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덤프버전 : (♥ 0)




파일:UVH9V23ZBHN81591892480639.jpg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 2.svg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파일: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로고.svg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대회 기간2020년 1월 15일 ~ 6월 5일
주최/주관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SBS AfreecaTV 로고.svg
정규시즌 경기장온라인 / HOT6 아프리카 콜로세움
플레이오프 경기장HOT6 아프리카 콜로세움
대회 서버 버전정규시즌1.45 ~
플레이오프1.47.1
중계
[ 펼치기 · 접기 ]
플랫폼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글로벌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계진중계 / 해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상현, 이승원, 장지수, 정인호
파일:글로벌 아이콘.svgZP, Avast, Jaws, LEGDAY, LemonKiwi,
Heurix, Paulsible, lafon
일정
[ 펼치기 · 접기 ]
상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 $ 175,000
정규 시즌
주간 상금
1위$ 10,000
2위$ 5,187.5
3~4위$ 3,156.25
5~8위$ 1,812.50
9~12위$ 625
플레이오프 상금우승$ 20,000
준우승$ 9,000
3위$ 5,200
4위$ 4,800
5위~6위$ 3,000
7위~8위$ 2,500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준우승 파일:Runawaylogo.png RunAway
1. 2020 시즌 1 변경점
3. 참가 팀
4. 대회 규정
5. 경기 진행
6. 기록
6.1. 트라이얼 순위
6.1.1. 1주차
6.1.2. 2주차
6.1.3. 3주차
6.1.4. 4주차
6.2. 정규 시즌
6.2.1. 1주차
6.2.2. 2주차
6.2.3. 3주차
6.2.4. 4주차
6.2.5. 포인트 합산
6.3. 플레이오프
7. 주요 기록
8. 중계 축소
9. 둘러보기



1. 2020 시즌 1 변경점[편집]


2020 시즌부터 전 세계 컨텐더스가 기존의 사용했던 리그 구조를 버리고 격주 토너먼트 시리즈로 포맷을 바꾸어, 팀들이 점수를 축적해 지역 플레이오프 시리즈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단계는 다음과 같다.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jpg
순번구분기간대회 방식결과
1오픈 디비전7주6주: 스위스 라운드(정규 시즌)
1주: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플레이오프)
상위 4팀 트라이얼 진출[1]
2트라이얼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상위 8팀 컨텐더스 진출
하위 4팀 트라이얼 잔류
3컨텐더스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순위에 따라 포인트 지급
상위 4팀 컨텐더스 잔류
하위 8팀 트라이얼 직행
4트라이얼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상위 8팀 컨텐더스 진출
하위 4팀 오픈 디비전 플레이오프 직행
5컨텐더스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순위에 따라 포인트 지급
상위 4팀 컨텐더스 잔류
하위 8팀 트라이얼 직행
6오픈 디비전7주6주: 스위스 라운드(정규 시즌)
1주: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플레이오프)
상위 4팀 트라이얼 진출
7트라이얼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상위 8팀 컨텐더스 진출
하위 4팀 트라이얼 잔류
8컨텐더스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순위에 따라 포인트 지급
상위 4팀 컨텐더스 잔류
하위 8팀 트라이얼 직행
9트라이얼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상위 8팀 컨텐더스 진출
하위 4팀 다음 시즌 오픈 디비전 플레이오프 직행
10컨텐더스1주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순위에 따라 포인트 지급
상위 4팀 컨텐더스 잔류
하위 8팀 다음 시즌 트라이얼 직행
11컨텐더스
플레이오프
-포인트 상위 8팀 플레이오프 진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최종 시즌 우승자 결정

즉 1시즌 동안 오픈 디비전을 2번, 컨텐더스 트라이얼을 4번, 컨텐더스를 4번 동안 진행하고, 그 시즌을 진행하는 동안 오버워치 팀은 트라이얼이나 디비전에 강등되다가 다시 컨텐더스에 승격될 수도, 그 반대의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또한 4번의 컨텐더스 동안 포인트를 획득해서 상위 8팀을 뽑아 플레이오프를 진행하기 때문에 한 번 트라이얼에 강등되더라도 다시 승격해서 나머지 기간 동안 컨텐더스에서 잘 활약한다면 충분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다. 한 마디로 이전 시즌보다 더 많은 팀들, 특히 2019 시즌의 오픈 디비전 팀들에게 기회를 주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진행되면서 2020년 초에 2019 시즌 2 컨텐더스의 전체 팀을 예선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에 초대해 새로운 체계의 시드를 결정한다. 상위 4팀은 부전승으로 해당 지역의 첫 컨텐더스 토너먼트 8강전에 1 ~ 4번 시드를 받게 되며, 하위 4팀은 부전승으로 해당 지역의 첫 컨텐더스 트라이얼 토너먼트에 1 ~ 4번 시드를 받게 된다. 이 전환 과정은 2020년 체계에 공정한 시드를 배치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토너먼트라서 한 번만 진행한다.

또한, 2020년에는 거주 조건 정책이 폐기되고, 다른 로스터 조건을 충족한다면 지역에 관계없이 원하는 만큼의 선수를 컨텐더스 팀에서 운용할 수 있다.[2]

컨텐더스 한 주차마다 획득하는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1위 - 100점
  • 2위 - 50점
  • 3~4위 - 각 35점
  • 5~8위 - 각 20점
  • 9~12위 - 각 10점


2. 오프시즌[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프 시즌에 대한 내용은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오프시즌 문서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오프시즌번 문단을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오프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 팀[편집]


파일:DU-mc25X4AUr0Ro.png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2020 시즌 1 참가 팀
}}} ||


  • 팀별 로스터는 각 팀 문서 또는 리퀴피디아를 참고하십시오.


4. 대회 규정[편집]


  • 컨텐더스 주최 측이 사전에 지정한 맵들 가운데 시드가 높은 쪽이 1세트 전장을 결정하며, 2세트부터는 이전 세트 패배 팀이 다음 전장을 결정한다. 플레이오프 결승은 7전 4선승제, 나머지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마지막 세트가 끝나도 점수가 같을 경우에는 타이브레이커를 진행한다.
  • 공격 2명, 돌격 2명, 지원 2명이 고정되는 역할 고정(Role Lock)을 도입한다.
  • 무승부 세트가 발생할 경우 양 팀 모두 점수를 얻지 못한다.
  • 2세트부터는 이전 세트 패배 팀이 다음 세트 공격/수비를 결정한다.
  • 룰은 경쟁전 룰을 따른다. 쟁탈 3판 2선승, 호위, 점령, 혼합은 전후반 교대제.
  • 각 팀에게는 선수 교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 감정표현, 스프레이, 황금 무기는 사용 가능하나, 스킨 사용은 불가하다.


5. 경기 진행[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경기 일람
컨텐더스시드 결정전
(1/15 ~ 1/19)
1주차
(3/17 ~ 3/19)
2주차
(4/1 ~ 4/8)
3주차
(5/2 ~ 5/7)
4주차
(5/16 ~ 5/21)
플레이오프
(5/28 ~ 6/5)
트라이얼1주차
(3/11 ~ 3/13)
2주차
(3/25 ~ 3/27)
3주차
(4/24 ~ 4/26)
4주차
(5/8 ~ 5/10)
오픈 디비전시즌 1
(1/4 ~ 2/23)
시즌 2
(2/29 ~ 4/12)
팀별 평가 및 결산




6. 기록[편집]



6.1. 트라이얼 순위[편집]



6.1.1. 1주차[편집]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2020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1주차 순위
순위팀명세트득실비고
1파일:Team BM.pngBM4012-4+8-
2파일:Meta_A_logo_534.pngATH217-6+1-
3-4파일:T1 로고.svgT1115-3+2-
파일:WGS_Phoenix_Logo.pngWGS114-3+1-
5-8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011-3-2-
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114-3+1-
파일:OZ Esports.pngOZG113-30-
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113-30-
9-12파일:TOP HONOR.pngTOP011-2-2-
파일:167px-Looking_For_Sponser_Logo.pngLFS010-3-3-
파일:167px-Balance_Flame_Logo.pngBF010-3-3-
파일:Bravoss Gaming.pngBVG010-3-3-
초록색 : 컨텐더스 1주차 진출 | 빨간색 : 트라이얼 2주차 잔류




6.1.2. 2주차[편집]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2020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2주차 순위
순위팀명세트득실비고
1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309-2+7-
2파일:Meta_A_logo_534.pngATH319-5+4-
3-4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115-50-
파일:Runawaylogo.pngRUN113-30-
5-8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115-4+1-
파일:167px-Looking_For_Sponser_Logo.pngLFS113-30-
파일:TOP HONOR.pngTOP113-30-
파일:OZ Esports.pngOZG011-3-2-
9-12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011-3-2-
파일:167px-Balance_Flame_Logo.pngBF011-3-2-
파일:Bravoss Gaming.pngBVG011-3-2-
파일:Team BM.pngBM010-3-3-
초록색 : 컨텐더스 2주차 진출 | 빨간색 : 오픈 디비전 플레이오프 강등




6.1.3. 3주차[편집]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2020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3주차 순위
순위팀명세트득실비고
1파일:T1 로고.svgT1309-1+8-
2파일:Team BM.pngBM3110-4+6-
3-4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217-3+4-
파일:OZ Esports.pngOZG216-5+1-
5-8파일:Meta_A_logo_534.pngATH113-30-
파일:WGS_Phoenix_Logo.pngWGS012-3-1-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010-3-3-
파일:Gen.G 로고.svgGEN010-3-3-
9-12파일:Team_BlossoM_logo.pngBLS010-3-3-
파일:Bravoss Gaming.pngBVG010-3-3-
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010-3-3-
파일:136px-TEAM_PSR_LOGO.pngPRS010-3-3-
초록색 : 컨텐더스 3주차 진출 | 빨간색 : 트라이얼 4주차 잔류




6.1.4. 4주차[편집]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2020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4주차 순위
순위팀명세트득실비고
1파일:T1 로고.svgT14012-4+8-
2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217-5+2-
3-4파일:Meta_A_logo_534.pngATH217-5+2-
파일:Team BM.pngBM218-6+2-
5-8파일:Runawaylogo.pngRUN012-3-1-
파일:TOP HONOR.pngTOP012-3-1-
파일:WGS_Phoenix_Logo.pngWGS012-3-1-
파일:OZ Esports.pngOZG010-3-3-
9-12파일:Bravoss Gaming.pngBVG011-3-2-
파일:Team_BlossoM_logo.pngBLS010-3-3-
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010-3-3-
파일:136px-TEAM_PSR_LOGO.pngPSR010-3-3-
초록색 : 컨텐더스 4주차 진출 | 빨간색 : 오픈 디비전 플레이오프 강등




6.2. 정규 시즌[편집]



6.2.1. 1주차[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1주차 순위
순위세트 득실득실차획득 포인트비고
1파일:T1 로고.svgT14012-2+10100점
2파일:WGS_Phoenix_Logo.pngWGS319-5+450점
3-4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113-3035점
파일:Gen.G 로고 심플.svgGEN113-4-1
5-8파일:Runawaylogo.pngRUN011-3-220점
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113-30
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012-3-1
파일:OZ Esports.pngOZG114-3+1
9-12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011-3-210점
파일:Team BM.pngBM010-3-3
파일:Meta_A_logo_534.pngATH010-3-3
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010-3-3
초록색: 컨텐더스 2주차 잔류 | 빨간색: 트라이얼 2주차 직행




6.2.2. 2주차[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2주차 순위
순위세트 득실득실차획득 포인트비고
1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4012-2+10100점
2파일:TOP HONOR.pngTOP319-5+450점
3-4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216-5+135점
파일:Runawaylogo.pngRUN216-60
5-8파일:WGS_Phoenix_Logo.pngWGS012-3-120점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011-3-2
파일:Gen.G 로고 심플.svgGEN010-3-3
파일:T1 로고.svgT1010-3-3
9-12파일:Meta_A_logo_534.pngATH012-3-110점
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012-3-1
파일:OZ Esports.pngOZG011-3-2
파일:167px-Looking_For_Sponser_Logo.pngLFS011-3-2
초록색: 컨텐더스 3주차 잔류 | 빨간색: 트라이얼 3주차 직행 | 볼드체: 순위 확정




6.2.3. 3주차[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3주차 순위
순위세트 득실득실차획득 포인트비고
1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4012-5+7100점
2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3111-8+350점
3-4파일:Gen.G 로고.svgGEN218-6+235점
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114-3+1
5-8파일:WGS_Phoenix_Logo.pngWGS113-3020점
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012-3-1
파일:Runawaylogo.pngRUN012-3-1
파일:TOP HONOR.pngTOP011-3-2
9-12파일:T1 로고.svgT1012-3-110점
파일:Team BM.pngBM011-3-2
파일:Meta_A_logo_534.pngATH010-3-3
파일:OZ Esports.pngOZG010-3-3
초록색: 컨텐더스 4주차 잔류 | 빨간색: 트라이얼 4주차 직행




6.2.4. 4주차[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4주차 순위
순위세트 득실득실차획득 포인트비고
1파일:WGS_Phoenix_Logo.pngWGS4012-3+9100점
2파일:Runawaylogo.pngRUN3110-4+650점
3-4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216-4+235점
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114-3+1
5-8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012-3-120점
파일:OZ Esports.pngOZG113-4-1
파일:Gen.G 로고.svgGEN011-3-2
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010-3-3
9-12파일:Team BM.pngBM011-3-210점
파일:Meta_A_logo_534.pngATH010-3-3
파일:TOP HONOR.pngTOP010-3-3
파일:T1 로고.svgT1010-3-3
초록색: 컨텐더스 시즌 2 1주차 잔류 | 빨간색: 트라이얼 시즌 2 1주차 직행




6.2.5. 포인트 합산[편집]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포인트 합산 결과
순위1주차2주차3주차4주차포인트 합계비고
1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201003535190
1파일:WGS_Phoenix_Logo.pngWGS502020100190
3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101010020140
3파일:T1 로고.svgT1100201010140
5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35205020125
5파일:Runawaylogo.pngRUN20352050125
7파일:Gen.G 로고 심플.svgGEN35203520110
7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20352035110
[ 8위권 미만 팀 보기 ]
순위1주차2주차3주차4주차포인트 합계비고
9파일:TOP HONOR.pngTOP050201080
10파일:OZ Esports.pngOZG2010102060
11파일:Meta_A_logo_534.pngATH1010101040
12파일:Team BM.pngBM100101020
13파일:800px-GC_Busan_WAVE.pngGBW1000010
13파일:167px-Looking_For_Sponser_Logo.pngLFS0100010
초록색 플레이오프 진출 | 빨간색: 탈락


6.3.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플레이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 2020 코리아 시즌 1 플레이오프 순위
순위세트 전적득실비고
1파일:O2 BLAST 2019 logo.pngO2B4013-4-0+9우승, 쇼다운 진출
2파일:Runawaylogo.pngRUN4214-8-0+6준우승, 쇼다운 진출
3파일:WGS_Phoenix_Logo.pngWGS226-6-00패자 결승 탈락
4파일:230px-Battlica_logo.pngBTL2230-35-0-5패자 3라운드 탈락
5-6파일:Gen.G 로고.svgGEN1223-26-0-3패자 2라운드 탈락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EM1217-15-0+2패자 2라운드 탈락
7-8파일:T1 로고.svgT10213-18-0-5패자 1라운드 탈락
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LF024-12-0-8패자 1라운드 탈락



쇼다운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취소되었다.


7. 주요 기록[편집]


2019 시즌 2까지 개근했던 정기효(Xzi)가 파리 이터널으로, 김태훈(Fuze)이 런던 스핏파이어로, 박민석(Arrow)이 Talon Esports로 이적하게 되고 손영우(Undine)가 팀을 나가게 되면서 개근 선수는 2명으로 줄었다.


8. 중계 축소[편집]


트라이얼 강등과 컨텐 잔류를 결정하는 시드 결정전을 중계하지 않았다. 이는 컨텐더스 코리아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 하지만 시드 결정전도 충분히 팬들의 관심을 끌만한 경기였는데, 게임 결과만 트위터로 공지하게 되었다. 동기간에 진행된 오픈디비전도 중계해주는 마당에[3] 그보다 상위 경기인 컨텐 시드 결정전을 전혀 볼수가 없어 팬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대회 시스템을 개편하면서 트라이얼의 규모 역시 커졌는데, 트라이얼은 전혀 중계가 되지 않으며, 컨텐더스도 고작 4강부터 중계 해준다는 어이없는 경기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4] O2 Blast의 진석훈 감독은 트위터를 통해 소신 발언을 하면서 팬들을 대변하였다. [5] 소신발언 이후 진석훈 감독은 2차 트윗을 게시했는데, 블리자드 측으로부터 직접 연락이 닿아 거친 항의를 했다고 한다.

중계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에 대해 팩트체크를 해보면, 2019 컨텐더스 시즌 2에서는 정규시즌 28경기+플레이오프 5경기 총 33경기를 모두 중계해줬었다.[6] 이번 시즌에서는 정규시즌 4주차 X 3경기 총 12경기를 중계하고, 플레이오프는 8팀 더블 엘리미네이션이므로 14경기 총 26경기이다.[7] 이렇게 보면 중계경기가 총 7경기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차별 정규시즌 8강만 추가해도 16경기가 늘어나 42경기 중계로 오히려 작년보다 늘어나게 된다. 작년에 전 경기 중계에서 일부 경기 중계로 줄어들어 체감 상 경기 중계가 너무 줄은 것이 아니냐고 느껴질 수 있지만, 이번 시즌 룰이 변경됨에 따라 총 경기수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에 전 경기 중계가 힘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북미 등의 지역에서는 한국과는 달리 전 경기 중계를 한다는 점, 정규시즌 전 경기 중계가 아닌 일부 경기 중계로 편성이 변경되면서 오히려 약팀들은 중계를 볼 수가 없다는 점, 그리고 메타 순환을 위해 밴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데, 정작 대회는 딱 하루만 중계해주니 일반 팬들은 다양한 메타를 볼 수가 없다.[8] 이런 블리자드의 룰 변경은 컨텐더스의 흥행을 위축시켰다고 볼 수밖에 없다.[9]

중계권이 작년 WDG에서 올해 SBS Afreeca TV로 바뀌어[10] 점차 개선되는 중계범위를 기대해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정규시즌 오프라인 경기가 1년만에 부활한 것만 보더라도 유의미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 다음 시즌 부터는 다시 전 경기 생중계로 진행된다.


9.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프로가 되는 길
예선승강전 (폐지)본선
파일:Overwatch Open Division 2023 logo.png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파일:DU-mc25X4AUr0Ro.pn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오버워치 컨텐더스
오버워치 WDG 오픈 토너먼트코리아코리아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S3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
2021: S1S2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
2021: S1S2
2022: SSRIB
2023: SPSSMSFS
기타 대회
오버워치 코리아컵육군참모총장배 솔저: 76 토너먼트오버워치 대학경쟁전
→ 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2:10:39에 나무위키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 시즌 1은 8팀 진출.[2] 컨텐더스 차이나 제외.[3] 동시에 여러 게임이 진행되기에, 모든 경기를 중계하지 않고, 사전에 참가자들의 신청을 받은 경기만 중계해준다.[4] 블리자드 측은 중계 축소를 구실로 계속해서 리그에만 집중하고 컨텐더스는 계속 외면하고 있는데, 문제는 리그도 지금 유튜브 독점 스트리밍으로 넘어가고 나서 1주차 기준 시청자가 5할 이상 빠져나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는 것이다. 오죽했으면 오버워치 팬들은 타 게임사와 비교하면서 'APEX 폐지 안시키고 지역 리그제 그대로 진행 했어도 지금보다 나았다'며 혀를 찼다.[5] 컨텐더스 판도는 작년부터, 엘미, 러너웨이 투탑에, 젠지, O2가 이 둘을 뒤쫓고 있는 4강 체제다. 이들의 4강 체제가 견고히 유지된다면 이 네 팀의 경기만 중계해주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중계조차 되지 않는 하위 팀들은 스폰 및 운영이 힘들어지고, 컨텐더스 규모가 더욱 축소되는 형국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러너웨이, O2는 8강에서 탈락, 엘미 젠지도, 4강에서 탈락하였다. 하지만 역으로 러너웨이가 WGS에게 3대1로 셋업당한건 큰 사건인데, 이런 경기를 중계 안해준다는 것은 애석한 일[6] 건틀릿 결정전은 컨텐더스 코리아만의 경기었으므로 제외[7] 물론 시즌 플레이오프 모두를 중계해준다고 가정했을 때의 얘기다.[8] 참가 팀들은 리플레이 코드가 공유되기 때문에 타 경기의 전략들을 볼 수 있다. 러너 왈 경기 끝나면 단톡방에 관계자가 바로 코드를 올린다고 물론 일반인에게 이 코드는 비공개다. 어차피 대회 서버는 다르기 때문에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9] 러너웨이의 구단주 러너는 이런 팬들을 위로하고자 컨텐더스 2주차 러너웨이 대 WGS 경기 리플레이를 개인 방송(유튜브 스트리밍)에서 공개했다. 특히 5세트는 방송이 되지않은게 너무 안타까울 정도의 명경기였다고 한다 러너는 이거 때문에,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까지 해제하였다. 파트너 스트리머의 조건 중 하나가 트위치 단독 송출이다. [10] 작년에도 SBS 아프리카TV가 TV 중계는 했었으나 그냥 WDG의 영상을 송출하는 것에 가까웠는데, 이제는 WDG를 제치고 유튜브를 제외한 국내 독점 중계 및 제작까지 참여하게 되었다. 이로써 국내에서는 유튜브의 블리자드 e스포츠 독점 중계 체제가 깨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