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제6여단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흑룡)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흑룡부대 문서
흑룡부대번 문단을
흑룡부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주]

해병대 제6여단
海兵隊 第6旅團
6th Marine Brigade
파일:ROKMC_6bde.jpg
서북도서 절대사수
창설일
1974년 3월 11일
상징명칭
흑룡부대
소속
파일:대한민국 해병대기.svg 대한민국 해병대
상급부대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서북도서방위사령부
규모
여단
역할
해안경계 및 상륙기습
여단장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준장.svg 준장 변요환 (해사 49기)
부여단장
파일:대령 계급장.svg 대령 박희보 (해사 52기)
위치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1. 개요
2. 특징
2.1. 역사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6방공대대
3.3. 제6군수지원대대
3.4. 제6해병포병대대 (불사조대대)
3.5. 제61해병대대
3.6. 제62해병대대
3.7. 제63해병대대
3.8. 제65해병대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여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병대 해병대사령부 예하 제6해병여단. 별칭은 흑룡부대. 서해 최전방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 위치하고 있다.


2. 특징[편집]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의 2개 독립여단 가운데 하나로 1955년 2월 1일 창설되었다. 별칭은 흑룡(黑龍)부대. 서해 최전방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를 경비 및 방위한다.[1]

1955년 2월 1일부터 도서경비부대로서 활동을 개시하여, 1974년 도서방어부대로 확장되었다가, 1977년 1월 1일 단대호를 가진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1. 역사[편집]



2017년 서북도서방위사령부주관 도서종합방어 훈련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 직할대[편집]


  • 제6본부대
  • 제6수색중대
  • 제6공병중대(버팔로)
  • 제6의무중대[2]
  • 제6정보통신대
  • 제6군사경찰대
  • 제6화생방지원대
  • 제6정보중대(맘모스)


3.2. 제6방공대대[편집]


  • 본부중대
  • 제1방공중대
  • 제2방공중대


3.3. 제6군수지원대대[편집]




3.4. 제6해병포병대대 (불사조대대)[편집]


  • 본부중대 (외로운독조중대)
  • 관측중대 (독조중대 - 지주소대, 시사소대)
  • 포1중대 (불개미중대)
  • 포2중대 (불곰브라보중대)
  • 포3중대 (백골중대)
  • 포5중대 (개머리중대)
  • 다련장중대 (유일무이천무중대)
  • 유도탄소대(일발필중 솔개)


3.5. 제61해병대대[편집]


  • 본부중대(백상어)
  • 1중대(백곰)
  • 2중대(전갈)
  • 3중대(흑표범)
  • 화기중대(킹콩)




3.6. 제62해병대대[편집]


  • 본부중대(돌고래)
  • 5중대 (악어)
  • 6중대 (불사조)
  • 7중대 {독수리(악마)}
  • 화기중대 (전갈)

소초 위치는 적지 맙시다.

3.7. 제63해병대대[편집]


  • 본부중대
  • 9중대(구룡)
  • 10중대(오뚝이)
  • 11중대(십자성) 해체
  • 화기중대(불곰)
  • 전차중대

2008년 KBS 1박2일 백령도편에서 강호동과 씨름대결을 펼쳤었다. 처음엔 구룡중대와 범고래중대와 축구 시합 중 후반전에 1박 2일 팀이 들어가게 되었고 당시 스코어는 2:2였다 근데 당시 골키퍼로 들어간 강호동이 2점을 허락하여 범고래중대에 졌고 이로 인해 구룡중대에 간식을 못 따내자 계급이 소령인 장교에게 씨름대결을하여 이기면 구룡대대에 간식을 주는 것으로 대결을 하게 된것이다
2018년 상반기에 전차중대가 63대대 소속으로 편입되었다. 배우 현빈이 63대대 였다가 일병 달고 곧바로 해병대 사령부에서 편하게 전역했고 이정구(군인) 상사도 근무한바 있다.

고속단정을 운영하는 전투주정소대를 63대대에서 파입해 관리한다.

제2해병사단의 상륙장갑차대대의 0개 소대가 0개월 주기로 백령도에 파견해 와 63대대의 지휘를 받는다. 상륙장갑차소대의 백령도 전진배치는 명색상이 아니라 실제로 6여단의 임무가 도서방어뿐만 아니라 상륙작전 또한 포함한다고 의미하는 것이다.

해안근무 및 방어에 특화된 61,62대대와 다르게 예비대대로서 백령도에서 유일하게 상륙기습에 특화되어 있는 대대이다. 1사단의 특화대대들과 똑같이 기습대대로 지정되어 운영되는 대대이며, 백령도 해안방어를 하는 61대대와 62대대와는 달리 후방예비대로서의 성격이 강해 상륙기습특공 훈련 외에도 유격장관리와 유격훈련도 받는다.[* 사실 61대대와 62대대도 기습특공훈련과 유격훈련을 받긴 하지만 연간 1회 뿐이다. 거기에 중대별로 돌아가며 몇개월씩 해안 방어에 들어간 경우 해당 중대는 훈련 자체를 열외할수 있었다. 그에 비해 63대대의 경우 90년대 기수는 기습특공 연 7회, 유격 연 1회씩 받았는데 포항 훈련소에 교관들이 63대대 떨어지면 힘들다고 훈련병들에게 언급하며 겁을 주기도 했었다.


3.8. 제65해병대대[편집]


  • 본부중대
  • 화기중대
  • 13중대(도깨비)
  • 15중대(사탄)
  • 16중대(악마)
  • 17중대(피바다) 소청도

대청도소청도를 방어한다.
소청도와 같은 작은 섬은 지하수가 나오지 않아 소규모 해수담수화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청도는 옥죽동해안사구를 비롯해 북서풍 바람맞이 사면이 위치하여 해안 사구와 사빈이 매우 발달하였다.
즉 겨울철에 모래바람이 매우 많이 분다.


4. 과거부대[편집]


  • 전투지원중대 : 65대대 창설되며 65대대 화기중대로 바뀐다.


5. 출신인물[편집]




5.1. 여단장[편집]


볼드체해병대사령관을 역임한 여단장.
볼드체에 + 표시가 된 사단장은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보다시피 해병대 사령관으로 가기위한 필수코스중 하나이다.
역대 해병대 제6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예) 준장

여단장

00대
김명환
예) 중장
해사 22기
해병대사령관

00대
김명균
예) 중장
해사 27기
해병대사령관

00대
이호연
예) 중장
해사 34기
해병대사령관

00대
이영주
예) 중장
해사 35기
해병대사령관

00대
이상훈
예) 중장
해사 36기
해병대사령관

00대
견병하
예) 준장
해사 38기
해병대부사령관

00대
최창룡
예) 소장
해사 39기
해병대 제1사단장

00대
조동택
예) 준장
2사 7기
해병대 부사령관

00대
조강래
예) 소장
해사 41기
해병대 제2사단장

00대
김태성
예) 중장
해사 42기
해병대사령관

00대
정수용
소장
해사 43기
해병대 제2사단장

00대
윤목영
준장
해사 43기
합동참모의장 비서실장

00대
임성근
소장
해사 45기
해병대 제1사단장

00대
주일석
소장
해사 46기
해병대 부사령관

00대
구자송
준장
해사 47기
여단장

00대
이호종
준장
해사 48기
해병대사령부 참모장

00대
변요환
준장
해사 49기
여단장


5.2. 장교/부사관[편집]




5.3. 병[편집]


제63해병대대 출신이다.
* 박성일(킹반인)
제 63해병대대 화기중대(불곰) 출신으로 킹반인이다.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해병대 내, 아니 전 군대 내에서도 손에 꼽히는 오지에 위치한 격오지로, 그만큼 최악의 근무환경을 자랑한다. 선박이 뜨지 않아 휴가가 미뤄지는것은 물론 전역이 미뤄지는 경험도 할 수 있다. GOP를 뛰어넘는 최전방인만큼 전쟁터지면 사실상 1순위로 죽는 불쌍한 곳. 훈련단 시절에 6여단 배치가 나온다면 주위 동기들의 안타까워하는 눈빛이 반긴다. 반대쪽 울릉도는 그나마 평화롭기라도 하다.

그나마 육지에 비해서 나은 점을 찾아보자면 백령도 자체 지형이 낮은지라 가장 높은 산이 200미터가 채 되지 않으며, 섬이라 행군할곳이 없다는 점, 1년에 1~2번 하는 행군은 무박 2일로 아침에 출발해서 다음날 새벽에 복귀할수 있는 백령도를 전체를 섬 주변으로 한바퀴 도는 60km 행군이 전부이다.

봄, 겨울, 가뭄질 때 급수 문제가 매우 심각하며 1주일 내내 급수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선 1인 1병씩 500ml 생수가 매일 보급된다.

대한민국 본토에서 직선으로 약 180km 떨어져 있지만 NLL주변 해역 항해 금지로 항로는 남쪽으로 우회하여 약 220km의 운항거리를 자랑한다. 배를 탈 때 행선지와 해류의 방향, 파고에 따라 운항시간이 천차만별이다. 보통 5시간~5시간30분이 걸리며 높은 파고 예보가 없더라도 먼바다에 나갔을 시 너울성 파도로 인해 극심한 배멀미를 유발할 수 있으니 건강한 대원들도 멀미약을 챙겨먹을수 있도록 하자. 인천 연안부두는 화장실 옆 약국에서, 백령도 용기포신항은 매점에서 멀미약을 구입할 수 있다.

상기된대로 본토와의 엄청난 이격거리로 인해 해저 케이블 설치에 애로사항이 있어 섬 내의 모든 통신은 무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인터넷과 TV 모두 무선으로 데이터를 받아 섬 내로 뿌리고 육지로 송신하고 하고있다. 즉, 이 말은 풍랑특보, 황천예보, 등 기상특보가 설정될 시 섬 내의 육지로 향한 통신은 대부분 먹통이 된다. 비가 많이내리는 장마철엔 생활반 내 TV 시청 또한 불가능 하며 사지방, 영외 PC방 등지에서의 인터넷 이용 또한 불가능하다.

가끔 백령도는 맑으나 백령도와 인천사이의 서해중부먼바다에만 바람이 불 때가 있는데 이 때에도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하다.

출생률 감소로 징병 대상자 인구 감소에 따른 전군 인력난 문제 또한 해병대와 여단도 피해갈 수 없었는데, 해병대 입영자원 감소로 인해 전방 소총중대들의 해안소초 인력난이 매우 극심하다. 근무투입인력의 부족으로 해안소초투입시 하루 3번이상 근무를 서야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여단이 주둔하고 있는 백령도는 서해 꽃게어업의 전진기지로써 봄 가을 꽃게철에 지역 주민들이 잡은 꽃게들을 여단에서 일괄 매입해 하루걸러 격일로 꽃게탕이 나올 때가 있다. 다만 크기가 크고 살이 꽉 찬 꽃게들은 모두 육지로 나가고 상품가치가 없는 성인 손바닥보다 작은 꽃게들만 매입을 하는것 같다. 하지만 중대원 모두가 국자 꽉차게 꽃게를 가져다 먹어도 남을만큼 많다.

백령도는 통칭 '서해의 불침 항공모함'으로써 섬 전역이 요새화 되어있다. 백령도에서 땅 위로 솟아있는 지형이란 지형은 모두 산자락엔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전시 외부 지원 없이 1년간 섬에서 버틸 수 있는 자산들이 구비되어있다. 여단 본부 쌀 창고에 1년간 전체를 먹일 쌀이 구비되어 있으며 백령도의 주 산업이 농업인 관계로 매년 햅쌀을 수확하면 창고의 오래된 쌀부터 각 예하대대로 보내고 새로운 쌀을 보관한다.

백령도는 기반암이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바다건너 북한 황해도의 장산곶의 지질과 상통한다. 대한민국 본토 내에서 사암이 기반암인 곳은 거의 없다고 무방하다.(대부분 화강암 기반이다.) 따라서 처음 백령도에 입도한 전입신병이나 휴가를 길게 다녀온 대원들은 백령도에 입도하였을때 육지의 물과 달라 물갈이를 할 수 있다.

백령도에는 햄버거가게가 두 곳이 있는데 하나는 진촌리에 있는 롯데리아, 또 한곳은 썸버거이다. 외박이나 외출나오면 썸버거는 한번쯤 가보는게 좋다. 부대에서는 주에 2번씩 햄버거나 핫도그가 나온다. 한편 군인들의 PX용 간식거리는 해군 LST 편으로 몇달에 한번씩 들어온다. 이러한 관계로 군장병에게 지급되던 우유는 유통기한이 긴 팩으로된 멸균우유만 지급된다.


6.2. 여단가[편집]


정훈실 작사 / 이윤환 작곡
1절
찬란한 전통 위에 신화를 남긴
해병혼 이어 받은 무적의 흑룡
역사와 전통 위해 이 젊음 다 바쳐
필승을 다짐하는 영원한 해병
너와 나 오직 한길 승리 뿐이다
나가자 필승해병 흑룡6여단
2절
팔각모 얼룩무늬 불사신 되어
반만년 역사 지킨 충성의 해병
겨레와 나라 위해 이 목숨 다 바쳐
기필코 사수하리 자유와 평화
너와 나 오직 한길 승리 뿐이다
나가자 필승해병 흑룡6여단

7. 사건사고[편집]




  • 해당 여단에 복무 중인 어느 한 부사관이 휘하 병력 뿐만 아니라 군무원, 민간 용역에게 폭언, 폭력을 행사한 건[3]




8. 여담[편집]


  • ‘해병대 소대장의 하루'의 배경이 6여단이다. 2:55초 부터가 포인트이다.

  • 2016년 1월 22일 적의 기습 도발에 대비해 실시한 해병대의 새해 첫 합동 훈련이 언론에 소개되었다.

  • 과거 1박 2일에서 강호동이 해병대원 6명을 상대로 차례로 씨름한 편이 바로 이 6여단에서 촬영한 것이다. 좀 더 정확히는 6여단 예하 63해병대대에서 촬영한 것이다.
  • 전역시 전역자를 흑룡병장이라고 부른다.
  • 파고, 해풍, 태풍, 기상이변등으로 배가 뜨지 않아서 전역이 늦어질수 있는 상황들이 있다.
주로 12~2월 사이에 발생하며 복학시키와 맞물려 실제기간 보다 체감한 인원들이 많은편 실무자들도 이를 알아 전역이 얼마남지 않는 인원들은 도서파견대로 미리 보내서 전역시키기도 한다.
반대로 배가 안떠서 1기수 후임들이랑 같이 실무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다.
  • 브레이브걸스가 2017년 9월 29일 위문열차공연을 해병대 6여단에서 하며 백령도에서 공연을 한 최초의 걸그룹이 되었다.

  • 배드키즈도 걸그룹으로 친다면 백령도에서 공연을 한 최초의 걸그룹브레이브걸스는 아니다.
  • 1999년에 K-9 자주곡사포가 최초로 배치된 곳이다.
  • 육군항공 보직을 받은 병이라면 1항공여단 예하부대인 111항공대로 백령도에 올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8 23:34:18에 나무위키 해병대 제6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0:10:42에 나무위키 해병대 제6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장산곶 북쪽의 초도, 석도까지 이 부대의 관할이었으나, 휴전과 함께 NLL이 그어지고 백령도까지 내려오게 된다.[2] 말은 중대인데 진료과목도 여러개고 각종 고가 의료장비도 좀 있는데다가 보통의 의무중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간호장교까지 있어서 사실상 보통 사단에 있는 의무대와 별반 차이가 없다.[3] 참고로 해당 기사에선 6여단이라고 나와있진 않으나 https://m.yna.co.kr/view/AKR20160614115700065 여기서 병사들에게 담배 심부름을 시키고 그나마 돈도 지불하지 않는 짓을 상습적으로 해왔단 사건이 공통적으로 묘사되는 것으로 볼 때 6여단이 확실하다. 당시에는 해병대 휘하 여단이 6여단과 9여단 뿐이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