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덤프버전 :



3 골다니가 · 4 마냐넬리 (C) · 5 아이한 · 6 호제리우 · 7 보가 · 8 로페스 · 10 주리치치
13 펠루소 · 14 오비앙 · 16 프라테시 · 17 뮐뒤르 · 18 라스파도리 · 19 로마냐 · 20 하루이 · 21 키리케슈
22 톨리안 · 23 트라오레 · 25 베라르디 · 31 페라리 (VC) · 47 콘실리 · 56 페골로
77 키리아코풀로스 · 91 스카마카 · 92 데프렐 · 97 엔리케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Thorstvedt-Kristian.png
US 사수올로 칼초 No. 42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Kristian Thorstvedt
출생1999년 3월 13일 (25세)
노르웨이 스타방에르
국적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신체 조건189cm / 78kg
포지션미드필더[1]
주발왼발
유소년 클럽비킹 FK ( ~2012)
스타베크 포트발 (2013~2017)
소속 클럽비킹 FK (2018~2019)
KRC 헹크 (2020~2022)
US 사수올로 칼초 (2022~ )
국가대표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5경기 4골[2] (노르웨이 / 2020~ )

1. 개요
2. 클럽 경력
4. 플레이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노르웨이의 축구선수. 현재 US 사수올로 칼초 소속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자국 리그 시절[편집]


비킹 FK를 거쳐 스타베크 포트발의 유스팀에서 4년간 성장해왔다. 그리고 2018년 2월 1일, 그는 유스 시절 몸 담았던 비킹과 1년 반 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데뷔시즌부터 발군의 활약을 선보이며 2부리그 올해의 유망주상을 수상했다.


2.2. KRC 헹크[편집]


2020년 1월 3일, 헹크와 3년 반 계약을 채결하면서 벨기에 리그에 입성했다. 헹크 소속으로 2020-21 시즌 주전으로 뛰며 리그에서 34경기 출전, 9골 3도움을 올렸으며, 벨기에 컵 결승에서 스탕다르 리에주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2021년 5월 20일, 로얄 앤트워프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작렬하며 4:0 대승에 기여했다.


2.3. US 사수올로 칼초[편집]


2022년 7월 12일, US 사수올로 칼초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7년까지이며 이적료는 €10M.


3. 국가대표 경력[편집]


각 급의 연령대 대표팀을 거쳤고 U-21 대표팀에서는 핵심 선수로 활약해왔다.

그리고 2020년 11월 18일에 오스트리아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서 후반 22분에 마츠 묄러 델리 대신 교체 투입되며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고 23분간 그라운드를 밟았다. 경기 결과는 1:1 무승부.

2021년 3월부터 시작된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맹활약 중이다.


4. 플레이스타일[편집]



5. 여담[편집]


  • 자국 대표팀 소속으로 무려 97경기 출전에 빛나는 골키퍼이자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토트넘의 골문을 지킨 레전드인 에리크 토르스트베트가 그의 아버지이다.

  • 아버지의 영향 때문인지, 토트넘으로의 입단이 꿈이라고 밝혔다.



6.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2023-24 시즌 US 사수올로 칼초 스쿼드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DF마르쿠스 홀름그렌 페데르센Marcus Holmgren Pedersen[1]
5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DF마르틴 에를리치Martin Erlić
6파일:세르비아 국기.svgMF우로스 라치치Uroš Račić
7파일:브라질 국기.svgMF마테우스 엔히키Matheus Henrique
8파일:모로코 국기.svgMF압두 하루이Abdou Harroui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안드레아 피나몬티Andrea Pinamonti
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도메니코 베라르디Domenico Berardi부주장
11파일:우루과이 국기.svgFW아구스틴 알바레스Agustin Alvarez
13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잔 마르코 페라리Gian Marco Ferrari주장
14파일:적도 기니 국기.svgMF페드로 오비앙Pedro Obiang
15파일:노르웨이 국기.svgFW에밀 케이데Emil Ceïde
17파일:우루과이 국기.svgDF마티아스 비냐Matías Vinã
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필리포 로마냐Filippo Romagna
20파일:알바니아 국기.svgMF네딤 바이라미Nedim Bajrami
22파일:독일 국기.svgDF제레미 톨리안Jeremy Toljan
25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잔루카 페골로Gianluca Pegolo
27파일:프랑스 국기.svgMF막심 로페스Maxime Lopez
28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알레시오 크라뇨Alessio Cragno[2]
35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루카 리파니Luca Lipani
42파일:노르웨이 국기.svgMF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Kristian Thorstvedt
44파일:브라질 국기.svgDF후안 트레솔디Ruan Tressoldi
45파일:프랑스 국기.svgFW아르망 로리엔테Armand Lauriente
47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안드레아 콘실리Andrea Consigli
64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알레산드로 루소Alessandro Russo
92파일:프랑스 국기.svgFW그레고리 데프렐Grégoire Defrel
구단 정보
회장: 카를로 로시 / 감독: 알레시오 디오니시 / 구장: 마페이 스타디움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6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외르얀 뉠란
(Ørjan Nyland)
1990년 9월 10일 (33세)340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안드레 한센
(André Hansen)
1989년 12월 17일 (34세)11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로센보르그 BK
-스텐 그리테뷔스트
(Sten Grytebust)
1989년 10월 25일 (34세)5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올레순 FK
DF-비르예르 멜링
(Birger Meling)
1994년 12월 17일 (29세)260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스테판 스트란베르그
(Stefan Strandberg)
1990년 7월 25일 (33세)24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살레르니타나 1919
-안드레아스 한체올센
(Andreas Hanche-Olsen)
1997년 1월 17일 (27세)100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마르쿠스 홀름그렌 페데르센
(Marcus Holmgren Pedersen)
2000년 7월 16일 (23세)9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율리안 뤼에르손
(Julian Ryerson)
1997년 11월 17일 (26세)90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프레데리크 비에르칸
(Fredrik André Bjørkan)
1998년 8월 21일 (25세)7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마리위스 로데
(Marius Lode)
1993년 3월 11일 (31세)2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레오 외스티고르
(Leo Østigård)
1999년 11월 28일 (24세)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브레데 모에
(Brede Moe)
1991년 12월 15일 (32세)0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MF-모하메드 엘류누시
(Mohamed Elyounoussi)
1994년 8월 4일 (29세)419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마르틴 외데고르파일:주장 아이콘.svg
(Martin Ødegaard)
1998년 12월 17일 (25세)39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마츠 묄레르 델리
(Mats Møller Dæhli)
1995년 3월 2일 (29세)313파일:독일 국기.svg 1. FC 뉘른베르크
-산데르 베르게
(Sander Berge)
1998년 2월 14일 (26세)26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번리 FC
-마르쿠스 솔바켄
(Markus Solbakken)
2000년 7월 25일 (23세)1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비킹 FK
-마티아스 노르만
(Mathias Normann)
1996년 5월 28일 (28세)12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라에드 FC
-파트리크 베르그
(Patrick Berg)
1997년 11월 24일 (26세)90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옌스 페테르 하우게
(Jens Petter Hauge)
1999년 10월 12일 (24세)80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레드릭 아우르스네스
(Fredrik Aursnes)
1995년 12월 10일 (28세)60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데니스 욘센
(Dennis Johnsen)
1998년 2월 17일 (26세)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치아 FC
FW-조슈아 킹
(Joshua King)
1992년 1월 15일 (33세)592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23예르겐 스트란드 라르센
(Jørgen Strand Larsen)
2000년 2월 6일 (24세)81파일:스페인 국기.svg RC 셀타 데 비고
-엘링 홀란드
(Erling Haaland)
2000년 7월 21일 (23세)171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Kristian Thorstvedt)
1999년 3월 13일 (25세)13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베톤 베리샤
(Veton Berisha)
1994년 4월 13일 (30세)91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몰데 FK
일정UEFA 네이션스 리그2022년 6월 2일(목)원정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022년 6월 5일(일)원정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022년 6월 9일(목)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2022년 6월 15일(수)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6월 1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28:19에 나무위키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