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큐 600형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케이큐전철 로고.svg
케이큐 600형 전동차 (2대)
京急 600形 電車
Keikyu 600 series
||
파일:Keikyu-607F.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8량 1편성, 4량 1편성
도입 시기1994년 ~ 1996년
운행 시기1994년 ~ 현재
제작사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
파일:tokyucar.svg
소유기관파일:케이큐전철 로고.svg
운영기관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8,000㎜
전폭2,830㎜
전고4,050㎜
궤간1,435㎜
급전 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 장비1호형 ATS, C-ATS
제어 방식도요전기제 GTO-VVVF 인버터 제어[홀수편성,]
미쓰비시제 GTO-VVVF 인버터 제어[짝수편성,]
구동 장치TD 피팅식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 공기제동
편성 출력480kW ~ 720kW
최고속도영업120㎞/h
설계130㎞/h
기동 가속도3.5㎞/h/s
감속도상용4.0㎞/h/s
비상4.5㎞/h/s

[홀수편성,] *7편성 제외[짝수편성,] *6편성 제외

1. 개요
2. 구성 정보
2.1. 재량
2.2. 편성
3. 이야깃거리
4. 내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케이큐 전철에서 1994년부터 도입하기 시작한 통근형 전동차이다. 처음부터 아사쿠사선 입선용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며, 지하철 차량 중에는 드물게 전차량 크로스시트로 되어 있었으나 2005년부터 차량의 맨 앞, 뒤쪽의 좌석을 제외하고, 전부 롱시트로 교체를 시작하여 전 편성 갱신 공사가 완료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혼잡하지 않은 낮시간대에는 3도어 중 가운데 출입문을 고정하여 2도어처럼 운용하려 하였으나 혼란을 유발할 수 있어 없던 일이 되었다.


2. 구성 정보[편집]



2.1. 재량[편집]


8량 8편성, 4량 6편성이 운행중이다.

2.2. 편성[편집]


8량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 ◇
편성M1cM2TuTsM1'M2'M1M2c제작 회사
601편성601-1601-2601-3601-4601-5601-6601-7601-8도큐차량
602편성602-1602-2602-3602-4602-5602-6602-7602-8카와사키 중공업
603편성603-1603-2603-3603-4603-5603-6603-7603-8도큐차량
604편성604-1604-2604-3604-4604-5604-6604-7604-8카와사키 중공업
605편성605-1605-2605-3605-4605-5605-6605-7605-8카와사키 중공업
606편성[1]606-1606-2606-3606-4606-5606-6606-7606-8도큐차량
607편성607-1607-2607-3607-4607-5607-6607-7607-8카와사키 중공업
< >< >
편성MucTTp1MuMsTTp1Msc제작 회사
608편성608-1608-2608-3608-4608-5608-6608-7608-8도큐차량

4량우라가 방면 ↔ 센가쿠지 방면
< >
편성MucTTp2Msc제작 회사
651편성651-1651-2651-3651-4카와사키 중공업
652편성652-1652-2652-3652-4카와사키 중공업
653편성653-1653-2653-3653-4카와사키 중공업
654편성654-1654-2654-3654-4카와사키 중공업
655편성655-1655-2655-3655-4도큐차량
656편성656-1656-2656-3656-4도큐차량


3. 이야깃거리[편집]


케이큐 전철에서 기존의 식빵차스러운 디자인을 떨쳐내고, 케이세이 3700형 전동차. 도쿄도 교통국 5300형 전동차와 동등한 수준의 차량을 제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최초의 VVVF 차량이라는 타이틀은 1500형 1700번대 전동차이지만, 1500형 1700번대 전동차는 식빵스럽던 1500번대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기에, 디자인은 상당히 투박했다. 차체 역시 알루미늄 차체임에도, 떡칠 도색으로 강철이였던 기존 1500번대 전동차와 크게 다르게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유선형 디자인과, 로렐상까지 받았던 800형 전동차의 도색 (지금은 1500형 전동차와 똑같은 떡칠 도색이 되어버렸다.) 을 사용해서 개발한 것이 이 차량이다.

디자인뿐만 아니라, 운전대의 검수용 모니터나 경량 대차, 3도어 올 크로스시트 등의 시험적인 시도가 많이 들어갔다. 하지만 기술적인 시도 대부분은 실패로 끝났다. 경량 대차는 볼스터 대차만을 고집하던 케이큐의 방침과 맞지 않아서 후속 차량들에게는 반영되지 않았으며, 올 크로스시트 차량은 항상 헬케이트가 펼쳐지는 케이큐의 RH시간 입석에 불리하고, 시트의 착석감마저 좋지 않아 결국 2005년부터 싸그리 롱시트로 갈아버렸다. 검수 모니터 역시 초기형이였는지라, 2005년 갱신 때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게다가 운행노선의 다른 차량들에 비해 제동성능이 떨어지는 편이라 승무원들의 평가도 좋지 않은 차량이다.[2]

VVVF 기기의 경우, 대부분 1500형 1700번대의 것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었다.

그래도 참신한 디자인은 후속 차량인 케이큐 2100형 전동차신 1000형의 베이스가 되었고, 특유의 도색도 800형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특히 도색은 아예 케이큐의 아이덴티티로 굳어져, 신 1000형 스테인레스 차량에서 변경되었던 것을, 신 1000형 1800번대 차량에서 다시 되돌려놓았다(...) 세이부와의 콜라보레이션에서도 이 차량의 도색이 선정되었다.

처음엔 와이퍼 커버부분에는 아무것도 없었지만 추후 2100형과 신 1000형이 도입되면서 각각의 차량 번호를 와이퍼 커버부분에 적용했으며, 디자인 통일을 위해 2000년대 후반에 모두 600형을 나타내는 번호를 전부 적용하였다.

케이큐 2100형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BLUE SKY TRAIN을 운행중이다.

608, 653편성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소리가 비슷하다.[3]

4. 내부[편집]


개조 전의 크로스 시트 시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eikyu_600gata_interior.jpg

개조 후의 롱시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eikyu_600gata_No1.jpg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2:43:04에 나무위키 케이큐 600형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LUE SKY TRAIN 도색이 적용된 차량이다[2] 특히 미츠비시 VVVF 차량의 평가가 좋지 않으며, 그중에서도 608F는 제어방식이 다른 차량들과 달리 1C4M 방식이라 운전 및 제동 취급이 같은 600형과도 달라 승무원들이 기피하는 차량이기도 한다.[3] 사실 이 차량의 구동음은 정차할 때 소리가 끝에서 조금 끊기는 것 빼고는 옆노선의 1, 2차분 전동차와 같은 소리를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