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tmania IIDX 26 Rootage/단위인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beatmania IIDX 26 Rootage



  • 전작과 구성이 동일한 단위
    • 싱글 플레이: 7급, 4급, 초단, 3단, 4단, 개전
    • 더블 플레이: 7급

1. 싱글 플레이
1.1. 급(級)
1.1.1. 7급
1.1.2. 6급
1.1.3. 5급
1.1.4. 4급
1.1.5. 3급
1.1.6. 2급
1.1.7. 1급
1.2. 단(段)
1.2.1. 초단
1.2.2. 2단
1.2.3. 3단
1.2.4. 4단
1.2.5. 5단
1.2.6. 6단
1.2.7. 7단
1.2.8. 8단
1.2.9. 9단
1.2.10. 10단
1.3. 전(伝)
1.3.1. 중전
1.3.2. 개전
2. 더블 플레이
2.1. 급(級)
2.1.1. 7급
2.1.2. 6급
2.1.3. 5급
2.1.4. 4급
2.1.5. 3급
2.1.6. 2급
2.1.7. 1급
2.2. 단(段)
2.2.1. 초단
2.2.2. 2단
2.2.3. 3단
2.2.4. 4단
2.2.5. 5단
2.2.6. 6단
2.2.7. 7단
2.2.8. 8단
2.2.9. 9단
2.2.10. 10단
2.3. 전(伝)
2.3.1. 중전
2.3.2. 개전


1. 싱글 플레이[편집]



1.1. 급(級)[편집]



1.1.1. 7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ick Master (reform version)180
2nd中華急行2164
3rdEternal Tears2222
FinalCALL2185


1.1.2. 6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I'm so Happy3211
2nddiagram3318
3rd陽炎3317
FinalElement of SPADA3355


1.1.3. 5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4395
2ndavant-guerre4390
3rd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4329
Finalバビロニア4422


1.1.4. 4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ly you to the star4393
2ndƒƒƒƒƒ4431
3rdサヨナラ・ヘヴン4476
FinalShe is my wife5358


1.1.5. 3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405nm(Ryu☆mix)5409
2ndXANADU OF TWO5505
3rdSigSig5548
FinalREINCARNATION5525


1.1.6. 2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ync6549
2ndnaughty girl@Queen's Palace5433
3rdsakura storm5529
Finalライオン好き5600


1.1.7. 1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BREATH6469
2ndMENDES6573
3rdRed. by Full Metal Jacket6517
FinalWith your Smile6597


1.2. 단(段)[편집]



1.2.1. 초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Blind Justice 〜Torn souls, Hurt Faiths〜6679
2ndFunny Shuffle6590
3rdGOLD RUSH7608
FinalI Was The One (80's EUROBEAT STYLE)6685


1.2.2. 2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onkey Dance7690
2ndSweet Clapper7623
3rdZenius -I- vanisher7790
FinalAbyss7817


1.2.3. 3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かげぬい ~Ver.BENIBOTAN~7718
2ndPresto8498
3rdBRIDAL FESTIVAL !!!7764
FinalCaptivAte 〜裁き〜8663


1.2.4. 4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era(nostalmix)8555
2nd虹色8792
3rdTA・DA☆YO・SHI8849
FinalR58588


1.2.5. 5단[편집]



4스테이지를 제외한 모든 스테이지 구성이 바뀌었다.



1.2.6. 6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紅牡丹9929
2ndBounce Bounce Bounce9909
3rd旅人リラン9998
Finalrottel-the-Mercury9963

수록 이후로 개근한 bloomin' feeling이 빠지고 rottel-the-Mercury가 들어왔다. 18 Resort Anthem 당시 5단에 수록되었던 Bounce Bounce Bounce가 6단으로 다시 들어왔는데, 과거 너티걸 때보다 스크래치 구간이 어려워 스크래치에 약한 유저들에겐 체감 난이도가 어려워졌다.


1.2.7. 7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Watch Out Pt.291029
2ndKung-fu Empire101327
3rdZirkfied101055
FinalTHE SAFARI10900

보스곡 물갈이가 행해진 6단과 8단과는 달리 보스곡의 교체는 절대없다. 하지만 첫 스테이지에 Watch Out Pt.2가 들어와 마지막 스테이지까지의 게이지 유지 난이도는 높아졌다. 스크래치 구간이 복잡하거나 빠른 박자로 나오지 않고 그나마 정직하게 나온다는 것이 다행.


1.2.8. 8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疾風迅雷101078
2nd廿101215
3rdLAB101075
FinalS!ck111373

개인차곡만 들어있던 전작의 구성이 모두 뒤엎어졌다. DJ TROOPERS 이후 처음으로 gigadelic이 제외되었는데,[1] gigadelic은 정배치가 9단 수준인 점과 12박 트릴에 의존된 패턴 특성으로 인해 호불호가 상당히 갈렸기에, 리듬게임 갤러리 등지에서는 대체로 보스곡 교체에 대해 긍정적인 편이다. 대신 들어온 S!ck는 물량과 견제스크를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2스테이지까지는 廿의 초반 변속을 제외하면 주의할 점이 없고, 10레벨 내에서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까다로운 LAB에서부터 본격적인 8단의 시험이 시작된다.


1.2.9. 9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The Dirty of Loudness111327
2ndnaughty girl@Queen's Palace111088
3rdCookie Bouquets111714
FinalSAY BAY121455

9단도 모든 곡이 교체가 되었는데 오랜만에 2스테이지에 스크래치곡이 배정되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전작에선 1 스테이지가 Line 4 Ruin으로 그냥 넘어가는 느낌이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밀도있는 폭타로 11레벨 상위권에 위치한 The Dirty of Loudness이기 때문에 첫 스테이지의 난이도는 상당히 올라갔다.

2 스테이지 스크래치곡인 naughty girl@Queen's Palace이 들어왔다. 스크래치곡 특성상 개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난관으로 부딪힐 수 있는 구간. 전작에 수록된 Acid Pumper, Kailua, Golden Palms에 이어서 개인차 담당을 하고 있다.

3스테이지는 전작의 four pieces of heaven가 스크와 폭타의 복합 처리를 요구했다면, 이번작에서는 copula에서 한번 등장했던 Cookie Bouquets가 끝없는 동시치기와 체력을 요한다. 다만 전작인 four pieces of heaven의 난이도가 사람에 따라서 마지막 곡이었던 Scripted Connection⇒ A mix보다 어려웠을 정도의 난이도였던 것에 비해서 상당히 쉽게 나온 편. 이번 단위인정에서 유일하게 포션 역할을 하는 구간이지만 후살은 조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스테이지에 처음으로 SAY BAY가 등장했으며, 역대 9단 보스곡들 중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를 지니고 있다. 3스테이지에서 최대한 게이지를 채워 세이베이 초반부 트릴+좌우대칭 폭타, 중반부의 스크래치 지대와 후반부의 스크 섞인 겹계단 후살을 버텨야 9단 합격을 바라볼 수 있다.

전작 9단에 이어서 역대급 9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3스테이지인 Cookie Bouquets를 제외하면 쉬는 곳이 전혀 없으며, 보스곡인 SAY BAY가 9단 곡들 중에서 가장 어렵게 나왔기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전작에서 3스테이지에 four pieces of heaven이 수록되면서 난이도를 크게 높였던 것과 다르게 Cookie Bouquets가 3스테이지에 수록되기에는 쉬운 수준이라 체력을 충분히 채우고[2] 4스테이지에 돌입할 수 있다.

EX 단위 게이지 플레이 시에는 SAY BAY 정규 배치 후살이 워낙 어려워서 일반적으로는 전작보다 어렵게 평가 받으나 전작에서는 여러 개인차 요소가 들어갔기에 전작이 더 어려워 질 수 있다.


1.2.10. 10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Rave Cannon121760
2ndIMPLANTATION121163
3rdFIRE FIRE121405
Finalreunion121677

많이 갈려나간 다른 단위에 비해서 전작의 구성을 거의 유지하고 있다. Rave Cannon은 10단에 처음 채용된 곡이고 IMPLANTATIONFIRE FIRE는 전작과 동일하다. 그리고 다시 마지막 곡으로 reunion이 들어왔다.

컬쿠가 들어가지 않아 상당히 쉬운 10단이었던 전작보다는 살짝 어려운 정도지만, EX 난이도는 리유니온으로 인해 상당히 상승했다.

1P 기준 정배로는 FIRE FIRE가 극한의 똥배가 나오고, 미러로는 임플의 초반을 버티기 힘드니 자신이 조금이라도 더 게이지를 유지할 수 있는 배치를 설정해 도전하는 것을 권장한다. 리유니온의 폭타부분이 시작되면 10단 합격이 바로 눈 앞에 다가올 것이다.

여담으로 9단 첫곡, 10단 마지막곡으로 Tatsh의 곡이 선정되면서 빨강단은 빅장으로 시작해서 빅장으로 끝나게 되었다.


1.3. 전(伝)[편집]



1.3.1. 중전[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ky High121943
2ndSnake Stick121447
3rdBad Maniacs121656
FinalMENDES121831

마지막 스테이지를 제외하고 전부 물갈이되었다. 스크래치 처리 능력을 시험하기 위함인지 중전에 최초로 스크래치곡이 수록되었다. 또한 중전이 생긴 이래 그동안 고정으로 수록되던 Reflux가 빠졌다는 게 특이사항.

대체로 전작보다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1스테이지는 순간적인 발광구간에서 까여도 헬 차지 노트로 무난하게 게이지를 채울수있는 Godspeed보다 꾸준한 폭타로 밀어붙이는 Sky High가 더 어려우며 중전에 도전할정도의 실력이면 대부분 2스테이지의 Snake Stick에서 게이지 유지는 커녕 저공비행하기도 바쁘다. 3스테이지의 Bad Maniacs는 정배치 기준으로 MENDES보다는 약간 쉽지만 역시 마땅한 회복구간 없이 꾸준한 폭타와 축연타로 몰아붙이는 패턴이라 중전의 보스곡인 MENDES에 충분한 게이지를 들고가기 어렵다.


1.3.2. 개전[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嘆きの樹122000
2nd灼熱Beach Side Bunny121719
3rd卑弥呼122119
Final122000

전작과 동일하다.


2. 더블 플레이[편집]



2.1. 급(級)[편집]



2.1.1. 7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ick Master (reform version)1128
2ndちらちら・はらはら2203
3rdI Was The One1205
Finalearth scape2230


2.1.2. 6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KEEP ON MOVIN'2119
2ndClaiomh Solais2265
3rdEternal Tears2266
FinalAlpheratz3281


2.1.3. 5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CALL2271
2nd8bit Princess3343
3rd走馬灯 -The Last Song-3258
Finalairflow3293


2.1.4. 4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r.LOVE3259
2ndFantasia4309
3rd†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IIDX EDIT)3278
FinalCOLOSSEUM3353


2.1.5. 3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Stay my side4301
2ndAlmace4431
3rdSAMSARA4408
FinalWorld Wide Love4454


2.1.6. 2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Drive Me Crazy4360
2nd草原の王女 -軌跡を辿って-4433
3rdShining World4568
FinalD.A.N.C.E.!5425


2.1.7. 1급[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I'm Screaming LOVE5456
2ndWhy did you go away5552
3rdEverlasting Resort5472
FinalVoltage (feat. Hidemaru)5480

마지막 스테이지인 Voltage는 변속장난이 있으니 곡을 알고가면 좋다


2.2. 단(段)[편집]



2.2.1. 초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Ascalon6649
2ndユミル5505
3rd19,November5589
Final.596515


2.2.2. 2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Cheer Train6623
2ndUnder the Sky7670
3rdDazzlin' Darlin7696
FinalDXY!6781


2.2.3. 3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FIRE FIRE7616
2ndWonder Girl feat. Kanae Asaba7673
3rd虹色7793
FinalAbyss7771


2.2.4. 4단[편집]




2.2.5. 5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シュッパツシンコウ・シサカンコ8878
2ndBRIGHTNESS DARKNESS8825
3rdOn the FM8814
FinalEURO-ROMANCE8893

1,4스테이지만 제외하고 전곡이 변경되었다. 전작까지 꽤 오랫동안 5단 3스테이지를 담당하고 있었던 B4U가 빠진 것이 특징이다.


2.2.6. 6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osaic8845
2ndサヨナラ・ヘヴン8817
3rd雪月花8867
FinalCELEBRATE NITE8731

전작의 GRADIUS 2012가 빠지고 mosaic가 들어왔다.
사요나라 헤븐의 후반과 설월화 초반이 관건.


2.2.7. 7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ick Silver9878
2ndWanna Party?9910
3rdSummer Vacation (CU mix)9984
Final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101199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1스테이지만 변경되었다.
합격에 중요한 포지션을 맡는 2~4스테이지가 몇 년 째 그대로기 때문에 전작들과 동일한 느낌으로 해주자.


2.2.8. 8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1st Samurai101016
2ndQuickening101044
3rdLUV CAN SAVE U101416
FinalTHE LAST STRIKER101342

1스테이지는 템포가 175에서 시작했다 후반부에 200으로 증가한다. 이 구간에서 방심할 경우 그대로 폭사하거나 게이지가 크게 깎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 EX게이지로 할 경우, 특히 요주의. 변속 직전에 정적 구간이 있으니 배속을 175에 맞췄다가 바꾸는 것이 편하다.
2스테이지는 1스테이지보다 살짝 어렵다. 중반부에 어려워지는 구간만 주의하자. 후반부는 노트가 단순하게 나오니 박자랑 손배치만 잘 잡으면 무난히 넘길 수 있다.
3스테이지는 앞에 곡에 비해 노트가 빽빽하고 복잡하게 나와서 어려운 편이다. 실제로 10렙들 중에서 상급에 드는 패턴이기도 하고. 마지막 스테이지의 초살을 좀 더 쉽게 버티기 위해서는 후반에서 최대한 많은 게이지를 남기는 것이 좋다.

마지막 스테이지는 다들 아시다시피 초살만 어떻게든 버티면 상대적으로 무난한 후반부는 더블 배틀 구간만 조금 신경써주면 별 탈 없이 넘겨진다.


2.2.9. 9단[편집]



EX합격 영상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Little Little Princess111610
2ndJust a Little Smile111276
3rdTHE DEEP STRIKER111451
FinalTomorrow Perfume111311

4곡 모두 변경되었다.

1스테이지는 초반부가 조금 당황스러울 수 있으나 적당히 비비는 것으로 그럭저럭 넘길 수 있다. 템포가 조금 빠른 것 빼면 1스테이지니만큼 그리 어렵지는 않다.
2스테이지는 스크래치곡이다. 스크래치가 많아지는 구간이 중반과 후반에 각각 하나씩 총 두곳이 있는데 박자가 심히 난감해서 잔실수가 나기 쉬우므로 주의.
3스테이지는 12비트 박자를 중심으로 트릴과 연타가 곳곳에 보이고 무엇보다 이전 스테이지와는 달리 손가락이 골고루 움직여야 하는 패턴이 많아서 비비기가 어렵다.
4스테이지는 중후반부의 더블 배틀 비스무리하게 떨어지는 패턴이 특징. 이 다음 부분이 어렵기 때문에 3스테이지에서 많이 까인 게이지를 더블 배틀 부분까지 수복해야 편하다.

스크래치에 약하거나 비비기의 의존도가 높은 유저는 각각 2, 3스테이지를 요주의. 전작의 더블 9단과는 다르게 차지/헬차지노트곡이 하나도 없다. 스크래치곡에 더블 배틀곡까지 개인차를 다소 타는 단으로, 경우에 따라서 8단보다 쉽게 느낄 수도 있다.


2.2.10. 10단[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Be OK121717
2ndNight sky121672
3rdLASER CRUSTER121721
FinalRaison d'être~交差する宿命~121836

1스테이지는 전반적인 처리력을 측정하는 패턴으로 11레벨 최상위권~12레벨 하위권의 지력 패턴을 클리어할 정도 실력이면 무난하게 넘길 수 있다. 본격적인 난관은 2스테이지 Night sky의 후살부터 시작하는데, 3스테이지 LASER CRUSTER는 혁명에 버금가는 극단적인 왼손 처리력 요구 패턴이기 때문에 2스테이지의 후살에서 체력이 많이 깎인 경우 개인차에 따라 3스테이지 내내 체력 게이지가 저공비행할 수 있다. 10단의 최고 난관 레종에서 안정적으로 체력을 채울 만한 구석이라고는 초반의 BPM 155 구간밖에 없기 때문에, 2스테이지 후살에서 얼마나 많은 체력을 남겨서 3스테이지 끝까지 유지시킬 수 있는가가 클리어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2.3. 전(伝)[편집]



2.3.1. 중전[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Holic121136
2ndValanga121807
3rdDynamite122098
FinalVerflucht121949

3스테이지를 제외하고 전부 교체되었다. Verflucht는 copula 단위인정에서 3스테이지를 담당했던 곡이였는데 본작에서는 마지막 스테이지를 담당하게 되었다. 1스테이지의 Holic은 더블 단위인정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무리 스크래치곡이라 개인차에 따라서는 뒤 곡들에 비해 체력 관리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2.3.2. 개전[편집]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Mare Nectaris121862
2ndMENDES121922
3rd天空の夜明け122261
Finalquasar121562

1스테이지를 제외하면 전작과 동일하다. 1스테이지 변경에 대한 유저들의 평으론 게이지 유지만으로는 전작까지의 헐화에 비해서 쉬워졌지만, 마레 DPA는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판정난이도가 투덱 AC 수록곡 통틀어서 최악으로 어려운 곡이기에 최상위권 유저들의 달성률작 난이도는 어마어마하게 올라갔다는 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0:35:30에 나무위키 beatmania IIDX 26 Rootage/단위인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J TROOPERS 당시 8단 마지막 스테이지는 Innocent Walls였다.[2] 다만 이곡도 11렙 상급으로 만만치는 않은 곡이라 넉넉히 채우지는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