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원여객

덤프버전 : r (♥ 0)

파일:안양시 CI.svg 파일:군포시 CI.svg 파일:의왕시 CI.svg 파일:과천시 CI.svg 안양시 · 군포시 · 의왕시 · 과천시 버스 회사
[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안양시삼영운수보영운수
경원여객[a]시흥교통[a]
서울매일버스[b]
군포시산본여객군포여객
삼영운수[a]보영운수[a]
군포교통[b]우신버스[b]
대원여객[b]경기고속
의왕시삼영운수[a]보영운수
의왕교통우신버스[b]
과천시과천여객
없어진 회사삼원여객[b]유진운수[b]
[a] 해당지역 내 영업소를 둔 타 시 버스 회사
[b] 안양권 내 주영업소를 둔 서울특별시 버스 회사
[c] 안양권 내 영업소를 둔 서울특별시 버스 회사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안양시동양고속
정비공장과 본사가 안양시에 있으며, 면허 역시 안양시 면허를 사용한다.


파일:관악구 CI.svg 서울특별시 관악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관악교통[a]보성운수[a]한남여객운수
마을버스금강운수난곡운수봉현운수세광운수
신림운수신호운수은천운수인헌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부흥교통[a][b]삼원여객[a][b]
상마운수영일교통풍양운수
[a] 주사무소를 관악구 이외 지역에 둔 회사 / [b] 주사무소를 경기도에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회사 정보
이름삼원여객 주식회사
장소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81-1번지
《차고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1061-23
《면허등록지》
창립1968년 9월 1일
해체1999년 12월 31일
업종운수업
관련제품시내버스

1. 개요
2. 주요 연혁
3. 과거 운행노선
4. 면허 체계
5. 역대 보유 차량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원여객(三元旅客)은 경기도 의왕시에 연고를 둔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옛 시내버스 회사였고, 본사는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81-1번지에 있었고, 사업자등록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1061-23번지로[1] 되어 있었다. 차고지는 구 우신버스 고천영업소다. 3원여객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인 삼원운수와 단말기 업체인 삼원FA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2]


2. 주요 연혁[편집]


  • 1968년 9월 1일 : 대화여객(大和旅客)이라는 상호로 회사를 설립하였다.
  • 1972년 : 대화여객에서 삼원여객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 1975년 : 차고지를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에서 경기도 과천시로 이전하였다.
  • 1979년 : 차고지를 경기도 과천시에서 의왕시 고천동 81-1번지로 이전하였다.
  • 1999년 12월 31일 : 부실경영으로 인하여 서울특별시의 명령으로 퇴출과 동시에 폐업하였다. 동시에 도시형버스 97-2번(현 간선버스 441번으로 노선이 일부 변경되어[3] 현재까지 운영 중), 좌석버스 797번(현 간선버스 502번) 등은 2000년 초에 우신버스가 인수하여 운행개시하였고, 본 회사 차고지는 우신버스 고천영업소가 되었다.[4]

3. 과거 운행노선[편집]



3.1. 시내버스[편집]




3.2. 좌석버스[편집]




4.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89##호 ~ 90##[5][6]
  • 서울 7433##호 ~ 34##호 전반부[7]
  • 1996년 면허 체계 개정 이전 : 서울 533##호 ~ 34##


5. 역대 보유 차량[편집]



5.1. 현대자동차[편집]



5.2. 기아[편집]



5.3. 자일대우버스[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9:05:00에 나무위키 삼원여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다세대주택이 들어서 있다.[2] 당장 지금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물론이고 수도권(서울특별시 + 경기도) 전역을 통틀어서도 삼원FA 단말기를 쓰는 회사는 1곳도 없으며, 이 회사가 있는 동안에는 교통카드 자체가 아예 없었다.[3] 개편전엔 논현역까지, 개편후엔 신사역/가로수길까지 연장되어 운행 중이다.[4] 당시 부도직전에 마지막으로 출고된차량 일부를 우신버스가 가져왔으나 기존 삼원여객 차적은 압류조치된 관계로 따로 인수하지 않고 신규 면허를 새로 발급받았다. 이때 4대 존재하던 1999년식 차량 (에어로 스페이스 LS : 서울 70 사 8913호 ~ 8914호, 에어로시티 540SL : 서울 70 사 8915호 ~ 8916호)의 경우 경매를 통해 매입한 다음 용도에 맞는 노선에 투입하여 8947호 ~ 8950호 신규 면허를 새로 발급했으며 차령 9년을 다 채우고 수출하였다.[5] 관악구 면허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 번호[6] 현재 우신버스에서 사용중이다.[7] 3338호부터 3400호까지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