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다어

덤프버전 :



Basa Sunda
순다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지역
인도네시아 자바 섬 서부
수마트라 섬 남부
원어민
약 4,000만 명
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순다술라웨시어군
말레이숨바와어군
순다어

문자
라틴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su
ISO-639-2
sun
ISO-639-3
sun
주요 사용 지역

영어
Sundanese language
마인어
Bahasa Sunda

Namuwiki, tangkal élmu anu anjeun ngokolakeun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음운
3. 문법
4. 역사 및 문학
5. 구사자
6. 여담
7. 들어 보기



1. 개요[편집]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및 수마트라섬 남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모어 화자 수는 대략 4천만 명 정도이다.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네시아어와 모어 화자 수가 비슷하며, 집계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인도네시아어를 제외하면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 가운데 자바어 다음으로 많은 인구가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도시로 치면 대표적으로 반둥, 보고르, 쿠닝안(Kuningan), 치아미스(Ciamis)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같은 서부이지만 반튼 북부(탕그랑 서부, 스랑, 칠르곤)와 치르본 지역은 순다어 화자도 있긴 해도 기본적으로 자바어 사용권이며, 수도 자카르타 및 근교는 브타위어의 기저 영향이 강한 인도네시아어 사용권이다.


2. 음운[편집]


인도네시아어와 유사한 자음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치음치경음을 구별하지 않는 등) 자음 표기법은 거의 같으나, 인도네시아어, 아랍어 등에서 온 외래어는 기존의 순다어에 없는 f, sy, z, kh 등의 자음(인도네시아어식 표기)을 포함할 경우 p, s, j, h 등으로 옮겨지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그냥 그대로 f, sy, z, kh 등을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모음의 표기는 인도네시아어와 크게 다르다. 우선 순다어는 인도네시아어 및 자바어와 달리 7개(a, é /e/, e /ə/, i, o, u, eu /ɤ/)의 모음이 있으며 'é /e/'의 이음(allophone)으로 /ɛ/가 실현될 수 있다. 이중모음처럼 보이는 모음 표기에도 이하처럼 접근음이 끼어들게 된다.

  • kuéh - /kuwɛh/
  • muih - /muwih/
  • béar - /bejar/
  • miang - /mijaŋ/


3. 문법[편집]


자바어처럼 경어법이 발달하였다. 정확히 말하면 공식적인 레지스터인 르므스체(lemes)와 비공식적인 레지스터인 카사르체(kasar), 두 가지의 레지스터가 있다. 르므스체에서는 경우에 따라 자신을 낮추는 겸양어와 상대방을 높이는 존경어를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

기본 어순은 SVO이다. 마인어와 자바어에 비해 접사의 활용이 보다 복잡한 편이다. 가령 마인어나 자바어에서는 단순히 반복으로 나타냈던 명사의 복수는 접요사 -aR-에 의해 표지된다.[1]

  • budak(아이) - barudak(아이들)

그 밖에 동사형용사에도 -aR- 접요사가 붙어 복수의 의미를 갖도록 확장시킬 수 있다(lumpat "달리다" - lalumpatan, alus "아름다운" - aralus).


4. 역사 및 문학[편집]


고대 순다어는 순다 및 갈루 왕국(669?–1579) 시대에 약 10세기부터 인도계 바텔루투 문자나가리 문자를 차용하여 표기되기 시작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한동안 자바계 아부기다로도 표기되다 약 14세기부터는 카위 문자를 순다식으로 변형한 독자적인 아부기다인 순다 문자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남아 있는 순다어로 된 기원후 1500년 이전의 기록은 자바어에 비해서 매우 적은 편이며, 순다 또는 갈루 지역에서 남긴 많은 고대 비문은 대개 산스크리트어, 자바어, 말레이어로 되어 있다. 12세기 갈루 지방에서 기록된 루마탁 비문(Prasasti Rumatak, 1111년 고대 순다어로 기록) 등 고대 순다어로 기록된 자료가 극소수 남아 있기는 하나 자바어처럼 고대와 중세에도 문체의 시대별 변천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수준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순다-갈루 시대 후기의 순다어 비문 기록은 어느 정도 발굴되고 있어 문헌학자와 고고학자의 관심을 끄는데, 특히 순다의 니스칼라 와스투 칸차나(Niskala Wastu Kancana) 왕을 칭송하는 내용이 적혀 있는 14세기의 아스타나그데 비문(Prasasti Astana Gede)이 유명하다.

비문 외에 순다어 서적도 순다-갈루 시대부터 쓰이기 시작하였지만, 초기의 서적은 패엽에 쓰였으므로 다수가 실전되었다. 순다-갈루 후기의 순다 문학 중 대표적인 것으로 《부장가 마닉》(Bujangga Manik, 1500년 전후)이 있는데, 약 1600행(1행당 8음절) 길이의 운문 서사시로 순다 왕국의 힌두 성자 부장가 마닉이 자바 동부 및 발리 지역으로 여행을 갔다 돌아와서 육체를 벗고 피안으로 떠난다는 내용이다.

17세기까지의 순다어 서적 가운데 현전하는 것은 《부장가 마닉》 외에도 《상향 식사칸다 응 카르시안》(Sanghyang siksakanda ng karesian), 《와와찬 술란자나》(Wawacan Sulanjana), 《차리타 파라향안》(Carita Parahyangan), 《차리타 푸르나위자야》(Carita Purnawijaya), 《아마낫 갈룽궁》(Amanat Galunggung) 등 상당수가 있다. 15세기나 그 이전에 쓰인 것으로 보이는 문서는 극히 드물며, 15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연대기이자 종교적 교훈서인 《아마낫 갈룽궁》도 오늘날 일부만이 남아 있다. 순다-갈루 시대의 문서로 추정되는 《상향 스와와르친타》(Sanghyang Swawarcinta), 《자티니스칼라》(Jatiniskala) 등 많은 근세 이전 순다어 필사본은 정확한 기록 시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슬람화에 따라 17세기부터 아랍 문자를 변형한 아브자드페곤 문자도 간혹 순다어 표기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17세기 말부터는 순다어 사용 지역이 중부 자바의 마타람 술탄국 등에 정치적,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은 결과, 순다어가 자바어와 말레이어에 밀려 문어로서의 위치를 거의 상실하였다.

19세기 중반부터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정부에 의해 순다어 표기와 교육에 라틴 문자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이 시기에 중요한 순다어 작가 무하맛 무사(Raden Hadji Moehamad Moesa, 1822–1886)가 등장하여 순다어 문학 작품을 저술, 출판하였다. 무하맛 무사의 몇몇 작품은 수천 부를 인쇄하였는데 초기 인쇄물의 본문은 순다 문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20세기부터는 문어로서 인도네시아어가 압도적이기는 하나 여러 잡지나 서적, 교과서 등이 순다어로도 발행되고 있다.

5. 구사자[편집]


특정 국가의 국어 등으로 지정된 적이 없으므로 국적 상관 없이 모두 적도록 한다. 가나다순 정리.

6. 여담[편집]


구글번역기에 자신이 친 한국어의 로마자를 그대로 옮기면 거의 대부분이 순다어가 나오는데 발음이 상당히 비슷하다.


7. 들어 보기[편집]


순다어는 사용자 수가 4천만 명에 달하는 언어이므로, 상당히 폭넓은 음악이 인도네시아어가 아닌 순다어로도 나오고 있다. 특히 당둣은 여러 지역어로 불리고 있는데, 순다어 당둣 중 유명한 곡도 많이 있다. 당둣 외 장르에서 활동하는 순다 지역 가수 중 인도네시아어로 활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지방색이 강한 곡을 서브로 순다어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예로 'Yura Yunita'의 곡을 소개한다.


'Bandung'


'Kataji'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48:09에 나무위키 순다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접요사의 경우 단어의 첫 음소가 자음이면 그 뒤에 끼어들고, 첫 음소가 모음이면 맨 앞에 접두사로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