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신병교육연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제23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 대한 내용은 제23보병사단/신병교육대 문서
제23보병사단/신병교육대번 문단을
제23보병사단/신병교육대# 부분을
, 과거 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제23연대 문서
제23연대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23연대# 부분을
# 부분을
, 다른 23연대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23신병교육연대
第23新兵敎育聯隊
The 23rd Recruit Training Regiment
파일:23연대로고.jpg
개교일1953년 11월 27일
별칭계백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육군훈련소
종류훈련소
규모연대
역할선진강군 및 강인한 육군 병사 육성
부대 슬로건진짜 사나이의 첫걸음 계백연대[1]
이등병부터 연대장까지 행복한 부대[2]
연대장대령 OOO (육사 OO기)
위치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진등길 47[3]

홈페이지육군훈련소 제23교육연대 홈페이지

1. 개요
2. 특징
3. 편제
3.1. 제1교육대
3.2. 제2교육대
3.3. 제3교육대
3.5. 장교/부사관
3.6. 병
4. 수료인물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육군훈련소 예하 제23신병교육연대. 별칭은 계백부대. 충청남도 논산시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2000년대 중반까지는 독수리부대라는 별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2. 특징[편집]


제25신병교육연대와 함께 보충역 신병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21년 11월 29일 입소한 훈련병들을 시작으로 현역병의 기초군사훈련도 담당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1970~1980년대 구막사를 사용하다가 2003년 경부터 2005년까지 연대 내 모든 건물을 신축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육군훈련소 인분사건을 계기로 2008년 28/29연대가 신축되기 전까지는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28/29연대가 통상적인 '신막사'로 일컬어지다보니, 훈련소 내에서는 이를 아는 이가 매우 적다(...). 그리고 2022년 9월 22일에 입소한 보충역들을 마지막으로 보충역들을 더 받지 않기로 선언하였다.


3. 편제[편집]



3.1. 제1교육대[편집]


  • 제1중대
  • 제2중대
  • 제3중대
  • 제4중대


3.2. 제2교육대[편집]


  • 제5중대
  • 제6중대
  • 제7중대
  • 제8중대


3.3. 제3교육대[편집]


  • 제9중대
  • 제10중대
  • 제11중대
  • 제12중대


3.4. 연대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역대 제23신병교육연대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고한석예) 대령학군 17기31사단 8539부대 2대대장
제35보병사단 행정부사단장
[4]
00대김귀옥예) 준장여군 31기제1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00대강대균예) 대령3사 21기제11기동사단 부사단장
00대박성팔예) 대령3사 00기제501보병여단
00대김대성대령육사 51기육군학생군사학교 연세대 신촌캠퍼스 훈육관
35보병사단 백용성대대장
국제평화지원단
[5]
00대김부배대령학사 31기연대장
제102보병여단 맹호대대장
00대OOO대령육사 OO기연대장

3.5. 장교/부사관[편집]


  • 박인주 - 현 육군 중령. 전 육군보병학교 전투지휘학과 전술학교 교관. 연대정작과장 역임.
  • 이상의 - 5중대 교관역임.


3.6. 병[편집]




4. 수료인물[편집]


  • 한승엽(게임 해설가)
  • 이지훈(프로게이머) - 1중대 3소대
  • 김호중
  • 이영호 - 3중대 2소대
  • 백현 - 3중대 3소대
  • 조용근 - 3중대 2소대
  • 지누 - 2중대 2소대
  • 신해조
  • 최수빈 - 5중대 4소대[6]
  • 크러쉬 - 10중대 3소대
  • 자이로 - 2중대 2소대
  • 이나우 - 2중대 2소대
  • 손동운 - 2중대 1소대
  • 김우진(배구선수) - 12중대 1소대[7]
  • 김정윤(배구선수) - 12중대 1소대
  • 조병현 - 1중대 3소대
  • 하승진
  • 송경호 - 11중대 1소대
  • 김민재 - 8중대 2소대

5. 여담[편집]


  • 제23신병교육연대는 왼쪽 가슴에 올리브/국방색 비표를 달고있다가, 22-2기부터 분홍색 비표로 변경되었다

  • 제25신병교육연대와 함께 육군훈련소에서 교육용 개인화기로 M16A1을 마지막까지 사용했던 기관이었다. 2018년 11월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전량 K2로 교체되었다.

  • 통신보안 어플의 부대평가에 따르면 논산훈련소 연대 중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202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평가가 좋아졌는데, 자율시범기수 시행으로 인해 훈련과 체력단련이 대폭 줄어든 결과이다. px, bhc 등 사회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을 훈련소에서도 체험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1:24에 나무위키 제23신병교육연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대 입구에 걸려있는 슬로건.[2] 전임 연대장 김대성 대령 시기 제정된 슬로건이다.[3] 단, 훈련병에게 손편지나 소포를 보낼 때는 "(우편번호 33011) 충남 논산시 연무읍 득안대로 504 사서함 76-8호 23연대 0교육대 00중대 0소대 0분대 000번 훈련병 000"으로 적어야 한다.[4] 전역 후 귀농해 전북도청 홍보팀과 인터뷰를 가지기도 했다.#[5] 출처[6] 소대장 훈련병[7] 소대장 훈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