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목

덤프버전 :

2.1. 작은 눈
2.2. 바둑 용어
3. 동물 분류
3.1. 우제목(소목)


1. [편집]


한약재의 한 종류.경폐(經閉)·통경(痛經), 산후 어조(瘀阻), 흉복 자통, 외상 종통(腫痛), 파상풍에 효능이 있으며 임신부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소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


2. [편집]



2.1. 작은 눈[편집]




2.2. 바둑 용어[편집]


좌표로 따져서 (3,4)에 해당하는 8군데의 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화점이 발견되기 이전인 17~18세기 일본의 바둑으로부터 화점이 발견된 현대바둑에 이르기까지 에 두는 첫 착점으로서 가장 자주 두어지는 점이기도 하다. 보통 바둑에서 3선은 실리선, 4선은 세력선이라 불리는데, 소목은 3선의 점으로 보통 취급하고, 화점보다 안정적으로 집을 만들 수 있다. 대표적으로 소목에 착수한 후에 건너편 외목에 날일자로 굳힐 경우 매우 튼튼한 집이 구축된다.[1]

4선이 발견되기 이전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소목이 주로 두어지는 것은, 안정적이면서도 변으로의 벌림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외목이 변으로의 진출이 용이하다고 하지만 귀에서 너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소목에 비해) 안정적이지 않다.

소목에서 시작되는 정석은 간명한 경우도 많지만, 작은 눈사태, 큰 눈사태 정석 등의 대사백변에 필적하는 변화가 많으므로 초심자의 경우 소목보다는 좀더 간명한 화점을 선택하는 편이고, 어린 아이에게 처음 가르칠 경우에도 역시 화점을 먼저 두게 하는 편이다.[2]


3. 동물 분류[편집]



3.1. 우제목(소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우제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편집]


제사에서 사당을 짓거나 사당 안에서 조상을 모시는 순서.

이 제도는 고대 중국주나라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되는 제도다. 종묘 등을 설치하는데 본래 이 제도를 따른다. 이 제도에 따르면 제1세를 가운데에 모시고 짝수 째 세대는 제사를 받는 제1세를 기준으로 왼쪽에 모시는데 이것을 소(昭)라고 부르며, 홀수 째 세대는 제사를 받는 제1세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모시는데 이것을 목(穆)이라고 부르고 둘을 합쳐서 소목이라고 부른다. 세대가 지나면 가운데 제1세는 불천지위(不遷之位)라 하여 고정하고 나머지 소목을 옮기는데 가장 대수가 먼 2세의 신주는 은제(殷祭)를 지낸 뒤 땅에 묻고 나머지는 한 칸씩 밀려난다.

천자의 경우 소목을 각각 셋씩 둬서 모두 일곱 채의 묘(廟, 그러니까 사당)을 짓고[3], 제후는 소목을 각각 둘씩 둬서 다섯 채의 묘를 짓고, 대부는 소목을 각각 하나씩 둬서 세 채의 묘를 짓고, 사는 소목을 두지 못 하고 오로지 묘만 지을 수 있으며, 서민은 묘를 짓지 못하고 그저 자기 집의 침실에서 부모만 제사 지낼 수 있다.[4] 후경 항목에서 누군가가 건의한 칠묘(七廟)가 바로 이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왕릉을 조성할 때에도 이 원칙을 사용한 적이 있었다. 청나라옹정제가 기존의 청동릉 대신 청서릉을 짓고 안장되면서 이후 자신의 매장지를 고민하던 건륭제가 이 원칙을 적용해서 자신은 청동릉에 아들인 가경제청서릉에 묻혔지만 도광제가 이 조장제도를 비틀어서 유명무실해졌다.

이러한 소목의 질서를 소목지서(昭穆之序)라고 부르는데 특히 이것은 양자를 들이는 법칙을 뜻하는 말로 변했다. 쉽게 말해 자기 보다 한 항렬이 낮은 부계 혈족이 아니면 대를 이은 걸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거다. 소목지서에 맞게 들인 양자는 족보에서 계자(系子)라고 적힌다. 소목지서에 안 맞게 들인 양자[5]는 명령자(螟蛉子)라고 따로 불러서 양부의 성을 써도 대를 이은 것으로 아니 인정한다.

조선종묘는 조선이 제후국을 표방했고 나중에 천자국을 표방했기에 5묘 또는 7묘로 지어야 하지만, 불천지위를 남발해서 묘(廟)를 증축하여 길게 늘렸다. 또한 신주를 모시는 순서도 소목법이 아니라 서쪽에 조상을, 동쪽에 후손을 순서대로 일렬로 놓는 서상법(西上法)을 사용했다. 서쪽에 조상의 신주를 배치한 까닭은 해가 서쪽으로 지기에 죽은 조상을 대할 때에는 서쪽을 상석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1] 이 때문에 소목을 기준으로 해서 굳힘과 걸침의 크기는 같다고 보지 않는 견해도 있다.[2] 사실 화점을 먼저 두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접바둑도 포함되어 있다. 접바둑에서는 화점을 먼저 두게 되어 있으므로....[3] 그러니까 사당에서 7대조까지 제사 지낼 수 있다.[4] 그러니까 일본에서 사당을 따로 안 짓고 집에 부모 신주를 모시는 게 원래 서민의 제사 지내는 예에 가깝다.[5] 여기에는 피 한 방울 안 섞인 남 뿐만 아니라 사위, 외손자, 생질 등도 포함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2:34:46에 나무위키 소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