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간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대한민국 문교부 차관
이승만 정부
제3대
최규남

제4대
고병간


제5대
허증수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4대 문교부 차관
고병간
高秉幹 | Ko, Byung Gan


파일:고병간.jpg

창씨명
다카헤이 칸코(高平幹康)
이명
고병관

영서(瀛西)
본관
제주 고씨
출생
1899년 12월 24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마룡동[1]
(현 평안북도 피현군 용흥리)
사망
1966년 12월 11일 (향년 67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재임기간
제4대 문교부 차관
1951년 9월 21일 ~ 1952년 11월 13일
학력
의주 신영소학교 (졸업)
선천 신성중학교 (졸업)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졸업)
교토제국대학 (의학 / 박사)
경력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교실 강사
함흥제혜병원 외과 과장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외과 교수
대구의과대학 학장
대한적십자사 경상북도지사 지사장
경북대학교 총장
대한외과학회 회장
메노나이트자선재단 이사장
대한결핵협회 회장
연세대학교 총장
세브란스병원 원장
숭실대학 학장
가족
배우자 공은일[2], 슬하 1남 3녀
묘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문봉동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교육인, 독립유공자로, 경북대학교연세대학교, 숭실대학교의 총장과 문교부 차관 등 의료분야와 교육분야의 여러 직책을 역임하였다.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899년 12월 24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마룡동(현 피현군 용흥리)에서 아버지 고승환과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선천군 읍내면 천북동(현 선천군 선천읍)으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다.

1915년 의주군 신영소학교를 졸업하고 선천군 신성중학교에 입학했다. 신성중학교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고, 공소·상고까지 했으나 1919년 7월 12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신성중학교에 복학하여 졸업하였다.

이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함흥제혜병원의 외과 과장으로 근무하다가 교토제국대학으로 유학하여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해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외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광복 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학장과 대한적십자사 경상북도지사장을 역임하다가 1951년 문교부차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52년 경북대학교 총장 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연세대학교계명대학교의 재단이사를 역임하였고, 연세대학교숭실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했다. 그 뒤 1966년 12월 9일 중앙청에서 개최된 전국대학 총·학장 회의에 참석하던 중 갑자기 졸도해 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12월 11일 뇌일혈별세했다.


3. 여담[편집]


  • 고 박사는 특히 1945년 전교생이 50명이었던 대구의학전문학교의 교장으로 부임해 정식 단과대학인 대구의과대학으로 승격시키고 1947년 도립대학으로, 1952년 경북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이관 개편되어 현재는 대표적인 지방 의과대학으로 발전시킨 원동력이 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평안북도 출신답게 짙은 평안도 사투리를 썼다. 고 박사 외에도 문교부장관을 역임한 살콰주 홍종철 장군도 같은 평안북도 출신으로 짙은 평안도 사투리를 썼다. 육군본부 헌병감을 역임한 김진기 예) 준장도 평안북도 출신답게 평안도 사투리가 심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8:30:26에 나무위키 고병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본적이 평안북도 의주군 '췌면 마체동'(膵面 麻體洞)이라고 되어 있는데, 국가지식포털 북한지역정보넷을 보면 의주군에는 췌면도, 마체동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월화면(月華面)이 있어 월화면의 '월화'(月華)를 췌(膵)로 잘못 읽은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겠다. 또한 월화면에는 마체동이 없고 다만 마(麻)로 시작하는 동으로 마룡동(麻龍洞)과 마흥동(麻興洞)이 존재한다. 이 중 마룡동의 룡(龍)이 마체동의 체(體)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마룡동으로 비정해보았다.[2] 孔銀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