한 인지도를 획득했다. 초창기 앨범은 클래식한 90년대 트랜스 정서가 강하지만[5], 이후 전성기때는 브레이크비트(Fibonacci Sequence), 드럼앤베이스(Flaming June 끝부분) 등을 접목한 곡을 내놓기도 하며 퓨전 트랜스계열에서는 유명해진다. 또 일류급 보컬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보컬 실력 또한 제법 준수해, 자신의 프로듀싱과 함께 보컬을 잘 활용할 줄도 안다. 대표적으로 2000년 발매한 Movement In Still Life의 수록곡인 잔잔한 사운드의 "Satelite"[6]와 2003년 발매한 Emotional Technology의 "Circle"이 그것으로, 트랜스와 전자음악뿐만 아니라 록 음악 적인 요소나 어쿠스틱 사운드 등,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폭넓은 작업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작 This Binary Universe 이후 4년 뒤 발매한 These Hopeful Machines는 전작과 완전히 다른 팝적인 사운드 및 신스팝, 락을 구사해 팬들에게 충격을 주기도 했다. 꽤나 명반이고, 2011년에 그래미 어워드의 최고의 일렉트로닉 앨범 상의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그의 독특한 음악적 시도는 2006년 앨범인 This Binary Universe에서 그 정점을 찍는다. 딸에게 바치는 이 앨범에서 BT는 앰비언트 사운드 위에 서킷 벤딩같은 테크닉들을 이용해 IDM에 가까운 글리치를 선보이며, 110명의 대규모 오케스트라까지 동원하는 엄청난 스케일을 자랑한다[7]. 심지어 앨범의 인트로인 All That Makes Us Human Continues프로그래밍만으로 쓴 곡이다![8] 이후 2012년에 비슷한 분위기의 앨범인 If The Stars Are Eternal So Are You And I와 Morceau Subrosa[9]를 발매하기도 했다. 2013년 발매한 정규 앨범 A Song Across Wires에서는 덥스텝을 구사하기도 하고, 트랜스계에서는 최초로 한국인 보컬 바다와 작업한 곡을 내놓기도 하였다.[10] 뿐만 아니라 분노의 질주몬스터같은 영화의 사운드트랙도 도맡아 프로듀싱한적도 있다. 여하튼 장르 구분이 의미가 없는 일렉트로닉 씬의 천재 중 하나.


4. 앨범[편집]



4.1. 정규 앨범[편집]



4.1.1. 今 (Ima)[편집]


今 Ima

파일:Ima_19951009_UK.jpg


파일:Ima_19961105_US.jpg

영국반 앨범 아트
미국반 앨범 아트
발매일
1995년 10월 9일^(영국)^
1996년 11월 5일^(미국)^
러닝타임
78:40^(영국 발매반)^
138:39^(미국 발매반)^

장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 브레이크스 |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레이블
Perfecto | Kinetic[A] | Reprise[A]
BT의 정규 데뷔 앨범. 1995년 10월 9일 발매. 여러 평점 매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앨범이다. 자연의 소리와 클럽 댄스 뮤직의 조화를 이룬 앨범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미 이 때부터 그의 천재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트랙 중 'Sasha's Voyage Of Ima' 라는 트랙은 제목 그대로 영국의 DJ Sasha가 만든 DJ 믹스 트랙이다. Sasha가 BT의 곡을 듣고 재능을 알아봐 직접 컨택을 했다고 한다.
영국 발매반 트랙 리스트
#
트랙
길이
1
Nocturnal Transmission
9:06
2
Quark
7:22
3
Tripping The Light Fantastic
6:30
4
Sasha's Voyage Of Ima
4-1. Embracing The Future (Embracing The Sunshine Mix)4-2. Quark4-3. Embracing The Sunshine (Deeper Sunshine Mix)4-4. Loving You More (BT's Garden Of Ima Dub)4-5. Loving You More (BT's Final Spiritual Journey)4-6. Nocturnal Transmission
4-7. Tripping The Light Fantastic
42:45
5
Divinity
10:58

미국 발매반 트랙 리스트
#
트랙
길이
Disc 1
1
Nocturnal Transmission
9:06
2
Quark
7:22
3
Tripping The Light Fantastic
6:30
4
Embracing The Future (Embracing The Sunshine Mix)
5:16
5
Embracing The Sunshine (Deeper Sunshine Mix)
7:00
6
Loving You More (BT's Garden Of Ima Dub)
9:31
7
Loving You More (Oakenfold & Osborne Radio Mix)
3:29
8
Poseidon
8:58
9
Embracing The Sunshine (Sasha's Remix)
10:57
Disc 2
1
Blue Skies
5:04
2
Blue Skies (The Delphinium Days Mix)
12:52
3
Sasha's Voyage Of Ima
4-1. Embracing The Future (Embracing The Sunshine Mix)4-2. Quark4-3. Embracing The Sunshine (Deeper Sunshine Mix)4-4. Loving You More (BT's Garden Of Ima Dub)4-5. Loving You More (BT's Final Spiritual Journey)4-6. Nocturnal Transmission
4-7. Tripping The Light Fantastic
42:45
4
Divinity
10:58

4.1.2. ESCM[편집]


ESCM

파일:ESCM_1997.jpg

발매일
1997년 9월 22일
러닝타임
76:04^(영국)^
71:23^(미국)^
81:25^(LP)^

장르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 브레이크스 | 다운템포 | 드럼 앤 베이스
레이블
Perfecto | Kinetic[A] | Reprise[A]
BT의 두 번째 정규 앨범. 이 때부터 그는 트랜스를 넘어서 다운템포, 드럼 앤 베이스를 구사하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으로 그가 뜨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앨범의 이름인 ESCM은 Electric Sky Church Music의 약자이다.

대표곡은 업리프팅과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씬에 엄청난 영향을 준 Flaming June.[11]
영국 발매반 트랙 리스트
#
트랙
길이
1
Firewater
8:42
2
Orbitus Teranium
8:10
3
Flaming June
8:31
4
The Road to Lostwithiel
5:26
5
Memories In A Sea Of Forgetfulness
7:40
6
Solar Plexus
4:14
7
Nectar
5:55
8
Remember
8:01
9
Love, Peace And Grease
5:21
10
Content
Flaming June (Reprise) - 1:11
10:51

미국 발매반 트랙 리스트
#
트랙
길이
1
Firewater
8:42
2
Orbitus Teranium
8:10
3
Flaming June
8:31
4
Lullaby For Gaia
5:26
5
Memories In A Sea Of Forgetfulness
7:40
6
Solar Plexus
4:14
7
Nectar
5:55
8
Remember
8:01
9
Love, Peace And Grease (BT Puma Fila Edit)
3:52
10
Content
Flaming June (Reprise) - 1:11
10:51


4.1.3. Movement In Still Life[편집]


  • Movement in Still Life

4.1.4. Emotional Technology[편집]


Emotional Technology

파일:BT_Emotional_Technology_05.08.03.jpg

발매일
2003년 8월 5일
러닝타임
78:13
62:50^(LP)^
154:13^(일본 발매반)^

장르
일렉트로니카 |
레이블
Nettwerk
BT의 정규 4집. 매 발매되는 앨범들마다 스타일을 바꾸는 성향의 소유자답게 4집은 일렉트로니카에 팝 뮤직을 섞은 작품으로 발표했으며, 전작에서 조금씩 사용하던 글리치 이펙트를 적극 활용하여 트랙 하나하나에 집어넣은 음악적 스타일이 특징이다. 그의 준수한 노래 실력과 보컬 편집 실력도 또 다른 특징. 대표곡은 Simply Being Loved (Somnambulist).[12]

트랙 리스트
#
트랙
길이
1
The Meeting of a Hundred Yang
0:44
2
Knowledge of Self
6:41
3
Superfabulous
4:40
4
Simply Being Loved (Somnambulist)
4:20
5
Force of Gravity
8:19
6
Dark Heart Dawning
7:08
7
The Great Escape
6:58
8
P A R I S
7:51
9
Circles
4:43
10
Last Moment of Clarity
7:21
11
Communicate
5:48
12
Animals
7:24
13
The Only Constant is Change
6:16
일본 한정 보너스 디스크
1
Kimosabe
6:55
2
Tao of the Machine
5:04
3
Love in the Time of Thieves
6:21
4
The Revolution
4:19
5
Simply Being Loved (Somnambulist) (Junkie XL Vocal Mix)
8:56
6
Simply Being Loved (Somnambulist) (Sander Kleinenberg's Convertible Mix)
10:03
7
Simply Being Loved (Somnambulist) (Burufunk Remix)
7:30
8
The Great Escape (Attention Deficit Mix)
10:37
9
Force of Gravity (Dylan Rhymes Push-up Mix)
8:37
10
Force of Gravity (Tiesto Remix)
7:48

4.1.5. This Binary Universe[편집]


  • This Binary Universe

4.1.6. These Hopeful Machines[편집]


  • These Hopeful Machines

4.1.7. If The Stars Are Eternal So Are You And I[편집]


  • If the Stars Are Eternal So Are You and I

4.1.8. Morceau Subrosa[편집]


  • Morceau Subrosa

4.1.9. A Song Across Wires[편집]


  • A Song Across Wires

4.1.10. _[편집]


  • _ [13]

4.1.11. Between Here And You[편집]


  • Between Here and You

4.1.12. Everything You're Searching For Is On The Other Side Of Fear[편집]


  • Everything You're Searching for Is on the Other Side of Fear

4.1.13. The Lost Art Of Longing[편집]


  • The Lost Art of Longing

4.1.14. Metaversal[편집]


  • Metaversal

4.1.15. The Secret Language Of Trees[편집]


The Secret Language Of Trees

파일:The Secret Language Of Trees_2023.jpg

발매일
2023년 6월 11일
러닝타임
145:59
장르
IDM | 앱스트랙트 | 앰비언트 | 익스페리멘탈
레이블
Monstercat
BT의 정규 15집. 몬스터캣에서 음원으로만 발매되었으며, 라디오 에딧과 프로듀서 컷으로 트랙들이 나뉘어져 있다.

5. 기타[편집]


글리치 이펙트를 즐겨쓰며, 이 덕분에 iZotope사의 Stutter Edit이라는 이펙터 플러그인의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좀 특이한 기네스북 기록을 하나 갖고 있는데, 한 곡 내에서 보컬편집을 가장 많이 한 곡Somnambulist (Simply Being Loved)로 기네스북 기록을 갖고 있다. 총 6,178번 보컬편집을 했다고.

버클리 음악대학 출신이며 현재 버클리 음악대학 전자음악과의 방문교수이다. #


버클리 음악대학의 발렌시아 켐퍼스를 방문한 BT의 강좌. BT는 버클리 음악대학에서 1년에 2번정도 강좌를 한다.


2014년 자신이 발매한 곡들을 모아 일렉트로니카 + 오케스트라 합주로 진행되는 콘서트 및 앨범인 'Electronic Opus'프로젝트를 위해 킥스타터 펀딩을 진행했다. 결과는 목표치인 20만 달러를 넘긴 254,767달러로 성공. 이 Electronic Opus 프로젝트는 약 1년간의 작업기간을 거쳐, 2015년 11월에 발매되었다. 기존 리스너들과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좋은 호평을 받으며 그의 천재성을 입증했다는 평을 받았다.

[1] 예를 하나 들지만 피아노 연주에 2살이라는 갓난아기 시절부터 관심을 보여 유소년 시기에 피아노 대회는 싹쓸이 하다시피 했다.[2] 이런 프로듀싱 능력 때문에 포터 로빈슨이 존경하는 아티스트로 꼽기도 했고 초창기까지는 서로 제자와 스승 관계로 사이가 좋았으나 유명세를 얻게 된 포터가 여러 공연을 다니고 매니저들이 많아지면서 연락이 두절된 바람에 브라이언이 트위터에 대놓고 불만을 쏟아낸 적이 있었다. 2023년 현재 그들의 관계가 어떤지는 불명. 그러나 2021년 EDC에서 BT가 자신의 곡 중 하나인 Every Other Way와 포터 로빈슨의 대표곡인 Language의 매쉬업을 마지막 곡으로 튼 걸 봐서는, 악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3] 1997년에 발매한 곡으로 이 곡은 현재의 프로그레시브 트랜스, 특히 업 리프팅 트랜스의 원조격에 해당되는 작품이라서 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4] 니드 포 스피드: 언더그라운드의 OST이자 오프닝.[5] 대표적으로 독일의 유명 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인 폴 반 다이크와 1996년에 발매한 Sunblind가 있다.[6]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곡의 주제가 우주에 관한 내용이다. 곡의 처음과 끝에 나오는 통신 내용은 실제로 NASA에서 우주 조종사들과 한 통신이기도 하다.[7] https://youtu.be/5ONqYRGzqQY 오케스트라는 6분부터[8] Csound를 사용했다고 한다.[9] 앨범의 풀네임은 SUPPLEMENTO {BT: Volume 01. SERAPHIM 09.} NUOVO MORCEAU SUBROSA {A topological ABSTRACT of Granular Systems} Symphonie elektronik [10] 제목은 City Life이며, 베이스볼 워너B에서 쓰이기도 하였다.[A] A B C D 미국 발매 레이블.[11] 파울 반 다이크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12] '한 곡 내에서 보컬 편집을 가장 많이 한 곡' 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는 노래이며, 총 6,178번 편집했다고 한다.[13] 앨범 제목이 언더바(_)가 맞다. 본래 BT는 앨범을 제목 없이 내고 싶어했으나, 음원 사이트에 무제로 앨범을 올릴 수 없어 언더바를 제목으로 했다고 한다. 제목에 리스너들이 의미를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05:53:17에 나무위키 BT(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