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후 우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천왕의 왕후에 대한 내용은 왕후 우씨(서천왕) 문서
왕후 우씨(서천왕)번 문단을
왕후 우씨(서천왕)#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동명성왕
유리명왕
대무신왕
예씨부인
소서노
1
왕후 송씨
2
화희
3
치희
1
원비
2
차비 해씨
민중왕
모본왕
태조대왕
차대왕
왕후

의 모후
막근 · 막덕의 모후
추안의 모후
신대왕
고국천왕
산상왕
동천왕
남무의 모후
왕후 우씨
1
왕후 우씨
2
후녀
연불의 모후
중천왕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1
왕후 연씨
2
관나부인
왕후 우씨
왕후
왕후 주씨
고국원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구부 · 이련의 모후
담덕의 모후
거련의 모후
조다의 모후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흥안의 모후
왕후 한씨
1
정부인
2
중부인
3
소부인
양성의 모후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평강공주 · 의 모후
건무 · 대양의 모후
왕후
환권의 모후
보장왕

복남의 모후
보덕국 왕후
안승왕

왕후 김씨




작위
왕후(王后)
왕태후(王太后)

국왕
고국천왕(故國川王)
산상왕(山上王)
부족
절노부(絶奴部)[1]
이름
미상
아버지
우소(于素)
생몰연도
?[2] ~ 234
1. 개요
2. 생애
2.1. 고국천왕 시기 (180~197년)
2.2. 발기, 연우와의 만남
2.3. 산상왕 즉위 이후
2.4. 사망
3. 평가
4. 창작물
5. 기타



1. 개요[편집]


}}}

王后 于氏

고구려 고국천왕산상왕의 왕후. 한국사에서 보기 드문 형사취수제를 통해 왕후의 자리를 2대 동안이나 유지하고 권력을 이어간 것으로 유명한 여성이다.


2. 생애[편집]



2.1. 고국천왕 시기 (180~197년)[편집]


고국천왕의 비로 있다가 재위 2년차 2월에 왕후가 되었다. 절노부(絶奴部)[3]의 우소(于素)의 딸이라고 한다. 다만 아직 성씨 사용이 보편화된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우'가 성씨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편. 혼자만 달랑 있었다면 성씨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더 높긴 한데 또 다른 인물로 서천왕왕후 우씨(서천왕)가 우수(于漱)의 딸이었던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일단은 성씨로 보고 있다.[4] 우씨는 선우(성씨)(鮮于)씨가 축약된 형태란 가설도 있다.

이후 고국천왕 12년 9월에 왕후의 친척인 어비류좌가려가 권력을 남용하는 것을 왕이 제지하려 하자 반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왕후가 선대 신대왕의 왕후를 말하는지 우씨를 말하는지 모호하지만 후자일 경우 상당한 권력 상실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사실을 반증하듯 귀족 출신들이 권력에서 배제되고 안류, 을파소 등 재야 출신의 근왕 세력이 권력을 잡고 선정을 베풀었다.


2.2. 발기, 연우와의 만남[편집]


그러다 197년 5월 고국천왕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우씨는 왕의 서거 소식을 숨긴 채 왕의 동생인 발기를 찾아가 후사를 논하려 하였다. 그러나 자신을 후계자로 낙관하고 있었던 것인지 발기는 야밤에 찾아온 형수를 철저히 외면했고, 이에 우씨는 다른 동생인 연우를 찾아갔다. 발기와는 달리 연우가 예를 갖추고 우씨를 맞이하자, 연우의 행동이 마음에 들었는지 우씨는 발기를 모함하는 한편 그에게 자신의 호위를 부탁한다.

삼국사기에서는 "이 와중에 우씨를 대접하던 연우가 고기를 썰다 칼에 베이자 우씨가 치마끈을 풀어 상처를 감싸주었고, 두 사람이 손을 잡고 왕궁에 돌아왔다"고 언급한다.

그럴 만한 이유 및 상황이 충분히 잘 들어맞는 것이,

우선 발기에겐 고국천왕의 승하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삼국사기에 버젓히 기록되어 있는 사실이다![5])이러니 당연히 발기 입장에서는 차기 후계자에 대한 언급 자체가 자기 목숨을 거는 행위나 다름 없는 상황이었다. 당연히 상식적으로 왕의 후계자에 대한 말을 왜 하는지 이해가 안 되었을 것이다. 왕조 시절엔 왕에 대해 함부로 언급하는 것 자체가 자기 목숨 뿐 아니라, 집안 자체를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조선시대 때 일어난 수많은 역모 사건만 봐도 답이 나오지 않는가. 왕이 가장 두려워 하는게 쿠데타고, 후계자 문제도 매우 민감했었다. 우씨는 거절당할 것을 알고도 일단 찾아간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차기 왕으로 가장 유력한 것이 고국천왕의 바로 아랫동생인 고발기였기에 명분 쌓기 용으로 찾아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우에겐 고국천왕이 승하했다는 사실을 알렸다는 것. 그것도 어느정도 얘기를 진행하면서 이 사람이 차기 왕으로 삼아야겠다고 판단된 시점에서 말한 것이 아니라, 집에 찾아가자마자 바로 알렸다는 것.

왕후가 말하기를 “대왕이 돌아가셨으나 아들이 없으므로, 발기가 연장자로서 마땅히 뒤를 이어야 하겠으나, 첩에게 다른 마음이 있다고 하면서 난폭하고 거만하며 무례하여 당신을 보러 온 것입니다.”

ㅡ삼국사기

다시 말해서 이미 연우와 어느정도 정치적으로 합의된 상태라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후에 발기가 난을 일으켰을 때, 백성들이 호응해주지 않았다는 기록을 보아 이 문제도 충분히 계산되었으리라 판단할 수 있다.

연우 스스로가 왕위에 대해 야심이 있었기에 우씨와 고국천왕 생전에 어느 정도 연계고리를 구축했을 가능성이 높다.[6]

하여간 덕분에 발기가 유력했던 고구려의 왕위는 연우에게 돌아가게 되고 그가 바로 고구려의 10대 왕 산상왕이다. 분노한 발기는 동연으로 도망쳐 그곳의 수장이었던 공손도에게 지원을 요청하였고 이에 3만의 군사를 빌려 고구려에 쳐들어온다. 그것을 왕의 막내동생 고계수가 진압한다. 이후 계수는 형인 발기의 잘못을 꾸짖었고 결국 왕실과 나라에 큰 위기를 몰고왔다는 죄책감 탓에 발기는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2.3. 산상왕 즉위 이후[편집]


그 뒤 왕위를 차지한 산상왕은 우씨 덕에 왕위를 얻은지라 다시 장가들지 않고 그대로 우씨를 왕후로 맞아들였다고 한다. 그러나 우씨는 산상왕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지 못했고 그를 고민하던 왕은 산천에 기도를 하다 꿈에 작은 왕후를 통해 아들을 얻을 것이라는 예언을 듣게 된다. 우씨의 눈치를 보느라 다른 왕후 들일 엄두도 못냈던 왕은 신하들에게 이 사실을 말하고, 을파소는 기다렸다는 듯이 왕에게 하늘의 뜻을 기다리라고 조언한다.

몇년 후 나라의 제사에 쓸 돼지가 도망쳐서 어느 마을에 이르렀는데 주통천 후녀의 도움으로 잡게 되고 그 사실을 왕에게 알리자 왕은 그 마을에 방문해 후녀와 관계를 가지고 아들을 낳으면 버리지 않기로 약조한다. 그 사실을 알게 된 우씨는 병사를 보내 죽이려고 하였다. 이때 후녀는 자신이 임산부라는 사실을 병사들에게 알리고, 자신을 죽이면 왕의 자식도 죽이는 셈이 되는데 그 결과는 처형은 기본 가족까지 연좌되지 않는게 다행인 처벌을 받게 되는 것을 이용한다. 이렇게 후녀의 기지로 뜻을 이루지 못 하고 되려 그 사실을 병사들이 왕에게 알려서 정식으로 작은 왕후로 맞이하는 결과를 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작은 왕후가 된 후녀는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이 11대 국왕 동천왕이다. 우씨는 이들에게 지속적으로 위협을 가하며 왕태자로 즉위도 태어난지 4년 후에서야 가능했다.

산상왕 28년에는 왕손 연불, 12대 국왕 중천왕이 태어났다. 이후 산상왕이 승하하고 동천왕이 즉위하자 왕태후로 봉해진다.


2.4. 사망[편집]


234년(동천왕 8년)에 사망한다. 사망하기 전에 유언하기를 살아서 한 짓을 돌이켜 보니 고국천왕을 보기 면목이 없어 고국천왕릉에는 묻힐 수 없고 산상왕의 무덤에 장사지내 달라고 했다. 그러나 무당이 와서 말하길, 고국천왕이 아내가 동생과 합장되는 걸 보고 대노하였고,[7] 그가 세상 사람들 보기 부끄러우니 자기 무덤을 가려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고국천왕의 무덤 주위에 소나무를 일곱 겹으로 심어 무덤을 가렸다.[8]


3. 평가[편집]


성리학 중심 사회였던 조선에서는 인륜을 어긴 악녀라는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는 가부장제 기반의 철저한 남성 중심적 시각이며, 현대에 와서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 능동적으로 행동하여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 여성이라는 평도 많아진 편이다.[9] 후세의 평가와는 별개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삼국시대 고구려사에 이름을 남긴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이 되었다.


4. 창작물[편집]


  • 관련 창작에 대해서 아쉬운 게 당시 고국천왕의 다섯 형제 모두와 연관이 있고, 권력을 쥐는 과정과 갈등도 재밌고, 을파소 등의 네임드 인물도 많이 나오고, 시대적으로 보면 중국에서는 삼국지 시대의 가장 중심에 살았던 인물이라 드라마나 소설로 쓸 여지가 많아 보이는데도 관련 미디어 작품이 거의 없어 의아한 인물이었지만 누가 그걸 진짜 그렸다. ... 네이버 베스트도전 웹툰으로도 나왔는데, 작화와 고증이 매우 호평받고 있다. # 해당 웹툰은 2020년 6월 1일부터 버프툰에서 정식연재되고 있다. 왕후의 제국 문서 참고.

  • 영상화에 대한 요구가 사극 매니아들 사이에서 많았지만#참고1#참고2평가 항목에 적힌 것처럼 아직 한국 사회에 남아있는 유교적 시각과 NTR요소 그리고 그 인물의 이름으로 인해 공영방송이 중심인 공중파에서는 제작이 어려울 것으로 보여 모두가 꿈만 꾸고 있었는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매니지먼트 사인 앤드마크에서 2020년 내부에 드라마/영화 제작을 위한 콘텐츠 사업부서인 '앤드마크 스튜디오'#홈페이지를 만들었는데 우씨왕후라는 제목으로 제작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다.#네이버 대하사극 매니아 카페 게시글 참고. 오리지널 각본으로 시나리오는 영화 상의원의 각본을 쓴 이병학 작가, 연출은 최종병기 활의 조연출 출신으로 영화 오! 문희로 연출 입봉을 한 정세교 감독. 두 사람 모두 사극 경력자이며 총 8부작에 OTT 플랫폼[10]을 통해 방송할 것으로 보인다.#참고1, #참고2. 사극의 경우 워낙 제작비가 많이 들다보니 기획-시나리오 단계에서 투자를 받지 못해 엎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2023년 2월 현재 액터스 길드 등에 오디션 후기들이#참고 올라오는 것으로 보아 투자에 성공해 곧 크랭크인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2월 16일 앤드마크 권오현 대표가 한 인터뷰에 따르면 300억대 OTT 시리즈로 현재 캐스팅보드[11]가 거의 완성되었으며 2023년 하반기에 촬영을 크랭크인 할 예정이며#관련기사, TVING 오리지널 드라마로 편성되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우씨왕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기타[편집]


  • 상당히 장수한 인물인데, 고국천왕과 혼인한 180년을 기준으로 생년을 추측하자면 160년~165년 사이인데 234년에 사망했으니 60대 후반~70대 중반까지 장수해 동천왕 재위 초반 때까지 생존해있었다. 시대를 감안하면 상당히 장수했다.[12]
[1] 북부(北部).[2] 생년은 확실치 않으나 고국천왕 재위 2년인 180년에 혼인했기 때문에 160년~165년 전후로 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3] =제나부(提那部). 방위명으론 북부(北部)로 대대로 왕후를 배출한 부족이다.[4] 근데 이쪽은 또 절노부가 아닌 연노부(서부) 소속이었다.[5] 삼국사기 권16, 고구려본기4 산상왕조 " 고국천왕이 돌아가셨을 때, 왕후 우씨(于氏)는 임금의 죽음을 비밀로 하여 밝히지 않고...(이하 생략) ''[6] 다만 고구려의 왕들에게서는 중혼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원래 처를 작은 왕후로 내리고 유력한 우씨를 첫째 왕후로 받아들인 것일 가능성도 크다. 참고로 원래 처자식은 형 고발기의 반란 때 모두 살해당했다. 그리고 산상왕은 본왕후 우씨의 자식이 아니라 한미한 평민 출신 작은 왕후인 후녀의 소생 고교체를 태자로 임명한다. 이는 삼국사기에 산상왕은 동천왕 이전엔 아들이 없었다는 기록을 보아 우씨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보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7] 심지어는 둘이 싸웠다는 이야기도 있다. 물론 고국천왕이 산상왕에게 따지는 식이었겠지만[8] 삼국사기 권17, 고구려본기5 동천왕 8년조 가을 9월, 태후 우씨가 돌아가셨다. 태후는 임종에 다음과 같이 유언하였다. “내가 행실이 바르지 않았으니 무슨 면목으로 지하에서 국양(國壤, 고국천왕)을 보겠는가? 만약 여러 신하들이 차마 내 시신을 도랑이나 구덩이에 버리지 못하겠거든, 나를 산상왕릉 곁에 묻어 달라.” 마침내 태후의 유언대로 장사를 지냈다. 무당(巫者)이 말하였다. “국양왕이 나에게 내려와서 ‘어제 우씨가 산상왕에게 가는 것을 보고는, 분함을 참을 수 없어서 마침내 우씨와 싸웠다. 내가 돌아와서 생각해보니 낯이 아무리 두껍다 해도 차마 나라 사람들을 볼 수 없도다. 네가 조정에 알려 나의 무덤을 물건으로 가리게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때문에 국양왕의 능 앞에 일곱 겹으로 소나무를 심었다.[9] 물론 자기 권력욕심을 위해 시동생이랑 결혼한 것이 현대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진 못한다. 다만 이 시대에는 그런 풍습이 있었기에 어쨌든 당시 시대로서는 말도 안 되는 짓은 아니었다. 다만 이후에도 자기 권력을 위해 아이를 못 가지는데도 남편을 매우 감시하고 어찌어찌해서 후사를 얻게 된 후에도 왕의 후녀와 그의 아들에게 패악을 부렸다. 그것이 죽기 전까지 이어졌다.[10] 넷플릭스, 왓챠, 디즈니+, 티빙과 같은 인터넷 기반의 주문형 영상 서비스[11] 보드판에 배역별 캐스팅 현황이 정리한 것[12] 우씨의 출생 시기로 추정되는 160~165년 사이 태어난 삼국지 등장인물은 유비(161년생), 순욱(163년생)이 있는데 두 사람은 우씨보다 10년, 20년씩 일찍 죽었다. 그리고 우씨와 같은 해인 234년에 사망한 사람으로 제갈량, 헌제 유협이 있는데 두 사람 모두 181년생으로 우씨에겐 자식뻘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7:40:59에 나무위키 왕후 우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