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병부대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포병부대 목록
4. 해외의 포병부대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포병부대는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2. 상세[편집]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로, 지상군에 대한 화력지원이 주임무이다.

육군, 해군, 해병대에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으며, 소속된 부대나 그 규모에 따라 역할이나 명칭, 편성도 제각각이다.

공군에는 방공포병부대가 있다.


3. 포병부대 목록[편집]



3.1. 국방부 직할부대[편집]


현재 국방부 직할부대에 속하는 포병부대는 없다.

3.2. 대한민국 육군[편집]


2022. 7월 기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2014년 육군의 유도탄사령부를 확대 개편하여 창설된 부대이다. 사령관은 중장이며, 규모로는 사단보다는 작으나 사령관의 계급을 고려하면 군단급 기능사령부로 볼수 있다.
  • 육군포병학교: 학교장은 소장이다. 예하에 교육여단(여단장 준장) 및 수개의 교육단(단장 대령)이 있으며 사단급으로 볼수 있다.
  • 군단 포병여단: 군단 예하 포병여단으로 편성되어 군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여단장은 준장이나, 장성 T/O에 따라 고참 대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 사단 포병여단: 사단 예하 포병여단으로 편성되어 사단 예하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여단장은 연대장때와 동일하게 대령이다.
  • 포병여단 포병단: 군단 포병여단 예하 포병단으로 편성되어 군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단장은 대령이다.
  • 포병대대: 사단 혹은 군단 포병여단 및 포병단 예하 포병대대로 편성되어 군단 및 사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떠올려지는 포병부대이다. 대대장은 중령이나, 지역방위사단 및 군단 포병여단 예하 동원포병단(8, 9, 11 등)의 경우 소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크게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 대포병레이더 부대로 나뉜다.
  • 보병여단 포병: 국방개혁 2.0에 의해 각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될 때 그 예하 전투지원중대들 역시 K105A1 자주포와 함께 포병대[1]로 격상되어 보다 신속한 화력지원이 가능해졌다. 대장은 규모에 따라 소~중령이다. 동원사단 보병여단의 포병대의 대장은 대위다. 참고로 사격대라는 편제도 있는데, 로켓/미사일 계열의 편제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전투지원중대가 개편되었다기보단 해체 후에 새로운 부대가 창설되었다고 보는 게 맞는다. 왜냐하면 포병대는 포병대대와 편제가 비슷하게 때문이다.
  • 포대: 보병으로치면 중대이다. 참고로 해병대는 중대라는 용어를 쓰며, '포0중대' 라고 칭한다. 포병대대 예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포병대/사격대의 예하인 경우도 있다. 과거에 330관측포대(수도포병여단), 338관측포대(8군단 12포병단) 처럼 독립포대이면서 소령 포대장인 부대도 있었는데, 현재는 해체된 상태이다. 자주포 부대는 정식명칭이 곡사포대, 다련장 부대는 사격포대, 대포병레이더 부대는 표적획득포대(과거엔 관측포대)라고 부른다.
  • 본부포대: 보병의 본부중대와 같다. 대대급에서는 통상 중위이나 일부부대는 대위가 편제로 되어있기도 하다. 사단 포병여단이나 단 본부포대장은 대위이다. 군단 포병여단부터는 사단과 동일하게 본부근무대장이라는 명칭을 쓰며, 소령이 편제다.
  • 전포대: 포대 예하 부대이며, 보병으로 치면 소대급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보병과 다르게 전포대는 포대에 1개만 편제되어 있으며, 전포대장의 위상은 소대장보다는 부중대장에 가까우며, 관측장교들이 비공식적으로 소대장 역할을 한다. 다만 관즉장교가 없는 부대인 경우엔 부중대장 겸 소대장 역할을 한다. 직접적으로 대포를 운용하는 제대이며, 주로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 계열에 있는 편제이며, 특히 다련장 부대는 전포대 예하에 소대를 둔다.
  • 사격소대: 다련장 부대의 전포대 예하 부대이며 보병의 분대급 규모임. 통상 포병 소위들이 자주포 부대로 가면 관측장교로 시작하는 반면에, 다련장 부대로 오면 소대장으로 시작한다. K-9도 소대구분하여 운용하기도 하지만, 전술적 측면의 운용이지 실 편제는 아니기에 장교 소대장이 없으며, 선임 포반장이 그 역할을 할 뿐이다. 대포병레이더의 경우엔 전포대가 없으며 지휘체계가 포대-레이더소대-레이더반이다.
  • 포반: 전포대에 6개 반(소대당 3개 반)이 있다. 전포대가 포대에 1개이므로, 6개 포반이 곧 포대의 전투력이다. 대포를 직접 조작하는 최하위 제대이다. 일반 포병부대의 경우 지휘관계가 포대-전포대-포반으로 이어지며 반면에 다련장 부대의 경우에는 포대-전포대-소대-사격반으로 이뤄진다. 대포병레이더의 경우엔 레이더반이다.

3.2.1. 포병여단[편집]







3.2.2. 포병여단(연대급)[편집]







3.2.3. 포병단(연대급)[편집]







3.2.4. 포병대대[편집]



미사일 운용 부대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말것(대외비)

  • 제10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11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6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17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백곰"
  • 제18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2]



























































  • 제2000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청풍" : M270 MLRS[3]

  • 제5000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철풍" : M270 MLRS[4]



3.2.5. 포병대[편집]



국방개혁 2.0에 의해 2020년 12월부로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들의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되었고, 이에 여단본부(구 연대본부) 예하 전투지원중대들이 포병대로 각각 증편되었다.[5] 아래 부대들은 K105A1 자주포를 운용한다.







3.2.6. 사격대[편집]


포병대와 동일하게 지휘관은 소령이다.[6] 군단 예하 포병여단의 M270 MLRS와 사단 예하 포병여단의 K-239 천무 편제에 쓰인다.

  • 2000포병대대 1사격대
  • 2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1사격대
  • 5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3사격대


3.3. 대한민국 해군[편집]




3.3.1. 대한민국 해병대[편집]




3.4. 대한민국 공군[편집]




4. 해외의 포병부대[편집]




5. 여담[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4:55에 나무위키 포병부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대와 대대 사이의 편제로, 유사시 대대로 증편 가능하다고 한다.[2] 10~18포병대대까지는 육군최초창설 포병대대이다. [3] 소속은 1군단이지만, 1군단(2사격대)과 수도군단(1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4] 소속은 5군단이지만, 5군단(1사격대, 2사격대), 2군단(3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5] 엄밀히 따지면 전투지원중대가 변했다기 보단, 기존 견인포 대대를 해체하면서 재편하면서 전투지원중대를 대체한것이다.[6] 가끔 중령(진)이 사격대장으로 오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