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군 공공형버스

덤프버전 : r (♥ 0)




1. 노선 목록
1.1. 내면 자운지역 공공형버스
1.2. 내면 명개지역 공공형버스
1.3. 서석면 공공형버스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둘러보기



1. 노선 목록[편집]



1.1. 내면 자운지역 공공형버스[편집]


파일:내면카니발.png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살둔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율전리(살둔민박)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20
막차15:40막차16:02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3회
노선내면터미널 - 살둔입구 - 살둔마을 정보화센터 - 살둔민박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대한동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수청골삼거리)
종점행첫차10:30기점행첫차10:42
막차16:30막차16:42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내면터미널 - 창촌3리경로당 - 홍**씨댁 - 김**씨댁 - 유**씨댁 - 수청골삼거리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소한동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소한동종점)
종점행첫차07:45기점행첫차08:02
막차17:55막차18:12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내면터미널 - 소한동입구 - 소한동종점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운두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자운리(운두종점)
종점행첫차09:00기점행첫차09:35
막차17:10막차17:45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3회
노선내면터미널 - 지렁골입구 - 자운4리경로당 - 안터골입구 - 삼거리 - 운두종점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괸돌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자운리(한**씨댁)
종점행첫차09:45기점행첫차10:02
막차14:45막차15:02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내면터미널 - 자운2리경로당 - 괸돌교 - 도장골입구 - 한**씨댁


1.2. 내면 명개지역 공공형버스[편집]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 1번(목맥동)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명개리(목맥동)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7:10
막차18:00막차18:30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4회
노선내면터미널 - 절애 - 원당삼거리 - 광원1리마을회관 - 달뜨는언덕 - 샘골휴게소 - 삼봉휴양림입구 - 청도 - 명개리 - 목맥동종점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 2번(서석)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서석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8:10기점행첫차09:20
막차16:00막차17:20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내면터미널 - 창촌초등학교 - 자운리 - 괸돌입구 - 상뱃재 - 율전삼거리 - 미약골생태공원 - 하대월 - 운두령가든 - 판관터 - 생곡1리마을회관 - 삼생초등학교 - 검산1리 - 서석시외버스터미널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 3번(피리골)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서석시외버스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피리골종점)
종점행첫차08:50기점행첫차09:05
막차16:40막차16:55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서석터미널 - 검산1리 - 검산보건진료소 - 삼생초등학교 - 광신정미소 - 생곡2리마을회관 - 피리골종점

이전에는 동신운수에서 원주발 시외버스로 운행했다가 경영악화로 시외버스 운수사업을 포기하면서 2016년 8월 31일에 대체 노선으로 농어촌버스로 운행하다가 공공형버스로 전환되었다.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내면 4번(방내)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내면시외버스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방내)
종점행첫차19:05기점행첫차19:35
막차19:05막차19:35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1회
노선내면시외버스터미널 - 창촌초등학교 - 양수교 - 자운리 - 괸돌입구 - 상뱃재 - 율전삼거리 - 신흥동 - 성내동 - 질과치 - 방내종점
방내에 들어가는 승객이 없을 시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1.3. 서석면 공공형버스[편집]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서석 1번(횡성)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서석시외버스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횡성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08:30
막차17:40막차18:40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3회
노선서석시외버스터미널 - 풍암1리 - 감두리 - 하군두리 - 청량1리 - (무정차) - 횡성시외버스터미널
횡성군 구간은 무정차로 운행한다.

홍천군 공공형버스 서석 1번 운행 시간표
2019년 12월 2일 기준 / 출처
횟수서석횡성터미널
107:3008:30
213:0014:00
317:4018:40

파일:홍천군 CI_White.svg 홍천군 공공형버스 서석 2번(방내)
기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서석시외버스터미널)종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방내리)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10:55
막차15:30막차16:25
운수사명대한교통배차간격1일 2회
노선서석시외버스터미널 - 풍암2리 - 용두안 - 가곡 - 수하1리 - 눌언동종점 - 항곡 - 수하교회 - 수하2리 - 절골 - 수유동길입구 - 방내
서석에서 방내로 갈 때 눌언동 손님이 없을 경우에는 눌언동을 경유하지 않는다.


2. 개요[편집]


홍천군 교통취약지역인 서석면, 내면지역의 마을을 운행하는 공공형버스로, 대한교통에서 위탁으로 운행중이다.

3. 역사[편집]


  • 2015년 12월 1일에 내면 자운지역에 기존 마을버스 등이 전무해 주민들이 이동에 어려움이 있었던 살둔, 대한동, 괸돌, 덕두원 지역에 11인승 기아 뉴카니발 차량을 투입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관련 기사

  • 2019년 12월 2일에 서석면 지역에 공공형 버스가 투입되어 동신운수 시외버스의 폐선으로 이동에 불편을 겪었던 횡성 방면 노선과 눌언동, 수하리를 잇는 방내 노선을 신설하였다. 관련 지역언론의 유튜브 영상

  • 2020년 4월 1일에 근로기준법 개정 및 운수종사자 근로시간 단축으로 농어촌버스 운행이 감회 예정이었던 내면 명개리 지역에 공공형버스를 투입하여 신설하였다. 관련 기사


4. 특징[편집]



  • 차량 4대 모두 대한교통이 위탁운영자로 선정되어 차량의 운행 및 관리를 맡는다.

  • 서석지역 및 횡성은 강원 77자 2012, 2014호[1] 쏠라티 차량이, 내면 자운지역은 77자 2015호 스타렉스 차량이, 내면 명개지역은 강원 77자 2013호 쏠라티 차량이 각각 고정으로 운행한다.

  • 서석 1번 횡성행 노선은 홍천군과 횡성군의 경계인 먼드래재 이후에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며, 횡성터미널까지 무정차로 운행한다.

  • 요금은 농어촌버스와 동일한 1,700원이며 내면 자운지역 버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며 농어촌버스[2]로 환승할인이 가능하다.


4.1. 시간표[편집]


서석면 공공형버스 시간표는 해당 틀을 참조할 것.
파일:내면 공공형버스 시간표.png


5. 둘러보기[편집]


파일:GROK_ICON.png 대한민국 승합차 노선버스 운행노선
[ 그랜드 스타렉스 - 펼치기 · 접기 ]
서울특별시성북05
세종특별자치시두루타버스
화성시7-122-4
양평군청운행복버스YP서종행복버스
김해시도시형1
양산시도시형버스 2번
구미시수점동 마을버스
양구군양구군 마을버스
홍천군내면 자운지역 공공형버스
포항시죽장 희망버스
횡성군청일면 마을버스춘당권역 마을버스
서천군문산희망버스
논산시동고동락 행복버스
완도군도청-권덕도청-진산
완주군부릉부릉 마을버스
남원시 무주군장수군정읍시진안군
수요응답형 교통
}}}
[ 그랜드 스타렉스 이외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56:26에 나무위키 홍천군 공공형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비 및 예비 운행을 위해 서로 번갈아가며 운행한다.[2] 인제군면허 차량은 환승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