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전(고려 거란 전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 인물에 대한 내용은 노전 문서
노전번 문단을
노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노전
盧戩

캐릭터
지위
도관원외랑·행영도통판관[1] (6 ~ 8회, 16회)
→ 거란 관리[2] (8 ~ 15회)
→ 서경판관 (18회 ~ )
등장회차
6 ~ 8회, 13 ~ 16회, 18회~
배우
김태한

1. 개요
2. 작중 행적
2.1. 6 ~ 8회
2.2. 13 ~ 16회
2.3. 18회
2.4. 25회
2.5. 26회
2.6. 27회
2.7. 28회
2.8. 29회
2.9. 30회
2.10. 31회
2.11. 32회(최종회)
3. 묘사
4. 어록



1. 개요[편집]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의 등장인물. 배우는 김태한으로 전작 태종 이방원에서 민무구를 연기했다.


2. 작중 행적[편집]



2.1. 6 ~ 8회[편집]


6회에서 강조와 같이 작전 회의를 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하였고, 7회에서는 노의와 더불어 선봉으로 뽑혀 거란군의 공격을 막아낸다.

8회에서 역사대로 강조와 더불어 생포된 이들 중 하나로 나오며, 강조에게 구해드리지 못해 죄송하다며 사죄하지만, 결국 이현운, 노의에 이어 야율융서에게 항복한다. 다만 완전히 거란의 앞잡이가 된 이현운이 고려의 각 성에 항복을 권유하자고 하자 아직 강조의 시신이 식지 않았다며 그를 질책하고, 자신을 비롯한 항장들에게 줄 음식을 가져온 포로로 잡힌 고려 포로의 몸에 난 상처를 보고 마음 아파한다.[3] 결국 통주성에 사절로 가서 항복을 권유하다 최질에게 얻어 맞고 다시 붙잡히는데, 일말에 양심은 있는지 별다른 항의나 저항 없이 가만히 있는다.[4]


2.2. 13 ~ 16회[편집]


13회에서 거란 사신과 함께 서경의 감옥에 갇혔다가 양규의 명으로 나와 개경으로 향했다. 본인은 죽여달라고 했지만, 끝내 가긴 했는데, 믿을 수 있냐는 강감찬의 물음에 양규는 그가 아직은 고려의 신하라고 말했다.[5] 이후 개경의 거란 진영으로 건너가 소배압을 만나게 되는데, 고려의 항장 출신이라 고려 사람들이 살려둘 리가 없는데 어떻게 살아돌아왔느냐는 추궁에 "자신은 거란의 신하가 된 사람이며, 통주성 무장들은 날 죽이려 들었지만 도순검사가 날 방면시켜주며 은밀히 말을 전하라고 했다"라며 강감찬과 소배압의 만남을 접선한다. 이후 상황(강감찬과 소배압의 절령 회동)으로 보아 이들이 합작해서 나름 거란의 철군을 유도하기 위한 공작을 벌이려는 것으로 보인다.

14회에 소배압에게 서경과 통주의 군사 현황을 20만이라 부풀려 설명하면서[6] 이들이 함마갱을 파고 매복을 기다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후 소배압이 이미 노전과 합을 맞춰놓은 양규가 서경지역에 함마갱을 파면서 펼친 공성계[7]에 넘어간 척후병의 보고를 듣고 노전의 말이 사실인 것으로 오판하게 된다.[8]

15회에서 결국 그의 내부 교란이 성공하면서 거란군은 귀주 방면으로 철군하게 되고, 이를 하공진에게 알리면서, 하공진은 사신으로 왔으니 거란군과 함께 가야 한다고 전한다. 이후 양규의 계책으로 귀주 협곡에서 거란군의 선봉이 전멸하자, 그의 역정보에 속은 걸 안 소배압은 노발대발하며 바로 노전을 잡아오라고 명하지만, 이미 노전은 도주 중이었고 거란군의 추격을 받다가 양규의 부대에게 구조되며 고려로 완전히 귀환한다. 이후 16회에서 다른 장수들과 함께 흥화진에서 양규와 김숙흥의 시신이 수습되어 온 것을 지켜보며 침통해한다.


2.3. 18회[편집]


조원과 함께 서경 판관에 임명되었다. 비록 한동안 거란에 항복하여 거란의 신하가 되긴 했지만, 같이 항복한 이현운과는 달리, 자신의 행동에 끊임없이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고, 거란군의 동태를 양규측에 귀띔하는 등 공을 참작받은 것으로 보인다. 볼일이 있어서 개경에 왔다가 강감찬을 만나 서경의 현황에 대해 말하던 중 탁사정이 조정에 있는 것을 보고 분개한다는 조원의 말에 이를 두고 서북면의 장수들과 군사들이 거란보다 황제를 원망한다는 우려를 밝혔다.

2.4. 25회[편집]


예고에서 강감찬과 함께 말을 타고 이동하다가 최질이 이끄는 반란군을 보고 놀라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2.5. 26회[편집]



2.6. 27회[편집]



2.7. 28회[편집]



2.8. 29회[편집]



2.9. 30회[편집]



2.10. 31회[편집]



2.11. 32회(최종회)[편집]




3. 묘사[편집]


원작 소설에서는 42세의 나이로 강조와 동갑으로 설정되어 있고, 키가 작고 얼굴이 큰 편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얼굴 빛이 검고 말수가 적은 등 양규와 성향이 비슷하다.[9] 통주 전투에서 긴장을 놓지 않은 채 여러 활약을 하지만[10], 강조의 죽음을 눈 앞에서 보며 공포에 떨어 하지 말야할 항복을 한 후 통주성 앞에 사신으로 가서 침울한 표정으로 패배를 전하여 2차례 항복을 유도하면서도 결국 굴욕과 부끄러움에 자신도 다시 싸울 기회를 달라고 청하는 등 고려에 충성하는 면모를 보인다. 또한 잠시 통주성에 갇힌 뒤에 양규가 풀어준 후 곽주성 탈환에 선봉으로 참여하여 성문의 빗장을 푸는 활약을 한다.[11]

드라마에서는 거란에 항복할 때에 다른 장수들보다도 자기 자신에 회의감을 느끼며, 양규가 곽주성을 탈환한 후에 더 이상 거란의 신하로 살기 싫으니 죽여달라고 청하는 노전에게 작전을 세워 일단 노전을 거란군에 돌아가게 한다. 직후 노전은 아직 자신이 고려가 아니라 거란에 충성하는 척하여 거란군이 오판을 하도록 속이는 식으로 묘사되는데, 원작에서 곽주 탈환에 참여하도록 설정한 방식과는 다르나 고려사에서 실제로 노전의 공을 치하한 사실을 토대로 그 역시 항복한 후에도 고려를 위하는 신하로서 활약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실존 인물인 노전은 현종 대를 거쳐 덕종 대에도 관직에 임명되는 인물이기에 드라마에서도 제2차 여요전쟁 이후에 잠깐씩 출연할 것으로 보인다.


4. 어록[편집]


도통사의 시신이 아직 다 식지도 않았습니다! 제발 자중하십시오!

도순검사, 저는 여기서 죽여 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더는 거란의 신하로 살기 싫습니다! 제발 죽여 주십시오...

예, 맞습니다. 농사 짓다 끌려온 광군들입니다. 하나, 도순검사가 서경에 머물고 있습니다. 흥화진에서 40만의 거란군을 막아냈던 사람이고, 곽주를 탈환한 사람입니다. 군사들의 사기가 매우 높을 겁니다.

[1] 드라마에서 따로 표기되지는 않았지만, 고려사에서는 그의 직책이 본래 '도관원외랑'이었으나 제2차 여요전쟁에서 '행영도통판관'이 되었고, 원작 소설에서는 그가 판관에 도관원외랑을 역임한다고 설명한다.[2] 정확히 무슨 관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실존 인물 노전이 거란에 의해 통주성에 마수와 함께 항복을 권하러 온 사실을 바탕으로 거란의 관리가 되었다고 각색한 듯하다. 다만 13-15회에 다시 등장했을 때에는 사실상 고려 저항군의 첩자였고, 16회에선 고려군의 갑옷을 입은 모습이 나온 것으로 보아 사실상 다시 고려의 신하로 인정받은 듯하다.[3] 이현운을 제외하고 다른 장수들도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아무래도 자기 살자고 조국을 배반한 게 걸린 듯하다. 그런데 이현운은 이들을 달래고 어르기는커녕 반발감을 키웠다.[4] 다만 고려사 등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노전은 결국 고려로 다시 귀환하는 데다가, 그 뒤로도 멀쩡히 관직을 수행하고, 심지어 후일 충선왕 때는 서희, 하공진, 양규 등과 함께 거란군을 물러나게 한 공신으로 언급이 되기 때문에, 아마 공을 세우고 다시 고려로 귀환할 것으로도 추측해볼 수 있다.[5] 이때 떠나기 전 양규와 눈빛을 마주했는데, 뭔가 꾸미는 것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원작에서는 양규가 그를 풀어주자 운이 나빠서 이 꼴이 되었지만 이미 한 번 죽은 목숨이니 구차하게 살 생각은 없다면서 기회를 준 것만 해도 감사하다고 말한다.[6] 정확히는 만약 통주에서 고려군이 패했을 때를 대비해서 각 장수들은 군사들을 수습해서 서경으로 모이라는 계획이 있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소배압도 통주에 있던 고려군 30만을 모두 죽이지 못해서, 흩어진 고려군이 다시 결집하지 않을까 걱정을 했었다.[7] 노전은 소배압에게 현재 서경에 주둔한 잔류병력이 20만, 통주가 3만명은 된다고 거짓말을 했는데 양규는 함마갱을 파러 나갈 때 성곽에 경비를 세운 병력을 제외한 성내 모든 가용병력을 동원해 보냈다. 상식적으로는 성을 완전히 비우고 외부작업을 시킬 리는 없으므로 마치 성 전체의 병력이 정말로 수십만은 되는 것처럼 블러핑을 한 것이다.[8] 고려군의 사정을 잘 아는 이현운이 살아있었다면 공성계를 간파하거나 적어도 의심할 가능성이 높다. 그가 죽으면서 고려 포로 출신 중 가장 높고 서경의 최신 사정을 아는 사람이 노전뿐인 것이 천운이다.[9] 원작 설정상 거란이 침략을 공표할 당시 연주에 방어사로 있었던 그의 휘하에 7개월간 방어부사으로 일했기에 서로 잘 통하는 사이였다고 하며, 양규에 대해 뜻과 생각이 크고 행동에 과단성이 있어 실전에도 머뭇거림이 없다고 보면서 곽주 탈환 계획 당시 그가 아예 거란군을 섬멸하기로 결심하자 역시 양규답다는 생각을 하여 자신도 분발하기로 한다.[10] 검차진이 거란군과 격전하는 동안 진격하거나 진을 재정렬해야 할 때를 판단하고, 거란군이 고려군을 지치게 하려는 듯하자 역으로 그 의도를 이용하자는 계책도 내며, 강조가 죽은 적군의 갑옷과 병장기를 회수한 후 진을 뒤로 물리자고 주장한 것에 대해 적군이 직접 시신을 수거할 시간을 주자고 제안하기도 한다.[11] 원작에서 곽주 탈환 당시 선봉대를 대기시켜 양규가 선두에서 신호를 주자 다른 인원들과 짐들을 내려놓고 성가퀴 사이를 넘어 성벽에 올라선 후 화살이 날아오는 상황에서 정신용과 함께 방패를 등에 진 채 달려가 창에 찔려가면서 빗장을 모두 풀어내고 뿔나팔을 분다. 다행히 양규가 거란군에 발각될 위험을 무릅쓰고 제때 사다리에 올라타 성벽을 오르며 출발하였고 본인도 탈환이 끝나고 나서 말에 올라 마음이 가벼워진 채 거란군이 회군하면 당도할 완한령 쪽을 보며 작전 회의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8:15:08에 나무위키 노전(고려 거란 전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