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제주특별자치도

덤프버전 : r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




1. 개요
2. 지역구
2.1. 경선
2.1.1. 예비후보(이하 5.24 기준. 예비후보등록 종료)
2.1.2. 상세 선거구별 예비후보(정당 의석순 나열)
2.1.2.1. 제주시 선거구
2.1.2.2. 서귀포시 선거구
2.1.3. 후보 등록(5. 24~25) 결과
2.1.3.1. 제주시 선거구
2.1.3.2. 서귀포시 선거구
2.2. 개표 결과
2.2.1. 제주시
2.2.2. 서귀포시
3. 비례대표
4. 교육의원
4.1. 개표 결과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시도의회 의원 중 제주도에 해당되는 의회의 의원에 출마하는 후보들을 서술한다. 단, 도의원 비례대표의 경우는 제외.(경선에서 탈락한 사람이 도의원 비례대표에 나온다)

단일 후보로 출마한 선거구도 있지만, 여러명이 한 선거구에 도전한 경우도 있다.

서술 시점은 3월 6일부터로 잡았지만, 추가될 경우 수정된다. 이는 5월말 정식 후보 등록 전까지 해당.

4월이 되면서 선거구 명칭이 바뀐 관계로 표에 기재된 선거구 이름이 달라졌다.(전에는 1선거구, 2선거구, 3선거구 등으로 모호해졌었다.)


2. 지역구[편집]



2.1. 경선[편집]



2.1.1. 예비후보(이하 5.24 기준. 예비후보등록 종료)[편집]


제주시
당선가능 수
출마등록자[가]
경쟁률
비고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1
5
5.0:1
-
일도2동

1
3
3.0:1

1
2
2.0:1
이도2동

1
3
3.0:1

1
2
2.0:1
등록무효 1 발생
삼도동[나]
1
2
2.0:1
-
용담동[나]
1
2
2.0:1
등록무효 1 발생
화북동
1
3
3.0:1
삼양동·봉개동
1
2
2.0:1
-
아라동[다]
1
3
3.0:1
오라동[다]
1
2
2.0:1
연동

1
2
2.0:1
등록무효 1 발생

1
2
2.0:1
-
노형동

1
1
1.0:1

1
1
1.0:1
외도동·이호동·도두동
1
3
3.0:1
(읍)한림
1
3
3.0:1
(읍)애월
1
2
2.0:1
등록무효 1 발생
(읍)구좌/(면)우도
1
2
2.0:1
-
(읍)조천
1
2
2.0:1
(면)한경·추자
1
1
1.0:1

서귀포시[1]
당선시 의원수(1명)
출마등록자[가]
경쟁률
비고
송산동·효돈동·영천동
1
3
3.0:1
등록무효 1 발생
정방동·중앙동·천지동
1
2
2.0:1
-
동홍동
1
4
4.0:1
등록무효 1 발생
서홍동·대륜동
1
2
2.0:1
-
대천동·중문동·예래동
1
2
2.0:1
(읍)대정
1
2
2.0:1
(읍)남원
1
3
3.0:1
(읍)성산
1
2
2.0:1
(면)안덕
1
4
4.0:1
등록무효 2(...) 발생
(면)표선
1
1
1.0:1
-

<특이사항>
제주시 선거구에서는 동 선거구인 노형[2]과 면 선거구인 한경/추자 선거구만 출마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가 노형동에 민주당 후보가 나오면서 출마자가 발생됐다. 남은 건 한경/추자 선거구다. 5월 11일에 한경/추자 선거구에 출마자가 나오면서 해소되었지만, 그만큼희생된 것도 많다(...).
서귀포시 선거구에서는 4월이 지나면서 출마자가 없는 동은 사라졌다. 물론 등록무효에 대해서 그렇게 청정구역인 것도 아니라서(...)
다른 도에서도 터지곤 하는 공천 잡음이 여기에도 발생했다. 공천 불복, 도지사 경선 잡음 등..


2.1.2. 상세 선거구별 예비후보(정당 의석순 나열)[편집]


출마자가 없는 선거구인 경우 서술에서 제외했고, 단독출마인 경우 당별 출마자수를 표기하지 않았다. 기준은 4월 11일 현재이다.
약칭 설명
민 : 더불어민주당 후보만 출마
자 : 자유한국당 후보만 출마
바 : 바른미래당 후보만 출마
외(外) : 기타정당(무소속 포함) 후보만 출마[라]

2.1.2.1. 제주시 선거구[편집]

선거구[마]
소속정당별 후보 수[바][라]
등록일자[3]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더불어민주당 1, 자유한국당 1, 바른미래당 1, 무소속 2
3월 2일
(무소속 후발주자의 경우는 4월 16일)
일도2동갑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각 1
3월 2일, 3월 5일, 4월 9일
일도2동을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각 1
4월 11일, 4월 6일
이도2동갑
더불어민주당 1, 무소속 2
3월 28일
(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3월 29일과 4월 5일)
이도2동을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각 1[4]
3월 5일[5], 4월 27일
삼도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각 1
3월 9일, 3월 26일
용담동
3월 9일[6], 4월 2일
화북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각 1
3월 2일[7]
(자유한국당 후보의 경우는 4월 23일)
삼양동·봉개동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각 1
3월 30일, 4월 11일
아라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각 1
3월 15일, 3월 23일, 3월 2일
오라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각 1
3월 2일
연동갑
3월 2일, 3월 14일
연동을
3월 2일, 3월 28일
노형동갑

4월 18일
노형동을
4월 30일
외도동·이호동·도두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민중당 각 1
3월 6일, 3월 13일, 3월 21일
한림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각 1
4월 4일, 5월 14일, 4월 9일
애월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각 1
3월 26일[8], 3월 13일
구좌읍·우도면
4월 4일, 3월 2일
조천읍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각 1
3월 9일, 3월 2일
한경면·추자면

5월 11일

무소속의 경우는 정당출신인 경우도 왕왕 있다.(예시 : 일도1동, 이도1동, 건입동 선거구의 경우는 바른미래당 출신)
그런데 5월 3일 시점에서 민주당후보들의 예비후보 등록무효처리가 발생되고 말았다. 사유는 공직선거법 60조의2-4항-3호 및 57조의2-②.[9]
해당 후보의 선거구는 이도2동을/용담동(1,2동 통합)/화북동/연동갑/애월읍.

2.1.2.2. 서귀포시 선거구[편집]

선거구[마]
소속정당별 후보 수[바][라]
등록일자
송산동·효돈동·영천동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무소속 각 1
3월 9일[10], 3월 27일
정방동·중앙동·천지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각 1
3월 29일, 3월 15일
동홍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무소속 각 1
3월 29일[11], 3월 2일, 5월 3일, 3월 28일
서홍동·대륜동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각 1
4월 12일, 4월 18일
대천동·중문동·예래동
3월 5일, 4월 2일
대정읍
3월 8일, 3월 23일
남원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각 1
3월 2일
(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3월 2일[12])
성산읍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각 1
3월 23일, 3월 2일
안덕면
더불어민주당 1, 정의당 1, 무소속 2
3월 2일[13](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4월 27일, 5월 3일)
표선면
外(무소속)
4월 27일

제주시에 이어서 서귀포시도 등록무효 처리가 되었는데 사유는 제주시의 경우와 동일하다(...)이건 뭐 민주당 일 똑바로 안하나 싶겠지만, 문제는 다른 도에서도 터지는 문제라는 게... 이 상황을 자한, 바미, 정의·민중 등이 좋아합니다
이 선거구에서는 송산/효돈/영천, 동홍, 안덕면인데, 특히 안덕면의 경우는 후보가 둘씩이나(!) 등록무효 처리되었다.
안덕면은 또, 이전기록에 써지지 못했던[14] 무소속 후보가 4월 20일 사퇴하고 4월 27일 새로운 무소속 후보가 등록되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4월 30일 일괄 등록무효 처리(...).


2.1.3. 후보 등록(5. 24~25) 결과[편집]



2.1.3.1. 제주시 선거구[편집]

선거구
후보별 소속정당
(다수출마가 있을 경우 인원수 개별표기)
등록일자
후보 등록사항
일도·이도1동
+건입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각 1, 무소속 2
3월 2일
(무소속 후발주자의 경우는 4월 16일)
예비후보 때와
대체로 동일
일도2동갑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각 1
3월 2일, 3월 5일, 4월 9일
일도2동을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4월 11일, 4월 6일
이도2동갑
더불어민주당 1, 무소속 2
3월 28일
(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3월 29일과 4월 5일)
이도2동을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3월 5일, 4월 27일
삼도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3월 9일, 3월 26일
용담동
3월 9일, 4월 2일
화북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3월 2일
(자유한국당 후보의 경우는 4월 23일)
삼양동·봉개동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3월 30일, 4월 11일
아라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3월 15일, 3월 23일, 3월 2일
오라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3월 2일
연동갑
3월 2일, 3월 14일
연동을
3월 2일, 3월 28일
노형동갑

4월 18일
사실상 단일후보
노형동을
4월 30일
외도동·이호동·도두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민중당
3월 6일, 3월 13일, 3월 21일
예비후보 때와
대체로 동일
한림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4월 4일, 5월 14일, 4월 9일
애월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3월 26일, 3월 13일
구좌읍·우도면
4월 4일, 3월 2일
조천읍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3월 9일, 3월 2일
한경면·추자면

5월 11일
사실상 단일후보
노형동과, 한경·추자면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결정되었다.

2.1.3.2. 서귀포시 선거구[편집]

선거구
후보별 소속정당
(다수출마가 있을 경우 인원수 개별표기)
등록일자
후보 등록구분
송산동·효돈동·영천동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무소속
3월 9일, 3월 27일
예비후보 때와
대체로 동일
정방동·중앙동·천지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3월 29일, 3월 15일
동홍동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무소속
3월 29일, 3월 2일, 5월 3일, 3월 28일
서홍동·대륜동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4월 12일, 4월 18일
대천동·중문동·예래동
3월 5일, 4월 2일
대정읍
3월 8일, 3월 23일
남원읍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무소속
3월 2일
(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3월 2일)
성산읍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3월 23일, 3월 2일
안덕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각 1, 무소속 2
3월 2일
(무소속 후보의 경우는 4월 27일, 5월 3일)
표선면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4월 27일
더불어민주당 후보 추가 등록


2.2. 개표 결과[편집]



2.2.1. 제주시[편집]


일도1·이도1·건입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문종태
5,581
1위
더불어민주당
53.13%
당선
2
박왕철
2,003
2위
자유한국당
19.06%

3
강길봉
932
4위
바른미래당
8.87%

6
김명범
1,720
3위
무소속
16.37%

7
박선호
268
5위
무소속
2.55%


선거인 수
17,447
투표율
%
투표 수
10,762
무효표 수
258

일도2갑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호형
4,881
1위
더불어민주당
53.13%
당선
2
한재림
1,485
3위
자유한국당
16.53%

6
고정식
2,617
2위
무소속
29.13%


선거인 수
14,011
투표율
%
투표 수
9,125
무효표 수
142

일도2을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희현
6,153
1위
더불어민주당
64.90%
당선
5
김대원
3,327
2위
정의당
35.09%


선거인 수
13,701
투표율
%
투표 수
9,740
무효표 수
260

이도2갑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홍명환
5,559
1위
더불어민주당
40.71%
당선
6
김수남
4,900
2위
무소속
35.88%

7
강철호
3,195
3위
무소속
23.39%


선거인 수
20,972
투표율
%
투표 수
13,915
무효표 수
261

이도2을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성민
7,173
1위
더불어민주당
61.11%
당선
6
김명만
4,564
2위
무소속
38.88%


선거인 수
17,708
투표율
%
투표 수
11,961
무효표 수
224

삼도1·삼도2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민구
6,645
1위
더불어민주당
57.62%
당선
2
이선화
4,886
2위
자유한국당
42.38%


선거인 수
18,915
투표율
%
투표 수
11,531
무효표 수
186

용담1·용담2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심
5,992
2위
더불어민주당
49.62%

2
김황국
6,082
1위
자유한국당
50.37%
당선

선거인 수
19,442
투표율
%
투표 수
12,281
무효표 수
207

화북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성의
6,563
1위
더불어민주당
51.52%
당선
2
김호중
1,903
3위
자유한국당
14.93%

6
고경남
4,272
2위
무소속
33.53%


선거인 수
19,316
투표율
%
투표 수
12,950
무효표 수
212

삼양·봉개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은정


더불어민주당


6
안창남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아라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고태순


더불어민주당


2
김효


자유한국당


3
신창근


바른미래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오라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승아


더불어민주당


2
백성철


자유한국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연동갑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양영식


더불어민주당


2
고태선


자유한국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연동을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철남


더불어민주당


2
하민철


자유한국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노형갑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태석

1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노형을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상봉

1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외도·이호·도두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송창권


더불어민주당


2
김동욱


자유한국당


6
김형미


민중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한림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원철


더불어민주당


6
양보윤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애월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성균


더불어민주당


2
고태민


자유한국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구좌·우도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경학


더불어민주당


2
박용모


자유한국당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조천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현길호


더불어민주당


6
김종호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한경·추자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좌남수

1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2.2. 서귀포시[편집]


송산·효돈·영천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주용
3,170
2위
더불어민주당
36.30%

3
강충룡
3,326
1위
바른미래당
38.08%
당선
6
허진영
2,236
3위
무소속
25.60%


선거인 수
12,771
투표율
%
투표 수
8,886
무효표 수
154

정방·중앙·천지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용범
2,819
1위
더불어민주당
54.67%
당선
2
김삼일
2,337
2위
자유한국당
45.32%


선거인 수
8,675
투표율
%
투표 수
5,237
무효표 수
81

동홍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윤춘광


더불어민주당


2
오현승


자유한국당


3
강경필


바른미래당


6
양임숙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서홍·대륜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호상


더불어민주당


6
이경용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대천·중문·예래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상필


더불어민주당


6
현정화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대정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태준


더불어민주당


6
허창옥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남원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송영훈


더불어민주당


2
오영삼


자유한국당


6
양창인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성산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고용호


더불어민주당


6
현기종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안덕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훈배


더불어민주당


5
고성효


정의당


6
장성호


무소속


7
양시경


무소속



선거인 수

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표선선거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진현아
1,805
2위
더불어민주당
26.77%

6
강연호
4,937
1위
무소속
73.22%
당선

선거인 수
10,542
투표율
%
투표 수
6,900
무효표 수
158


3. 비례대표[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7석)
기호
정당명
득표수
순위
득표율
당선인 수
1
더불어민주당
185,218
1위
54.25%
4
2
자유한국당
61,705
2위
18.07%
1
3
바른미래당
25,503
4위
7.47%
1
5
정의당
40,553
3위
11.87%
1
6
민중당
5,496
7위
1.6%

7
노동당
6,277
6위
1.83%

8
녹색당
16,640
5위
4.87%


선거인 수
532,515
투표율
65.9%
투표 수
350,904
무효표 수
9,512

제주도지사는 새누리당-바른미래당 출신의 원희룡 후보가 문대림 후보를 약 11.7%p 차로 앞섰지만 다른 나머지 선거는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앞섰다. 이로 이 비례대표 도의원은 민주당이 4명, 한국당은 고작 1석, 정의당, 바른미래당도 1석씩 내주었다. 정의당과 바른미래당도 상당히 앞서간 선거 결과있다. 녹색당도 약 5% 정도를 얻어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정말 압도적이라고 느껴지는 것이 범진보(민주,정의,민중,노동,녹색당)같은 경우는 비례대표를 모두 합치면 약 75%(!!)가 나온다는 것이다.

심지어 단순 득표율로 진보정당인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민중당의 득표율을 합하면 한국당의 득표율을 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7;"
, 1.1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7;"
, 1.1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4. 교육의원[편집]


후보등록 마감 후에 출마 후보가 2명 이상 존재하는 선거구는 제3선거구(제주시 서부)가 유일하다. 경합을 벌일 만한 후보 수만 확보가 되면 후보들 면면을 볼 수 있어 좋겠지만, 4개 선거구가 후보등록 마감을 기해 무투표 당선이 확정되었다. 왜 이렇게 되었냐면, 표를 보자.(...)

시(市)명
선거구명
당선가능 수
출마등록자
경쟁률
제주시
동부
1
1
1.0:1
중부
서부
2
2.0:1
서귀포시
동부
1
1.0:1
서부

그 까닭에 교육의원의 폐지에 관한 기사가 또 다시 나왔다. 아래는 요약.

‘피선거권 제한’으로 출마자가 적어 5개 선거구 중 4개 선거구에서 무투표 당선이 예상되는 상황과 맞물려 ‘교육의원 제도 존폐’ 논란이 재연될 전망이다.(중략)

교육의원 제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때 처음 도입됐다. 타 지역에서는 8년 전 도입됐다가 4년 만에 폐지됐지만 제주도는 제주특별법에 근거해 제도가 유지되고 있다.

문제는 피선거권 제한으로 교육경력이 없으면 출마 자체가 안된다는 점이다. 현행 제주특별법은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과거 1년 동안 정당의 당원이 아니어야 하는 동시에 교원이나 교육공무원 등 교육경력이 5년 이상이어야 한다.(중략)

손 의원은 특히 “선거라는 게 참신한 인물을 뽑는 의미가 있는데, 무더기 무투표 당선이 현실화된다면 존속 여부를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사실상 교육의원 폐지 공론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승찬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4년 후를 대비한 선거제도를 마련하면서 복합적으로 검토하겠다. 필요하다면 용역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이는 교육경력 5년 이상 된 사람 중에서 교육의원으로 출마할 생각이 있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뜻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주시 서부 선거구를 제외한 제주도민은 세종특별자치시처럼 4장의 투표용지만을 쥐게 된다.

타 지역에서는 교육자치법 개정으로 교육의원 제도를 폐지해 일반자치와 교육자치를 통합하는 절차를 밟아가고 있는 중이다.[15]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제주특별법에 의거해 독자적인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타 지역에서 폐지할 때에 특별법 개정을 하지 않아 아직까지 교육의원 제도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교육의원은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마지막으로 선출하고, 임기가 종료되는 2026년 6월 30일을 끝으로 폐지될 예정으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는 교육의원을 뽑지 않게 되었다.


4.1. 개표 결과[편집]


제주동부선거구
후보명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부공남
무투표 당선

제주중부선거구
후보명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김장영
무투표 당선

제주서부선거구
후보명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김창식
49,338
54.67%
1위
당선
김상희
40,906
45.32%
2위
낙선
선거인수
151,716
투표수
95,935
무효표수
5,691
투표율
63.23%

서귀포동부선거구
후보명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오대익
무투표 당선

서귀포서부선거구
후보명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강시백
무투표 당선



[가] A B 등록무효 제외 사퇴/사망 등의 경우 괄호로 표기해 마이너스된 숫자를 표기함[나] A B 1동, 2동 통합[다] A B 선거구획정위원회를 통해 새로 분구된 선거구[1] 20선거구부터 시작한다[2] 갑, 을 모두[라] A B C 괄호는 정당명 표기이다[마] A B 확정된 선거구명을 따른다[바] A B 단일정당인 경우 약칭설명 표를 따르며, 단일 후보인 경우는 후보수가 생략된다.[3] 별도로 표기되지 않은 경우 의석수 기준 정렬된 순으로의 기입을 전제로 함[4] 종전에는 민주당2였음[5] 3월 2일에 등록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됨[6] 3월 16일에 등록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됨[7] 3월 26일 등록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됨[8] 3월 2일에 등록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됨[9] 주요 법적 사유는 앞의 볼드처리된 조항번호.[10] 3월 16일에 등록한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경우는 등록무효 처리[11] 4월 5일에 등록한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12] 3월 7일 등록된 무소속 후보는 사퇴[13] 각각 3월 8일과 3월 16일 등록된 더불어민주당 후보 둘은 동시에 등록무효 처리[14] 4월 20일 이전 등록자이므로[15] 그러나 이러한 통합은 의결기관의 통합에 멈춰, 집행기관은 시도지사와 교육감으로 이원화된 절충적 상태에 머물러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7 15:46:37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원/제주특별자치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