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유럽)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




1. 개요
2. 진행 방식
3. 시드 배정
4. 조 편성
4.1. 1조
4.2. 2조
4.3. 3조
4.4. 4조
4.5. 5조
4.6. 6조
4.7. 7조
4.8. 8조
4.9. 9조
5. 플레이오프
5.1. 조 2위 순위
5.2. 플레이오프
6. 최종 본선 진출국가


1. 개요[편집]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 예선전유럽 축구 연맹 소속 50개 팀 중 49개 팀[1]의 예선전 내용을 담은 문서.


2. 진행 방식[편집]


유럽 축구 연맹 소속 팀 50개 팀 중 개최국 프랑스를 제외한 49개 팀이 총 14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예선을 치루게 되며, 49개 팀은 각 조별로 5~6개 팀 씩 총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루게 된다. 각 조의 1위 팀은 바로 본선으로 직행하게 되며, 각 조의 2위를 차지한 9개 팀 가운데 각 조 5위 팀과의 결과를 제외하고[2]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은 자동 본선 진출권을 얻는다. 나머지 여덟 팀은 플레이오프를 펼쳐 최종 승자 4팀이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3. 시드 배정[편집]


시드 배정은 1995년 11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배정되었으며, 1995년 12월 12일에 예선 조추첨이 진행되었다.


4. 조 편성[편집]




4.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8521146+817본선 진출
2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로아티아84311712+515PO 진출
3파일:그리스 국기.svg그리스8422114+714예선 탈락
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Flag_of_Bosnia_and_Herzegovina_%281992-1998%29.svg.pn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8305914-59예선 탈락
5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슬로베니아8017520-51예선 탈락
1조에서는 덴마크, 크로아티아, 그리스, 보스니아, 슬로베니아로 덴마크, 크로아티아, 그리스의 3파전 속에 덴마크가 5승 2무 1패로 1위로 12년만에 본선에 진출했고, 크로아티아는 4승 3무 1패로, 4승 2무 2패를 기록한 그리스를 승점 1점차로 제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위로 밀려난 그리스는 크로아티아와의 6차전 홈경기 0 : 1 패배가 치명타가 되어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보스니아의 경우 비록 탈락했지만 조 1위를 차지한 덴마크를 3 : 0으로 완파하는 깜짝 이변을 보여주기도 했다. 슬로베니아는 이 시기엔 철저한 승점자판기로 1무 7패를 기록했다.

4.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8611152+1319본선 진출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8530111+1018PO 진출
3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83141012-210예선 탈락
4파일:조지아 국기(1990-2004).svg조지아831479-210예선 탈락
5파일:몰도바 국기.svg몰도바8008221-190예선 탈락
2조는 해당대회 예선 죽음의 조로 잉글랜드, 이탈리아, 폴란드, 조지아, 몰도바가 한 조였는데 7~80년대 강호인 폴란드의 부진으로 인해 잉글랜드와 이탈리아의 2파전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2연전에서 1승 1무로 B조 1위를 차지하는가 싶었으나 조지아 원정에서의 충격적인 무재배로 인해 잉글랜드에게 조 1위를 내주고 2위로 밀려났다.

4.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8620212+1920본선 진출
2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8332108+212PO 진출
3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83231112-111예선 탈락
4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83141112-110예선 탈락
5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아제르바이잔8107322-193예선 탈락
3조는 노르웨이, 헝가리, 핀란드, 스위스, 아제르바이잔조로 승점 20점이나 쓸어담은 노르웨이의 독주 속에 헝가리 > 핀란드 > 스위스 > 헝가리의 물고 물리는 접전 속에 헝가리가 12점, 핀란드가 11점, 스위스가 10점으로 헝가리가 간신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스위스는 1승 7패의 아제르바이잔의 1승 제물이 되는 졸전을 보였고, 핀란드는 헝가리에 승점이 1점 모자라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4.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10811174+1325본선 진출
2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10721153+1223본선 진출
3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10703169+721예선 탈락
4파일:라트비아 국기.svg라트비아103161014-410예선 탈락
5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에스토니아10118416-124예선 탈락
6파일:벨라루스 국기.svg벨라루스10118521-164예선 탈락
4조는 스웨덴, 오스트리아, 스코틀랜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벨라루스와 한 조가 되었는데 이 조 톱 시드이자 지난대회 3위를 기록한 스웨덴이 하필 약체 오스트리아와의 2연전에서 전부 패배하면서 7승 3패로 승점 21점을 기록 25점을 기록한 오스트리아와 23점을 기록한 스코틀랜드에 밀려 탈락했다. 참고로 스코틀랜드는 승점 23점에 2위팀 중 5,6위 승점을 제외한 합산 승점 중 제일 높은 승점을 기록해 플레이오프 없이 바로 본선으로 직행했다.

4.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불가리아 국기.svg불가리아8602189+918본선 진출
2파일:러시아 국기.svg러시아8521195+1417PO 진출
3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841397+213예선 탈락
4파일:키프로스 국기.svg키프로스83141015-510예선 탈락
5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8008222-200예선 탈락
5조는 불가리아, 러시아, 이스라엘, 키프로스, 룩셈부르크 조로 불가리아가 이스라엘과의 첫 경기에 패하면서 스웨덴 처럼 월드컵 4강의 저주에 걸리는가 싶었으나, 이 후 6연승을 기록하면서 일찌감치 본선행을 확정지었다. 러시아는 이스라엘과 서로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막판 2연승으로 이스라엘을 제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4.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10820266+2026본선 진출
2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10721297+2223PO 진출
3파일:체코 국기.svg체코10514166+1016예선 탈락
4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슬로바키아105141814+416예선 탈락
5파일:페로 제도 기.svg페로 제도102081031-216예선 탈락
6파일:몰타 국기.svg몰타100010237-350예선 탈락
6조는 강호 스페인과 UEFA 유로 1996 준우승팀인 체코, 그리고 당시 동유럽의 강자 유고슬라비아까지 포함된 죽음의 조였다. 나머지 세팀은 슬로바키아, 몰타, 페로 제도. 그러나 체코는 유로96에서 보여준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유고와의 2연전에서 전패했고, 스페인에게도 1무 1패로 밀릴 뿐더러 같은 조의 슬로바키아에게도 패하면서 4패를 기록해 일찌감치 본선 경쟁력에서 떨어졌다. 스페인이 8승 2무의 압도적인 모습으로 1위를 기록했고 2위 유고는 승점 23점으로 4조의 스코틀랜드와 승점이 같았으나 5,6위 승점을 제외한 합산 승점에서 밀리는 바람에 플레이오프로 밀려났다.

4.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8611264+2219본선 진출
2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86022011+918PO 진출
3파일:튀르키예 국기.svg터키[* 현 튀르키예]8422219+1214예선 탈락
4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82152021-17예선 탈락
5파일:산마리노 국기.svg산마리노8008042-420예선 탈락
7조는 네덜란드, 벨기에, 터키, 웨일스, 산마리노로 네덜란드가 승점 1점차로 벨기에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네덜란드는 2위 벨기에와의 2연전을 전부 승리를 거두었으나, 벨기에가 네덜란드전을 제외하고 나머지 경기를 전부 싹쓸이 한 것에 비해 네덜란드는 의외로 터키에 1무 1패의 열세를 보이며 하마터면 죽쒀서 개 줄뻔 했다. 터키는 1위 네덜란드에 고춧가루를 뿌렸으나 2위 벨기에 2연전을 전부 말아먹으면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운명의 장난인지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본선에 진출한 이후에도 같은 조로 배정된다.

4.8. 8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10910374+3328본선 진출
2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10532228+1418PO 진출
3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리투아니아10523118+317예선 탈락
4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마케도니아[* 현 북마케도니아]104152218+413예선 탈락
5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아이슬란드102351116-59예선 탈락
6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리히텐슈타인100010352-490예선 탈락
8조는 그냥 루마니아의 독무대였다. 유럽 예선중 가장 높은 승점을 얻었는데 그럴 수 밖에 없는게 루마니아를 빼면 나머지 팀들은 아일랜드, 리투아니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아이슬란드, 리헤덴슈타인 등 약체들 뿐이였다. 루마니아는 2위 아일랜드와의 승점차이를 10점이나 벌리며 9승 1무의 29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아일랜드가 2위를 차지했지만 마케도니아에게 일격을 당하면서 하마터면 리투아니아에게 2위자리를 내줄 뻔 했다. 리투아니아는 잡을 상대는 다 잡았으나 루마니아전 싹쓸이 당했고, 아일랜드와의 전적도 밀리면서 3위에 머물렀다.

4.9. 9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독일 국기.svg독일10640239+1422본선 진출
2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10622106+420PO 진출
3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10541124+819예선 탈락
4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아르메니아10154817-98예선 탈락
5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북아일랜드10145610-47예선 탈락
6파일:알바니아 국기(1992–2002).svg알바니아10118720-134예선 탈락
9조는 6조와 마찬가지의 죽음의 조로 독일, 우크라이나, 포르투갈, 아르메니아, 북아일랜드, 알바니아와 한 조가 되었다. UEFA 유로 1996 우승팀인 독일이지만 더불어 노쇠화로 인해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다. 그래도 우크라이나와 포르투갈전을 어느정도 선방해냈고, 약체들을 상대로는 확실히 승리를 거두면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우크라이나는 독일과의 2연전에 1무 1패로 열세를 보였지만, 포르투갈과의 2연전에 1승 1패로 호각을 이루었고, 약체들은 확실히 잡으면서 독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포르투갈의 경우 독일과의 2연전은 무승부로 선방했지만, 아르메니아와 북아일랜드 등 약체들을 상대로는 무승부를 거둔 것이 치명타가 되어 3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5. 플레이오프[편집]



5.1. 조 2위 순위[편집]


스코틀랜드는 각 조 2위 9개 팀 중 승점이 가장 높아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나머지 8개 팀은 2팀씩 나눠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자 4팀이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5.2. 플레이오프[편집]


팀명결과팀명1차전2차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로아티아3-1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2-2006).svg우크라이나2-01-1
파일:러시아 국기.svg러시아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1-10-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2-3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1-11-2
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1-12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유고슬라비아1-70-5


5.2.1. 크로아티아 VS 우크라이나[편집]


크로아티아가 합산성적 3-1으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크로아티아는 본선 첫 번째 진출이다.


5.2.1.1. 1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0월 29일 (수) 18:00 (현지시각)
경기장자그레브, 스타디온 막시미르
국 가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득 점20
득점자빌리치 (11')
블라오비치(49')


5.2.1.2. 2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1월 15일 (토) 19:00 (현지시각)
경기장키이우, 올림피스키 경기장
국 가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득 점11
득점자셰브첸코 (5')복시치 (27')


5.2.2. 러시아 VS 이탈리아[편집]


이탈리아가 합산성적 2-1으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5.2.2.1. 1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0월 29일 (수) 20:30 (현지시각)
경기장모스크바, 디나모 스타디움
국 가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득 점11
득점자칸나바로 (52', OG)비에리(49')


5.2.2.2. 2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1월 15일 (토) 20:45 (현지시각)
경기장나폴리, 스타디오 산 파올로
국 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득 점10
득점자카시라기 (53')


5.2.3. 아일랜드 VS 벨기에[편집]


벨기에가 합산성적 3-2으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5.2.3.1. 1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0월 29일 (수) 19:30 (현지시각)
경기장더블린, 랜즈다운 로드
국 가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득 점11
득점자어윈 (7')닐리스(29')


5.2.3.2. 2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1월 15일 (토) 20:00 (현지시각)
경기장브뤼셀, 보두앵 국왕 경기장
국 가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득 점21
득점자올리베이라 (25')
닐리스 (70')
호턴 (58')


5.2.4. 헝가리 VS 유고슬라비아[편집]


유고슬라비아가 합산성적 12-1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5.2.4.1. 1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0월 29일 (수) 20:00 (현지시각)
경기장부다페스트, 슈터디온 얼베르트 플로리안
국 가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득 점17
득점자일러스 (88')주키치(6')
사비체비치(10')
미야토비치(26', 41', 51')
밀로세비치(63')


5.2.4.2. 2차전[편집]

경기일자1997년 11월 15일 (토) 17:00 (현지시각)
경기장베오그라드, 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
국 가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득 점50
득점자밀로세비치 (18')
미야토비치 (44', 45'(PK), 71', 88')


6. 최종 본선 진출국가[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예선전적성적/골득실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자동진출[3]없음없음10회19863위
[FRA]
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최종예선
1조 1위
5승 2무 1패승점 17 / +82회198616강
[DE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최종예선
2조 1위
6승 1무 1패승점 19 / +1310회1990우승
[EN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최종예선
3조 1위
6승 2무승점 20 / +193회1994조별리그
[NO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최종예선
4조 1위
8승 1무 1패승점 25 / +137회19903위
[AUT]
파일:불가리아 국기.svg불가리아최종예선
5조 1위
6승 2패승점 18 / +97회19944위
[BUL]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최종예선
6조 1위
8승 2무승점 26 / +2010회19948강
[ESP]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최종예선
7조 1위
6승 1무 1패승점 19 / +227회1994준우승
[NED]
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최종예선
8조 1위
9승 1무승점 28 / +337회19948강
[ROM]
파일:독일 국기.svg독일최종예선
9조 1위
6승 4무승점 22 / +1414회1994우승
[GE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최종예선
4조 2위
7승 2무 1패승점 23 / +128회1990조별리그
[SCO]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로아티아최종예선
1조 2위
4승 3무 1패승점 15 / +5첫 출전없음없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최종예선
2조 2위
5승 3무승점 18 / +1013회1994우승
[ITA]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유고슬라비아최종예선
6조 2위
7승 2무 1패승점 23 / +228회19904위
[YUG]
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최종예선
7조 2위
6승 2패승점 18 / +910회19944위
[BEL]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55:47에 나무위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유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최국 프랑스는 본선 자동진출로 예선전 면제[2] 한 조에 6개 팀이 있는 경우 5, 6위 팀의 결과를 제외[3] 개최국 자동진출[FRA] 1958, 1986[DEN] 1986[ENG] 1966[NOR] 1938, 1994[AUT] 1954[BUL] 1994[ESP] 1934, 1986, 1994[NED] 1974, 1978[ROM] 1994[GER] 1954, 1974, 1990[SCO] 1954, 1958, 1974, 1978, 1982, 1986, 1990[ITA] 1934, 1938, 1982[YUG] 1930, 1962[BEL]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