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대통령 선거

덤프버전 :

1. 개요
2. 자격요건
3. 역대 선거


1. 개요[편집]


이란 이슬람 공화국대통령을 뽑는 선거로, 미국처럼 임기는 4년이고, 재선은 1회까지만 가능하여 최대 8년까지 재임 가능하다.


2. 자격요건[편집]


먼저 1차로 경선을 치뤄서 주요 후보들만 걸러내고, 2차로 본선에서 정식 대통령 결과가 나온다.

그럴만한 이유는, 이란 국적의 시아파 무슬림 남성[1]이라면 누구에게나 대선 출마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에 정말 오만 때만 사람이 다 나오기 때문이다.

어떤 대선에서는 아무 경력 없는 19세 청년부터 경력이 변변치 않은 92세 노인까지 대선 1차경선에서 나온 바 있다.

당연하게도, 국가원수이자 최고지도자인 라흐바르가 곧 신이다보니, 형식적인 민주주의를 보여주기 위해 대통령이 존재하는 것이고 겉으로는 민주주의 선거가 지켜지는 척은 하나 그래봤자 라흐바르에게 쏟아질 비난을 막아주는 라흐바르의 정치적 방패에 불과하다는 걸 정치학자들은 잘 알고 있다.


3. 역대 선거[편집]


  • 1980년 대선 : 1980년 1월 25일 :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당선.
  • 1981년 7월 대선 : 1981년 7월 24일 : 모함마드알리 라자이 당선.[2]
  • 1981년 10월 대선 : 1981년 10월 2일 : 알리 하메네이 당선(초선).[3]
  • 1985년 대선 : 1985년 8월 16일 : 알리 하메네이 당선(재선).
  • 1989년 대선 : 1989년 7월 28일 :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당선(초선).[4]
  • 1993년 대선 : 1993년 6월 11일 :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당선(재선).
  • 1997년 대선 : 1997년 5월 23일 : 모하마드 하타미 당선(초선).
  • 2001년 대선 : 2001년 6월 8일 : 모하마드 하타미 당선(재선).
  • 2005년 대선 : 2005년 6월 17일 :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당선(초선).
  • 2009년 대선 : 2009년 6월 12일 :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당선(재선).
  • 2013년 대선 : 2013년 6월 14일 : 하산 로하니 당선(초선).
  • 2017년 대선 : 2017년 5월 19일 : 하산 로하니 당선(재선).
  • 2021년 대선 : 2021년 6월 18일 : 에브라힘 라이시 당선.
  • 2024년 대선 : 2024년 6월 28일[5]

건국 초창기에 정치적으로 안정되지 못해 약간의 진통이 있었던 것을 빼면 나름 안정화된 1981년 대선부터 2021년 대선까지는 4년마다 꼬박꼬박 치뤄졌으나 에브라힘 라이시가 헬기 추락 사고로 재선을 1년여 앞두고 사망하자 2025년에 예정된 대선은 2024년으로 앞당겨지게 되었다. 초대 대선이 1980년이니 어떻게 보면 본래 치뤄졌을 연도로 돌아온 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1 20:55:32에 나무위키 이란 대통령 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즉, 여성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고, 비무슬림은 물론 수니파 무슬림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2] 전임 아볼하산 바니사드르가 취임 1년만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탄핵되어 조기에 치뤄진 대선. [3] 전임 모함마드알리 라자이가 취임 28일만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폭탄 테러로 암살되어 조기에 치뤄진 대선. [4] 전임 알리 하메네이가 호메이니 사망 후 라흐바르에 선출되기 위해 대통령직을 사퇴하자 조기에 치뤄진 대선. 하필 호메이니가 사망한 시기가 절묘한지라 하메네이는 임기 중 사퇴하긴 했어도 임기 중 사퇴/사망한 대통령들 중에서는 그나마 임기를 거의 꽉 채우고 관둔 셈이다. [5] 전임 에브라힘 라이시가 임기 중 헬기 추락 사고로 사망함에 따라 조기에 치뤄질 예정인 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