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TD

덤프버전 :

 >
 >
· 415형 >
 403형 · 406형 · 407형 · 408형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b4b4b4; font-size: 1em;" 퇴역 차량
 ICE E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00; font-size: 1em;" 사건 사고
 에세데 사고


파일:도이치반 로고.svg Advanced Train Lab
독일철도 605형 디젤동차
DBAG Baureihe 605 DMU
파일:DBICETDAdvancedtrainLab-IMAR.jpg
독일철도 605형 고급 실험열차
열차 형식고속열차, 틸팅열차
구동 방식디젤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제작 회사파일:Siemens_AG_logo.svg
파일:알스톰 로고.svg[1]
디자인파일:N+PIDesign.jpg
도입 연도2000년 ~ 2007년
소유 기관파일:도이치반 로고.svg
운영 기관파일:도이치반 로고.svg 파일:Siemens_AG_logo.svg 파일:stadler logo.jpg
파일:DSD logo.png 파일:DLR logo.png 파일:Knorr Bremse logo.png 파일:ZF logo.png
파일:Akzonobel.gif 파일:sika.png
궤간1,435 mm 표준궤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26.675m
전고4.2m
전폭2.84m
무게54.75t
바퀴당 레일 응력15.5t
회전 길이[1]19m
차륜 배치2′Bo′+Bo′2′+2'Bo'+Bo′2′
영업 속도200 km/h
최고 속도220 km/h
신호 방식PZB90, Sifa, LZB, ZUB 262, ATC
출력2240kW(3000마력)
동력 장치Cummins QSK-19
편성 대수4량
[1] 쉽게 말해 한 차량이 곡선 철길에서 얼마나 회전을 할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써 차량길이에 [math(sin\, \theta)]를 곱해주면 된다.


1. 개요
2. 개발&운용
3. 특징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DBAG Baureihe 605[2]

ICE-TD는 독일의 디젤기관 고속열차이자 시험용 열차이다.


2. 개발&운용[편집]


ICE 1ICE 2가 성공하자 독일철도는 1994년부터 새로운 ICE의 개발을 시작한다. 그 결과의 산물이 바로 ICE T. ICE T의 개발 이후 독일철도는 ICE T의 플랫폼을 이용해 DMU 차량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지금의 ICE TD이다. 1996년 제작에 들어갔고, 20기가 생산되어 2001년부터 운전에 들어갔다. 영업 구간은 처음에는 드레스덴뮌헨을 이었고, 나중에는 뮌헨취리히에도 영업을 시작했다.

그렇게 잘 뛰는 줄 알았으나... 대차의 기술적 문제로 인하여 1년 정도 운행하다 운행 중단을 맞았다. 그러다가 2006년 독일 월드컵에 맞춰 다시 운행을 재개했고, 2007년 말에는 독일덴마크간의 서비스를 위해 베를린에서 함부르크를 거쳐 열차페리에 태워가며 코펜하겐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독일철도가 덴마크 철도회사인 DSB에 ICE TD의 임대를 제안했고 받아들여 성사된 결과물이었다.

ICE TD는 기존선에서의 ICE 서비스를 위해 도입한 열차였으나 생각보다 호응이 좋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추가 발주는 되지 않았고, 2016년 말 DSB(덴마크국영철도)에서 유지 비용 등을 문제 삼으며 13편성의 ICE TD 임대 계약의 해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독일철도 역시 유지비용 문제에 동감하여 더 이상의 중검수를 중단했고 함부르크에서 코펜하겐까지 달리는 1개의 편성을 제외하고 전부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이 최후의 1편성은 운용 말기에는 아예 ICE 도색을 벗기고 덴마크 국철 인터시티 도색[3]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이 마지막 편성은 2017년 10월에 퇴역했으며 16년만에 전량 퇴역하였다.

퇴역한 차량의 대다수는 주요부품이 취거된 후 빈 껍데기만 남은 채 하겐, 레버쿠젠 등지에서 방치되다가, 결국 현지 고철사업소에서 해체되었다.

영업운전에서는 물러났지만 한 편성이 'Advanced Trainlab'[4]으로 개조되어 운용되고 있다. 외관상 ICE 특유의 붉은 띠가 아닌 은색 띠 도색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특징[편집]


형태는 ICE T와 같으나 칸이 4량밖에 없으며(식당칸도 없다) 최고속도도 200km/h로 줄어들었다.

엔진은 750마력급 Cummins QSK19 로, 대형트럭 엔진을 갖다가 개조해 붙였다. 덕분에 아이들링 소리가 아주 선명하다.[5]

ICE T와의 구분 방법은 편성당 차량 수와 특유의 아이들링 소음도 있고, 천장 부분에 팬터그래프가 아니라 뭔가 두꺼운게 붙어있는지 보면 된다. 두꺼운 장치가 붙어있다면 ICE TD다.

2000년 1월 13일에는 222km/h 의 기록을 세웠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siemenslogo.png 지멘스의 철도 차량
[ 펼치기 · 접기 ]
🚈 EMU/DMU/PP
🚄 고속열차🚅 일반열차
ICE 1Mireo EMU
ICE 2Desiro EMU
ICE 3Desiro DMU
ICE 4Nexas EMU
ICE T영국 철도 332형
ICE TDDesiro City
Velaro E
CRH380B
Desiro Double Deck
Velaro D
Velaro Neo
영국 철도 333형
Velaro NovoCargo Sprinter
🚄 시험용 고속열차
ICE VEuroTrain
Siemens Venturio
🚃 기관차
EuroSprinter F
코레일 8200호대
NSB Di Series
EuroSprinter U
EurorunnerAsiarunner
Siemens SprinterVectron
ACS-64Siemens Charger
🚞 객차
Viaggio SeriesVenture
ICE ExM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 트램/경전철/광역전철
C651Modular Metro
Inspiro MetroTren Urbano
보스턴 광역전철 700호대런던 신 지하철
VAL Series
Combino SupraSiemens S Series
Siemens SD Series멜버른 트램 D형
ULF TramDuewag U2
굵은 글자는 계획&생산 중인 차량, 얇은 글자는 현용 차량, 전량 퇴역 차량은 취소선으로 표기.
디자인과 구동 원리가 같을 경우 파생형으로 분리하고 디자인은 같은데 구동 원리가 다를경우 따로 분리.


파일:N+PIDesign.jpg[[파일:N+P ID 로고 다크모드.jp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EMU/DMU/PP)
ICE 1ICE 2
ICE TICE TD
ICE 3 403ICE 3 406
Siemens Velaro ECRH380B
Hitachi Shinkansen 500 Series
🚄 시험용 고속열차(EMU/PP)
ICE VEuroTrain
Siemens VenturioHTS 350
🚈 전철/일반 열차(EMU/DMU)
Bombardier Talent 1뮌헨 지하철 C형
베이징 1호선 신형 전동차Linha Amarelo
Hitachi A-trainTEC EMU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상하이 자기부상열차
베이징 메트로 S1
🚇 하이퍼루프
TUM
🚋 트램
Lightrail
전철/일반 열차로 되어있는 문단의 이모지는 🚅가 아닌 🚈로 표기, 인테리어 디자인은 틀에서 제외




[1] 틸팅 기술을 위한 펜돌리노의 대차를 공급했다. ICE TD 의 대차를 보면 알스톰 마크가 찍혀있는게 보인다.[2] 독일의 열차는 전기기관차의 경우 100번대를, 디젤기관차의 경우 200번대를, 전기동차의 경우 400번대를, 디젤동차의 경우에는 600번대를 부여받는다.[3] IC4 디젤동차와 비슷한 도색이었다.[4] 한글로 직역하면 고급 실험 차량이다.[5] QSK19는 배기량 19리터 엔진이라 일반 트럭은 아니고 로드 트레인급 엔진이다. 실제로 켄워스 C510에서도 QSK19의 파생형을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2:06:05에 나무위키 ICE T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