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r1판)

편집일시 :

}}}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1]پاکستان قومی فٹ بال ٹیم‎
FIFA 코드 PAK
협회파키스탄 축구 연맹 (PFF)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홈 구장펀자브 스타디움 (Punjab Stadium, 10,000석)
별칭پاک شاہین (그린 셔츠; Pak Shaheens)
감독스티븐 콘스탄틴 (Stephen Constantine)
주장하산 바시르 (Hassan Bashir)
FIFA 랭킹197위 (2023년 9월 21일 기준/ #)
Elo 랭킹207위 (2023년 10월 19일 기준 / #)
공식 소셜 미디어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대표팀 기록 보기 ]
최다출장자자파르 칸 (Jaffar Khan) - 44경기
최다득점자무하마드 에사 (Muhammad Essa) - 11골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1:5 패)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테헤란 (1950년 10월 27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7: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1960년 8월 5일)
VS 파일:괌 기.svg (9:2 승)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타이베이 (2008년 4월 6일)
VS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7:0 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다카 (2009년 12월 8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1:9 패)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테헤란 (1969년 3월 12일)
VS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0:8 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1978년 5월 9일)
VS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png 이라크 (0:8 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암만 (1993년 5월 28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SAFF 챔피언십진출: 11회
최고 성적: 3위 1회[1]
[1] 1997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초록
초록
하의초록초록
양말




1. 개요[편집]


파키스탄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홈구장은 펀자브 스타디움이며 그린 셔츠(Green Shirt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인구가 억대인 나라들 중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나라이자 유일하게 200위권까지 떨어져본 나라다. 실제로 이 나라보다 FIFA 랭킹이 낮은 나라들 중 인구가 천만 명이 넘는 나라는 스리랑카 뿐이다. 2억이 넘는 인구에도 불구하고 크리켓하키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기종목에서 세계구급 최약체인 기이한 나라.(...)[2]

아직까지 월드컵과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한국과는 두 번 맞붙어서 모두 패했다. 1984년 아시안컵 예선 당시 0:6으로 패한 것에 이어 1990년 아시안게임 본선에서 0:7로 대패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 해외의 파키스탄계 축구선수를 국가대표로 불러들어 팀 강화를 시도한 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제쉬 레흐만, 아드난 아메드, 샤비르 칸, 암자드 이크발, 아티프 바쉬르, 레이스 아쉬라프 등이 있었으나 큰 성과를 내진 못했다.

2019년 경질된 호세 안토니오 노궤이라 감독이 임금 체불 문제로 파키스탄 축구협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내홍을 겪었다. 결국 2020년 8월 노궤이라 감독은 승소 판결을 받아냈다.# 하지만 불복하여 항소하였고 감독에게 임금 체불로 소송까지 당할 정도니 얼마나 파키스탄 축구협회가 행정적으로 무능한지 보여주는 사례.

2022년 4월 7일 FIFA의 제재로 국제대항전 출전금지를 당했다. 이 제재는 2022년 6월 29일 해제되었다.

2023년부터는 전력보강을 위해 해외 파키스탄계 선수들인 이사 술리만, 오티스 칸 등을 영입하고 있다. 이게 성과가 있었는지 2023년 9월 기준 201위에서 197위로 간신히 200위권에서 벗어났다.


1.1. 기타[편집]


2015년 3월부터 2018년 9월까지 3년째 A매치를 치르지 않은 아시아 유일의 팀이기도 했다. 2018 월드컵 1차 예선에서 예멘에게 패배하고 광탈한 뒤로 3년째 A매치가 전무했다. 1차 예선에서 탈락한 다른 아시아 팀들도 이러지는 않았다. 4년 넘게 A매치를 치르지 않으면 순위표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있는데 파키스탄이 2022 월드컵 1차예선부터 아예 불참하고 2019년 말까지 A매치를 한 번도 안 치르면 2020년에 현실이 될 수도 있었다. 다행히 11월 16일 팔레스타인과 친선경기를 치렀고, 2019년 6월 6일과 11일 캄보디아와 2022 월드컵 1차 예선을 치러 최악의 수모는 면했다. 물론 경기는 전패.(...) 이후로도 2022년까지 3년 넘게 A매치 기록이 전무하다가 2022년 11월 16일 네팔과 친선경기를 치렀다. 2023년 들어서는 적극적으로 A매치를 치르고 있지만 승리는 고사하고 1골이라도 넣는 경기가 정말 손에 꼽는다.(...)

다만 순위표에서 아예 증발할 정도로 진짜 실력이 전혀 없느냐면 그건 또 아니다. 물론 축구 못한다는 남아시아에서도 최하위권인 건 분명한 사실이나 FIFA가 주관하지 않는 23세 이하 아마추어 대회는 꾸준히 출전하여 성과를 어느 정도 내고 있기 때문이다.

파키스탄의 정세가 워낙 불안하고 전력 수급도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파키스탄 국내에서 치러진 A매치는 2015년 2월 6일 아프가니스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로는 카타르 도하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있다.

2023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에서 캄보디아를 상대로 0:0 무승부 후 하룬 하미드의 골을 잘 지켜내 1:0으로 승리하면서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예선 승리와 2차예선에 진출하였다


현재 킷스폰서는 joshilla이다.


2. 역대전적[편집]



2.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영국령 인도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합계본선진출 없음0/23[3]


2.2. AFC 아시안컵[편집]




2.3.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93
조별리그4위3021262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1995
조별리그5위2101123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997
4강3위4202346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99
조별리그6위2002060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3
4강4위5302549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005
4강4위4211217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몰디브&스리랑카 2008
조별리그8위3003290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9
조별리그5위311171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1
조별리그5위3030113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2013
조별리그5위311133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5
불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18
4강4위4202656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2021
불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3
조별리그8위3003090
합계3위(1회)12/143912819325144


3. 연령별 대표팀[편집]



3.1. U-23 대표팀[편집]



3.1.1. AFC U-23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기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예선 탈락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본선진출 없음0/6[4]


3.2. U-20 대표팀[편집]



3.2.1. AFC U-20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조별리그5위642029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조별리그14위03003112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실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조별리그7위34103215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기권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불참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기권
합계조별리그 (3회)3/39[5]9113081235


3.3. U-17 대표팀[편집]



3.3.1. AFC U-17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5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6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8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990
기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92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96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예선 탈락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00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02
조별리그10위130122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04
불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06
예선 탈락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08
예선 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1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12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1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6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2018
AFC U-17 아시안컵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2023
실격
합계조별리그 (1회)1/19[6]130122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2:07:05에 나무위키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르두어[2] 그런데 크리켓마저도 크리켓 강호들인 인도나 호주 등등 다른 국가들을 압도할 정도의 실력은 아니다. 물론 한국이나 중국이나 일본 같이 크리켓 비인기국은 압도한다. 인구 2억이 넘는 나라에서 인도네시아도 여러 구기종목은 약체급이지만 파키스탄보단 축구, 농구, 배구 등은 더 우위다.[3]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4]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5]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6]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