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법인 해성학원

덤프버전 :



파일:해성학원.png
1. 개요
2. 교육 기관
2.1. 여자 중·고등학교
2.1.1. 전주성심여자중학교 교육 이념 및 목표
2.1.2. 전주성심여자중학교 특색 교육 활동
2.2. 남녀 공학 중학교 및 남자 고등학교



1. 개요[편집]


학교법인 해성학원(海聖學園)은 천주교 전주교구에서 운영하는 가톨릭 사립학교 재단이다. 학교법인 해성학원의 역사는 그 이전으로 올라가나. 설립이 된 시기는 1982년 8월이다. 학교법인 해성학원의 설립으로 인해, 기존에는 천주교 전주교구 유지재단에서 관장하던 교육사업이 학교법인 해성학원으로 이관되었다. 현재 천주교 전주교구장인 김선태 사도요한 주교가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전주해성중·고등학교, 전주성심여자중·고등학교의 총 4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각각의 학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전주해성중학교, 전주해성고등학교, 전주성심여자중학교,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참고.

이와 동명의 학교법인인 해성학원이 있다. 천주교 전주교구에서 운영하는 재단을 다룬 본 문서의 이름은 학교법인 해성학원이므로 혼동에 주의.


2. 교육 기관[편집]



2.1. 여자 중·고등학교[편집]


여자 중학교로 전주성심여자중학교, 여자 고등학교로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가 있다.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보두네(François Xavier Baudounet) 신부가 전주 전동성당 초대 주임신부로 발령을 받은 이듬해인 1890년, 전주부중의 몇몇 인사가 전주성 내에 근대적 중등교육기관인 '학방' 설립을 계획하고, 보두네 신부에게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시일이 지나면서 여러가지 이유로 학방 설립은 천주교의 몫이 되었고 보두네 신부는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그 후 1926년, 제2대 전주 전동성당 주임 라크루(Lacrout) 신부[1]는 문맹 퇴치와 교리교육을 위해 최정숙(베아트릭스)을 교사로 두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성당 구내에 교리와 일반 학교의 교과목 중 일부를 가르치는 강습소를 시작하였다. 그 위 제5대 전주 전동성당 주임으로 김양홍 신부가 부임하여 교우 어린이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주야(晝夜) 강습소를 설립하였고, 학교를 설립할 채비를 하게 되었다. 전주 성당은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기본 재산을 모으는 데 전력하였고, 이에 호응한 전주의 부호 이학수는 1930년 봄 큰아들 이춘화(토마스)를 시켜 자신의 전답 100여 마지기(약 2만평)를 학교 설립의 기본 재산으로 기증하였다. 이에 1932년 8월경 교실 4개, 직원실 1개를 갖춘 100평 규모의 벽돌 양옥 교사와 2층 연와제 수녀원이 건축되었다.

일제는 1938년 3월 3일 제3차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에 해성학원은 1938년 5월 9일 해성 심상소학교로 개교하였다. 일제는 다시 1941년 3월 31일 교육령 일부를 개정해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이름을 바꾸도록 하면서 한국민족을 말살하려는 내선일체(內鮮一體)의 심화를 기도하여, 당시 최민순 교장 신부 대신에 일본인으로 교장을 임명하였다. 그러다 1945년 4월에는 학교를 폐교하고 학교 건물을 저금관리국으로 징발하였다. 전주성당은 해방이 되자 징발당했던 해성국민학교를 회수하였다. 그 후 전주 전동성당 청년회가 주축이 되어 한 단계 높은 중등교육기관을 설립하기로 결의하였다. 이렇게 하여 성심여학원이 출발하게 되었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보두네 신부가 여성 교육을 시도한지 55년 만에 전주성심여자중학교,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로 숙원사업을 이루게 되었다.

해방 이후 성심여학원은 1946년 8월 1일 인가를 받고, 그해 10월 3일 개교식을 가졌다. 초대 원장은 전주 성당 주임 이상화 신부, 부원장은 강윤식 보좌신부였다. 학생 수는 37명이었다. 1947년 2월, 학교 봉헌식을 갖고 주보 성인을 '예수성심'으로 정하였다. 신앙을 바탕으로 명실상부한 여성 교육의 전당으로 발돋움이 시작된 것이다. 그해 제2대 학원장에 이약슬 신부가, 부원장에 전주 전동성당 김이환 보좌신부가 취임하였고, 김이환 신부는 성심여학원을 정식 중학교로 인가받게 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1948년 7월 29일 성심여자초급중학교는 3학급 150명으로 정식 인가를 받았다. 김영구 신부가 1948년 9월 1일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고, 9월 16일 개교하였다. 더욱이나, 지난 2년간의 여학원 학력이 소급 인가됨으로써 전주성심여자중학교는 개교하자마자 1949년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게 되었다.

1951년 3월 20일 교육법이 개정되어, 6년의 중학교 과정이 3년 과정으로 학제가 개편되었다. 이에 그해 8월 31일 성심여학원은 성심여자중학교로 개명되었다. 이에 따라 4학년 이상의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해졌다. 이에 재단에서는 고등학교 설립을 추진하여 1952년 4월 13일 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고, 그해 4월 30일 15명의 학생으로 첫 입학식을 가졌다. 초대 교장은 중학교 교장인 김규승이 겸임하였다. 한편, 성심여자중학교는 1960년 1월 14일 18학급으로 학급이 증가한 후 21학급(1963. 12. 5), 24학급(1966. 11. 17)으로 학급이 계속 증가하여 성장하였다.

성심학교의 교육 이념 가운데 큰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 존엄성의 고양과 공동선의 추구'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종교 교육에 힘써왔다. 이 종교 교육은 특정 종교의 교리를 강제로 가르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교양과목의 성격을 띤 교육이었다. 그런 한편을 희망자에 한해서 따로 교리를 가르치고 세례를 주었다.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개별 문서가 없는 전주성심여자중학교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서 하술한다.


2.1.1. 전주성심여자중학교 교육 이념 및 목표[편집]


"꿈도 하이(High)! 실력도 하이(High)!"

교육 이념: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 이념에 의거하여 여성에 대한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 신교육 이념의 취지에 입각하여 애국심이 투철한 성실 유능한 여성을 육성함으로써 우리 나라 발전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자 한다.

교육 목표:
1. 국민 정신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국가관을 확립하고, 투철한 애국심을 함양한다(국가관).
2. 신앙을 바탕으로 정직하게 봉사하며 이웃을 사랑하고 감사하는 심성을 기른다(종교).
3.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며 저마다의 소질을 개발하여 창조의 힘을 기른다(학습).
4. 질서를 앞세우며 주변의 정리정돈을 잘하는 정서적이고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기른다(생활).
5. 기초 체력을 신장시켜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꾀하며, 건강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른다(보건).

종교 교육:
성심학교의 교육 이념 가운데 큰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 존엄성의 고양과 공동선의 추구'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종교 교육에 힘써왔다. 이 종교 교육은 특정 종교의 교리를 강제로 가르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교양과목의 성격을 띤 교육이었다. 그런 한편을 희망자에 한해서 따로 교리를 가르치고 세례를 주었다.


2.1.2. 전주성심여자중학교 특색 교육 활동[편집]


1. 이웃과 하느님 사랑 나눔 실천 사랑의 다리
'그리스도 정신에 의한 인간교육'이라는 학교 교육이념을 실천하여 매달 모은 성금을 천주교 전주교구 사회복지사목국을 통하여 복지시설, 기관 등 어려운 이웃에 전달하고 있다.

2.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노룻돌
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 등 4개 영역에 추진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해 대상학생들이 동등한 교육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나의 학교 생활 도우미 스터디 플래너
스터디 플래너가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보다 알차고 스마트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4. 수업을 잘하는 학교 프로젝트
'수업을 잘하는 학교'를 통해 학교교육의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젝트(수업공개의 날, 교사학습공동체, 자기수업장학, 3년간 교실선진화구축사업)를 통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5. 행복한 학교 만들기 또래관계증진
또래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과 신뢰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꿈을 찾아 미래를 디자인하는 진로직업교육
다양한 체험 중심 진로활동을 통한 자기 이해 및 진로직업탐색능력 신장 프로그램으로, 진로직업체험의 날(Career Day), 꿈 발표대회, 표준화검사를 실행하고 있다.


2.2. 남녀 공학 중학교 및 남자 고등학교[편집]


남녀 공학 중학교 및 남자 고등학교로 전주해성중학교전주해성고등학교가 있다.

1950년대 말 기준으로 전주교구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은 성심여자중고등학교인 여성 교육기관만 있었기에, 성심여중고의 전신인 '해성'학교의 명칭을 살려 같은 전통을 잇는 남매격의 남성 교육기관 설립이 계획되어 이 계획에 따라 만들어진 학교들이 전주해성중학교전주해성고등학교이다. 처음 해성학교 설립 추진은 SAM회 회원으로 1959년 전주교구에 파견된 벨기에 출신 고마르 신부가 담당하였다. 고마르 신부는 전동 성당 강당을 이용하여 해성학교를 설립하도록 하고, 벨기에에서 회원을 모아 학교를 시작할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후, 해성학교 설립 책임자는 고마르 신부에서 후술할 하재홍 신부로 바뀌었다.

당시 제3대 전주교구장 김현배 주교(1847~1960 재임)는 순교 성지인 숲정이에 남자 교육기관 신설을 추진하여 1960년 2월 19일 해성중학교의 설립인가를 받아, 그해, 1학년 70명 2학급으로 개교식과 함께 입학식을 가졌다. 이후, 오스트리아 출신 신부이자 전주해성중학교 제2대 교장이기도 한 하재홍 신부에 의해 중학교에 이은 공업고등학교 설립이 추진되었다. 하재홍 신부는 한국의 미래를 생각할 때 인문계 학교보다 기술계 학교를 세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재홍 신부는 모국 오스트리아에서 모금할 때에도 한국에 기술학교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하지만, 이후 하재홍 신부가 귀국하게 되고 공업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자금이 부족하게 되자 전주해성고등학교는 인문계 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전주해성중학교, 전주해성고등학교 문서 참고.

[1] 제4대 주임신부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1;"
, 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1;"
, 3.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8:25:24에 나무위키 학교법인 해성학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