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과학자

최근 편집일시 :

분류


1. 개요
2. 잘 알려진 사례
2.1. 인간게놈프로젝트
2.2. 코로나19 백신
3. 중요성
3.1. 의료기술 혁신
3.2.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3.3. 통계
4. 오해
4.1. 연구의사
4.2. 의과학자
5. 육성
5.1. 의학 → 과학/공학
5.2. 과학/공학 → 의학
5.3. 국내 제도
6. 이슈


1. 개요[편집]


이공학 박사학위와 의사면허를 모두 취득하고 의공학을 연구하는 학자. 전통적인 의학 전문지식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의료 문제에, 첨단 공학을 응용하는 접근법으로 의료 기술을 개발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자이면서 경영을 겸하는 경우도 많다. 면허를 소지한 의사로서, 당연히 병원에서 직접 환자를 돌보며 연구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고 새로운 의료기술을 적용하기도 한다.

전 세계적 고령화에 따라 건강관리가 중요해지던 추세 속에 코로나19 팬데믹까지 발생하게 되면서, 의사과학자도 그 역할을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2. 잘 알려진 사례[편집]



2.1. 인간게놈프로젝트[편집]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일반인들에게도 상식으로 통하는 유명한 과학적 업적인데, 그걸 지휘한 프란시스 콜린스 NIH 원장이 의사과학자라는 사실은 훨씬 덜 알려져 있다.

2.2. 코로나19 백신[편집]


바이오엔테크를 설립한 우구르 사힌 박사는 면역요법을 위해 추진한 mRNA 연구를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응용함으로써 화이자와의 임상을 통해 첫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의사과학자다.


3. 중요성[편집]



3.1. 의료기술 혁신[편집]



3.2. 바이오·헬스케어 산업[편집]



3.3. 통계[편집]


생물의학 분야의 전문인력에서 규모로는 겨우 1.5%에 해당하는 의사과학자들이 1990년부터 2014년까지 노벨생리의학상의 37%를 수상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지난 30년 동안의 래스커상도 41%나 수상했다

미국 국립보건원 NIH] 감독관의 69%와 세계 상위 10개 제약사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의 70%도 모두 의사과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오해[편집]



4.1. 연구의사[편집]


기본적으로 의과대학을 졸업한 의사다. 병원에 소속되어 주로 기초의학 또는 임상기술 연구에 집중한다. 일반인들이 환자나 보호자로서 병원에서 만나는 (임상)의사(선생님)가 기술자에 가깝다면 연구의사는 학자로 구분될 수 있다. MBC드라마 하얀거탑에서 변희봉분이 연기한 캐릭터 오경환을 떠올리면 된다.

의학도 넓은 의미에서는 과학의 한 분야이기에 과학적인 연구 방법론을 따르기야 하지만, 전공이나 관심 분야가 의학 위주이다 보니 좁은 의미에서 (의사)과학자라고 불러주기엔 거리가 있다.


4.2. 의과학자[편집]


이공학 전공자로서, 의료기술에 접목할 수 있는 과학/공학 기술을 연구한다. PhD만 있고 MD는 아닌 경우를 굳이 구분하겠다면 의사과학자가 아니라 의과학자 또는 의공학자로 지칭하는 편이 타당하다.


5. 육성[편집]



5.1. 의학 → 과학/공학[편집]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는 하버드대학교 의대생들이 MIT에서도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교류도 한다. 이렇게 MDPhD를 취득한 의사과학자들이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를 무대로 연구와 경영을 리드한다.

국내에서는 카이스트가 2004년 개원한 의과학대학원이 대표적이다. 의사면허 취득(예정)자를 선발해, 이들이 박사과정(또는 석박사통합과정)을 이수하면, 이공학 박사학위를 수여한다. 최근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국내 의과대학에서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단을 출범해 전공의들이 과학 및 공학 박사학위를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가동되고 있다.

기존 의대와 공대의 우수한 인프라와 경험곡선을 활용할 수 있고, 신규 투자나 새로운 시행착오 없이 이들 사이의 시너지만 잘 관리·지원하면 된다는 효율성이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생명과학 분야에서 거둔 성과에 비하면 공학 분야에서 연구실적이 탁월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고[1], 많은 인원이 다시 임상의학으로 돌아갔다는 분석도 있다[2].


5.2. 과학/공학 → 의학[편집]




5.3. 국내 제도[편집]



6. 이슈[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8 20:49:12에 나무위키 의사과학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s://www.donga.com/news/Health/article/all/20230913/121151650/1[2]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3/09/13/XONPTAZPXJEKTKEKLUB6RD62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