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전라북도



1. 개요
2. 국회의원 목록
3. 역대 민선 전라북도지사
4. 최근 선거 결과
4.1. 대선
4.1.1. 이전 대선과의 비교
4.2. 총선
4.2.1. 이전 총선과의 비교
4.3. 지선
5. 설명
6. 역대 전라북도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전라북도의 정치에 대해 설명한 문서.

2. 국회의원 목록[편집]





3. 역대 민선 전라북도지사[편집]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전라북도지사
19601995199820022006
민주당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김상술유종근강현욱김완주
2010201420182022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김완주송하진김관영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전북특별자치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60년1위:
김상술 41.20%

2위:
[[신민당(1960년)|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
임춘성 40.10%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유종근 67.15%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강현욱 32.84%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유종근 100%
[주의]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현욱 74.56%

2위:
[[무소속|
무소속
]]
손주항 17.12%
2006년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완주 48.08%

2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정균환 36.53%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완주 68.67%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운천 18.20%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송하진 69.23%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철곤 20.45%
3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광석 10.31%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하진 70.57%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임정엽 19.11%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관영 82.11%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배숙 17.88%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광역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4. 최근 선거 결과[편집]



4.1. 대선[편집]


전라북도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16,863
(82.98%)
176,809
(14.42%)
19,451
(1.58%)
+ 840,054
(△68.55)
1,235,212
(80.56%)
전주시364,538
(82.09%)
67,883
(15.28%)
7,913
(1.78%)
+ 296,655
(△66.81)
81.22%
군산시144,395
(81.97%)
27,400
(15.55%)
2,613
(1.48%)
+ 116,995
(△66.42)
78.76%
익산시154,719
(82.39%)
28,076
(14.95%)
3,074
(1.63%)
+ 126,643
(△67.44)
79.09%
정읍시63,487
(85.28%)
9,085
(12.20%)
1,040
(1.39%)
+ 54,402
(△73.08)
80.23%
남원시47,470
(84.67%)
7,163
(12.77%)
731
(1.30%)
+ 40,207
(△71.90)
81.67%
김제시48,952
(85.12%)
7,164
(12.45%)
750
(1.30%)
+ 41.788
(△72.67)
80.27%
완주군52,862
(83.89%)
8,443
(13.39%)
1,063
(1.68%)
+ 44,419
(△70.50)
81.26%
진안군15,637
(83.70%)
2,572
(13.76%)
264
(1.41%)
+ 13,065
(△69.94)
83.54%
무주군13,292
(76.97%)
3,426
(19.84%)
313
(1.81%)

+ 9,866
(△57.13)
82.04%
장수군13,564
(84.36%)
2,063
(12.83%)
222
(1.38%)
+ 11,501
(△71.53)
83.78%
임실군16,930
(85.16%)
2,416
(12.15%)
253
(1.27%)
+ 14,514
(△73.01)
82.92%
순창군16,980
(86.24%)
2,212
(11.23%)
230
(1.16%)
+ 14,778
(△75.02)
83.36%
고창군33,000
(86.09%)
4,335
(11.30%)
518
(1.35%)
+ 28,665
(△74.78)
81.22%
부안군31,037
(84.97%)
4,572
(12.51%)
467
(1.27%)
+ 26,465
(△72.46)
80.64%

전라북도 이재명 득표율
상위 10개 읍·면·동하위 10개 읍·면·동
순위시·군·구읍·면·동득표율순위시·군·구읍·면·동득표율
1위순창군유등면90.94%1위무주군무풍면71.83%
2위고창군신림면90.91%2위전주시 덕진구금암1동73.99%
3위고창군상하면90.20%3위완주군운주면74.34%
4위고창군대산면90.02%4위익산시망성면75.08%
5위고창군공음면89.34%5위진안군주천면75.60%
6위순창군팔덕면89.12%6위익산시신동76.35%
7위김제시광활면88.96%7위진안군용담면76.47%
8위진안군동향면88.66%8위무주군설천면76.64%
9위정읍시덕천면88.47%9위무주군적상면76.73%
10위장수군산서면88.40%10위무주군부남면77.28%

전라북도 윤석열 득표율
상위 10개 읍·면·동하위 10개 읍·면·동
순위시·군·구읍·면·동득표율순위시·군·구읍·면·동득표율
1위무주군무풍면24.82%1위순창군유등면6.78%
2위전주시 덕진구금암1동22.47%2위고창군상하면7.08%
3위완주군운주면22.25%3위고창군대산면7.22%
4위익산시망성면22.14%4위고창군신림면7.31%
5위진안군용담면20.76%5위고창군공음면8.28%
6위무주군적상면20.62%6위임실군지사면8.32%
7위진안군주천면20.46%7위순창군팔덕면8.89%
8위무주군설천면20.27%8위진안군동향면9.09%
9위익산시신동20.23%9위김제시광활면9.12%
10위무주군부남면19.71%10위임실군신덕면9.27%

4.1.1. 이전 대선과의 비교[편집]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선거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격차
19대 대선[1]20대 대선[2]증감률19대 대선[3]20대 대선[4]증감률
득표율838,043
(69.77%)
1,036,314
(84.56%)
+ 198,271
(△14.79)
71,033
(5.91%)
176,809
(14.42%)
+ 105,776
(△8.51)
+ 859,505
(+ 70.14%)
전주시 완산구72.27%83.87%△11.605.93%15.30%△9.37+ 68.57
전주시 덕진구72.64%83.88%△11.245.58%15.26%△9.68+ 68.62
군산시68.54%83.46%△14.926.40%15.55%△9.15+ 67.91
익산시69.49%84.02%△14.536.15%14.95%△8.80+ 69.08
정읍시66.86%86.67%△19.814.96%12.20%△7.24+ 74.47
남원시68.49%85.98%△17.495.51%12.77%△7.26+ 73.21
김제시66.25%86.43%△20.185.63%12.45%△6.82+ 73.98
완주군71.28%85.58%△14.305.82%13.39%△7.57+ 72.18
진안군70.65%85.12%△14.476.72%13.76%△7.04+ 71.35
무주군65.63%78.78%△13.159.80%19.84%△10.04+ 58.95
장수군71.37%85.74%△14.376.62%12.83%△6.21+ 72.91
임실군68.21%86.43%△18.225.80%12.15%△6.35+ 74.28
순창군65.29%87.41%△22.125.05%11.23%△6.18+ 76.19
고창군65.06%87.44%△22.384.97%11.30%△6.33+ 76.13
부안군66.17%86.25%△20.086.04%12.51%△6.47+ 73.74

4.2. 총선[편집]


전라북도 개표 결과 (시·군·구별)
국회의원비례대표
정당더불어민주당무소속더불어시민당미래한국당민생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
의석수/비례1위9석1석14개-----
득표율658,847
(64.75%)
201,793
(19.83%)
553,967
(56.02%)
56,666
(5.73%)
62,607
(6.33%)
118,783
(12.01%)
40,512
(4.09%)
89,212
(9.02%)
전주시67.19%11.48%[5]54.58%5.57%7.45%13.10%4.49%9.62%
군산시59.24%36.72%54.79%6.59%3.05%11.03%4.70%12.98%
익산시76.01%1.01%[6]57.89%5.82%6.72%11.91%4.03%7.39%
정읍시67.00%-[7]56.64%4.54%12.11%10.49%3.27%6.77%
남원시41.41%55.85%58.61%5.01%3.50%11.78%3.61%7.92%
김제시64.96%31.65%58.64%5.52%4.74%11.50%3.48%7.44%
완주군53.72%42.18%54.33%5.66%4.85%13.69%3.97%8.71%
진안군66.78%28.95%54.38%7.04%5.03%12.77%3.71%8.00%
무주군54.33%39.79%51.67%10.07%4.56%12.16%3.29%6.47%
장수군59.45%36.12%55.75%6.41%4.48%12.26%3.32%7.89%
임실군51.64%45.60%58.57%5.13%4.63%11.63%3.50%7.11%
순창군55.43%42.10%57.44%4.75%5.23%9.19%3.19%6.97%
고창군75.07%-[8]60.57%4.45%9.58%8.21%2.75%6.98%
부안군69.43%19.89%59.18%5.99%5.84%10.79%3.52%6.73%

전라북도 개표 결과 (지역구별)
국회의원비례대표
정당더불어민주당무소속더불어시민당미래한국당민생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
의석수/비례1위9석1석10개-----
득표율658,847
(64.75%)
201,793
(19.83%)
553,967
(56.02%)
56,666
(5.73%)
62,607
(6.33%)
118,783
(12.01%)
40,512
(4.09%)
89,212
(9.02%)
전주시 갑67,849
(73.57%)
15,384
(16.68%)
57.42%5.85%4.73%12.82%4.43%9.22%
전주시 을67,568
(62.54%)
21,697
(20.08%)
54.98%6.09%5.49%13.44%4.79%10.14%
전주시 병104,039
(66.65%)
-[9]53.32%5.15%10.29%12.88%4.30%9.11%
군산시88,857
(59.24%)
55,082
(36.72%)
54.79%6.59%3.05%11.03%4.70%12.98%
익산시 갑59,043
(79.63%)
-[10]59.95%6.33%5.78%10.65%4.00%7.04%
익산시 을56,982
(72.59%)
-[11]57.52%5.21%7.21%13.01%3.77%7.27%
정읍·고창65,082
(69.77%)
-[12]57.98%4.51%11.25%9.71%3.09%6.84%
남원·임실·순창40,448
(46.42%)
43,118
(49.49%)
58.36%4.98%4.09%11.21%3.50%7.55%
김제·부안51,981
(66.67%)
21,162
(27.14%)
58.85%5.70%5.16%11.23%3.50%7.17%
완주·진안·무주·장수56,998
(56.89%)
38,736
(38.66%)
54.13%6.67%4.78%13.10%3.73%8.13%


4.2.1. 이전 총선과의 비교[편집]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생당, 열린민주당)중도 (국민의당)범보수 (새누리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선거20대 총선[13]21대 총선[14]증감률20대 총선[15]20대 총선[16]21대 총선[17]증감률격차
득표율373,898
(40.40%)
824,569
(83.39%)
+ 450,671
{△42.98}
395,984
(42.79%)
69,868
(7.55%)
97,178
(9.82%)
+ 27,310
{△2.28}
+ 73.56%
전주시 완산구[18]42.54%83.99%△41.4541.21%9.07%10.65%△1.58+ 73.34
전주시 덕진구[19]42.64%85.61%△42.9843.53%6.32%9.42%△3.10+ 76.20
군산시41.02%81.87%△40.8543.11%8.05%11.30%△3.25+ 70.57
익산시40.42%83.93%△43.5042.36%8.42%9.86%△1.44+ 74.07
정읍시36.01%86.03%△50.0247.84%5.07%7.81%△2.74+ 78.22
남원시36.69%81.82%△45.1342.18%7.12%8.72%△1.52+ 73.18
김제시36.19%82.33%△46.1449.21%6.69%9.00%△2.31+ 73.32
완주군39.89%81.60%△41.7143.49%6.75%9.63%△2.88+ 71.97
진안군47.08%80.19%△33.1034.00%8.48%10.75%△2.28+ 69.43
무주군47.20%74.87%△27.6833.55%10.42%13.36%△2.94+ 61.51
장수군42.91%80.39%△37.4836.96%7.22%9.73%△2.51+ 70.66
임실군34.87%81.96%△47.0943.50%8.61%8.64%△0.03+ 73.32
순창군33.21%78.84%△45.6444.29%5.83%7.95%△2.11+ 70.90
고창군31.11%85.35%△54.2443.19%5.04%7.20%△2.15+ 78.16
부안군44.75%82.56%△37.8138.37%6.90%9.51%△2.61+ 73.04
20대 총선21대 총선
정당범진보[20]중도[21]범보수[22]격차정당범진보[23]범보수[24]격차
도시권역[25]41.73%42.44%8.04%- 0.71도시권역83.92%10.29%+ 73.63
시골권역[26]38.03%43.42%6.65%- 5.39시골권역82.39%8.94%+ 73.44


4.3. 지선[편집]


전라북도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전라북도지사시장 · 군수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무소속[27]
후보김관영조배숙의석수11석0석3석
득표수
(득표율)
591,510
(82.11%)
128,828
(17.88%)
득표수
(득표율)
441,528
(61.28%)
57,112
(7.92%)
180,138
(25.00%)
전주시175,118
(80.32%)
42,886
(19.67%)
전주시160,339
(74.12%)
33,615
(15.54%)
-
군산시73,109
(85.89%)
12,003
(14.10%)
군산시56,843
(68.24%)
11,569
(13.88%)
11,653
(13.99%)
익산시83,134
(80.07%)
20,682
(19.92%)
익산시72,544
(69.97%)
9,697
(9.35%)
17,239
(16.62%)
정읍시44,026
(84.68%)
7,960
(15.31%)
정읍시25,964
(49.75%)
-[A]23,891
(45.77%)
남원시35,477
(83.43%)
7,046
(16.56%)
남원시16,127
(37.17%)
-[*A ]13,508
(31.13%)
김제시33,765
(82.59%)
7,114
(17.40%)
김제시22,531
(54.67%)
-[*A ]17,096
(41.48%)
완주군32,573
(82.01%)
7,144
(17,98%)
완주군16,329
(40.89%)
-[*A ]14,306
(35.82%)
진안군13,062
(82.36%)
2,796
(17.63%)
진안군9,818
(61.70%)
-[*A ]3,213
(20.19%)
무주군11,971
(77.97%)
3,381
(22.02%)
무주군5,721
(36.50%)
837
(5.34%)
9,114
(58.15%)
장수군11,607
(83.96%)
2,216
(16.03%)
장수군7,479
(53.62%)
-[*A ]6,044
(43.33%)
임실군13,689
(81.90%)
3,024
(18.09%)
임실군7,364
(43.14%)
-[*A ]7,540
(44.17%)
순창군14,230
(81.33%)
3,265
(18.66%)
순창군8,534
(47.63%)
-[*A ]9,380
(52.36%)
고창군27,811
(84.92%)
4,935
(15.07%)
고창군16,584
(49.72%)
-[A]15,729
(47.28%)
부안군21,938
(83.37%)
4,376
(16.62%)
부안군15,351
(57.70%)
1,394
(5.23%)
9,859
(37.05%)

전라북도 개표 결과 (광역의원)
도의회의원비례대표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진보당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기본소득당진보당
의석수36석 1석 1석 1석 득표수
(득표율)
518,461
(71.88%)
118,548
(16.43%)
61,511
(8.52%)
8,532
(1.18%)
11,711
(1.62%)
전주시12000전주시68.71%18.88%10.04%0.78%1.43%
군산시4000군산시72.89%17.57%7.68%0.66%1.00%
익산시4000익산시72.69%16.20%8.54%0.63%1.66%
정읍시2000정읍시72.55%13.78%10.38%1.68%1.19%
남원시2000남원시74.56%15.66%6.67%1.28%1.47%
김제시2000김제시74.65%15.85%6.77%0.91%1.48%
완주군2000완주군70.27%15.14%10.04%1.22%2.89%
진안군1000진안군73.42%14.50%7.72%1.43%1.73%
무주군1000무주군69.70%18.98%5.66%3.04%1.75%
장수군1000장수군75.01%13.06%7.49%2.19%1.69%
임실군1000임실군73.91%13.16%7.41%2.51%1.61%
순창군1000순창군71.74%14.21%5.59%2.75%5.24%
고창군0001고창군69.81%11.26%6.20%2.83%2.24%
부안군1000부안군75.92%14.30%6.59%1.73%0.99%
지역구 합35석0석0석1석비례표 2석 1석1석0석0석

전라북도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시 · 군의회의원교육감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진보당무소속후보서거석김윤태천호성
의석수168석3석1석1석24석득표수
(득표율)
310,247
(43.52%)
116,813
(16.38%)
285,753
(40.08%)
전주시29 1104전주시40.96%14.62%44.40%
군산시22 1100군산시47.33%17.83%34.82%
익산시20 1013익산시44.94%17.11%37.93%
정읍시12 0005정읍시46.70%17.87%35.41%
남원시16 0000남원시43.15%16.63%40.20%
김제시12 0002김제시47.69%14.42%37.88%
완주군11 0000완주군43.42%17.64%38.92%
진안군4 0003진안군42.13%14.01%43.84%
무주군5 0002무주군42.98%20.42%36.58%
장수군6 0001장수군45.72%17.93%36.34%
임실군5 0003임실군42.99%18.41%38.59%
순창군8 0000순창군44.70%18.84%18.73%
고창군9 0001고창군32.58%14.81%52.60%
부안군10 0000부안군48.17%18.63%33.19%
지역구 합126석2석14석2석28명
비례표21석[28]004석-

5. 설명[편집]


전라북도지사
1기(95~98)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유종근 (초선)
2기(98~02)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유종근 (재선)
3기(02~06)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현욱 (초선)
4기(06~10)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완주 (초선)
5기(10~14)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완주 (재선)
6기(14~18)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송하진 (초선)
7기(18~2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하진 (재선)
8기(22~26)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관영 (초선)
1980년대 이전에는 전통적인 여촌야도의 '촌'에 해당했다. 박정희 정권 시절에도 민주공화당 우세 지역. 지역 연고 정당이 굳건히 버티고 있었을텐데 어떻게 된거냐며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지만 그 시절 특정 지역과 특정 정당의 관계는 의외로 그렇게까지 절대적이지는 않았다. 경상도 출신 야권 정치인들도 많았고, 반대로 전라도 출신 여권 정치인들도 나름대로 무시 못할 정도로 많았다. 물론 박정희 유신정권기인 제4공화국을 전후하여 영호남 지역갈등[29]이 널리 퍼진 것은 맞다. 그리고 그것이 가장 크게 힘을 발휘한 시기는 호남 몫의 공정한 지분요구를 실현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 김대중[30]의 평화민주당 계열이 등장한 제6공화국[31]이다.

현재는 반(反) 보수정당계 정당의 우세 지역이다.[32] 과거 김대중이 활약하던 시절에는 득표율 90%대를 찍은 적도 있으나, 친노 세력의 득세로 전라도 지역주의를 대표하는 정치인이 거의 사멸한 21세기 이후로는 대략 70-80% 정도가 찍히고 있다. 이는 대구광역시의 보수정당 지지율과 유사한 수치이다. 민주당 계열 정당이 우세한 지역으로 변화하여, 소선거구제가 정착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부터 평화민주당(13대), 민주당(14대), 새정치국민회의(15대), 새천년민주당(16대), 열린우리당(17대), 통합민주당(18대), 민주통합당(19대)이 우위를 차지해 왔다. 반면 박정희의 민주공화당-전두환의 민주정의당-노태우(+김영삼+김종필)의 민주자유당-김영삼(+이회창)의 신한국당-이명박(+박근혜)의 한나라당-박근혜의 새누리당이 이 지역에서 국회의석을 얻은건 19대까지는 15대에서 군산을에서 강현욱이 당선된 것이 마지막이었다.[33] 다른 호남 지역과 마찬가지로 민주당 같은 야당계열의 지지가 우세한 편이다.

노년층 비율이 높은 곳이지만 반 보수정당 성향을 보이는 특이한 지역. 광주전남과는 다르게 5.18 민주화운동의 영향보다는 산업화 시기의 소외 등으로 보수 정당을 싫어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있다.[34]

하지만 국민의당 창당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에 전라북도 민심은 잇따른 3번의 선거를 통해 보수정당에게 조금씩 문호를 열어주고 있는 중이기도 했다. 비록 당선과는 거리가 있지만 득표율이 조금씩 오르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뭐 전라도에서는 2012년 선거 이전에도 새누리당 지지율이 그나마 가장 높은 편이었다. 물론 전라북도 뿐만이 아니라 호남 전체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이 조금씩 높아지는 것도 있고... 물론 이젠 다 의미없다. 2007년 12월 19일에 벌어진 17대 대선은 전라북도의 대통합민주신당 득표율이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를 상회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일어났는데 이는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정동영의 고향이 전북 순창이고, 정동영이 전주 덕진에서 재선을 했었기 때문이다.

2012년 12월 19일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86.25%를 득표하였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13.22%를 득표하여 여전히 민주당 초강세 지역임을 다시금 재확인했다. 박근혜 후보가 10%를 득표한 전라남도와는 3.22%P차이. 하지만 속을 뜯어보면 이번에도 새누리당의 선전인 것이,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25년만에 가장 높은 득표율이고 무엇보다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의 이명박+이회창 득표율로 비교하면 전국에서 유일하게 올랐다. 그리고 무주군에서는 20%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새누리당 도지사 후보가 20.45% 지지율을 획득하기도 했다.[35] 또한 과거와 달리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이 10%대 중반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안철수 신당 지지율이 민주당과 맞먹는 통계를 본다면 전라북도의 정치지형도 과거에 비해 많이 변하고 있는 듯. 민주당 계열 정당이 광주-전남은 공들이지만 전북은 사실상 무관심하여 소외되고 있다는 생각을 하는 전북도민들이 상당수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도세가 워낙 빈약하고 이미 이회창의 선진통일당(구 자유선진당) 흡수 후 충청도까지 어느 정도 확보하여 과반의석을 넘긴 새누리당 입장에서 굳이 이 곳을 공들여 석권할 필요성을 그다지 느끼지 못할 듯 하다.

2015년 들어서 새정치민주연합 전북도당 내분이 심각해지면서사실 전북도당만의 내분은 아니지만 새누리당이 전북에서만큼은 기세가 상당히 오른 편이다. 도당의 내분이 이대로 간다면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지역구를 1~3석 정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것도 전북 정계에서 영향력이 큰 편인 전주시민과 남원시민들이. 익산시정읍시 쪽은 아직까지는 조직이 무너지지 않은 새정치연합이지만 여기도 불안불안하다. 특히 전주시 완산을 지역구는 굉장히 위험하다. 이미 전주 완산구 을 지역구의 현역 국회의원인 이상직 전 의원의 의정평가는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월등히 앞섰고 이 지역에서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장세환 전 의원이 신당 소속으로 이 지역에 출마할 확률이 매우 높아 표가 갈릴 우려가 크고 서부 신시가지나 서신지구 등 전주의 부촌과 신도시들이 모인 '전북의 강남', 즉 기득권층의 냉정한 표심에 새정치민주연합이 의석을 빼앗길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2014년 재보궐선거에서 순천시·곡성군에서 새누리당 이정현 후보가 당선되고부터는 지역내 언론에서도 광주·전남은 여당 의원 한석 주니까 예산을 뭉텅이로 뽑아내고 있는데 우리는 여전히 찬밥이다라는 불만 여론이 과거와 달리 크게 형성되었으며[36] 게다가 수도권에서는 고학력 화이트컬러나 젊은이들의 야당 지지세가 강하지만, 영남 현지의 새누리당처럼 호남 현지의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 기득권층의 사교클럽처럼 된 측면이 있다. 그래서 특히 젊은이들은 호남을 자동빵 표밭으로 인식하는 민주당계 정당에 불만이 많아왔다. 그 인식으로 보여주는 여론조사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무려 70%가 여당(당시에는 새누리당이 여당이었다.)의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정치성향 자체는 여전히 친민주당 성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 새누리당이 전신 시절부터 꾸준하게 IMF 외환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으로 인한 경제위기를 불러오면서 국가경제와 각종 사회 체계가 흔들리고 안 그래도 힘들던 전북 경제에 타격을 주었기 때문이다. 당장 19대 대선 즈음의 20대 유권자들 상당수가 어린시절에 IMF 대란으로 힘들게 컸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문에 20대의 삶이 바뀐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새누리당 자체에 대한 여론은 쉽게 우호적으로 바뀌지 않겠지만, 야권이 그래도 선거는 이길 것으로 여겨 지역 민심 챙기기에 별 나아진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어느 정도의 선거 결과는 충분히 바뀔 수 있다.

20대 총선 당시 전북 지역에서는 국민의당이 선거구 10곳 중 7곳에서 승리했고, 더불어민주당은 2석을 얻는 데 그쳐 완패했다. 한편 새누리당완산구에서 1석의 의석을 얻는데 성공했다. 다만 지역구 개표 결과 자료를 보면 더민주와 국민의당 득표율 차가 45 대 55로 사실상 백중세였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는 국민의당이 삽질을 하거나 더불어민주당이 정권교체의 주역이 되어 호남을 배려해준다면[37] 다음 총선에서 역싹쓸이도 가능하다고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정당명부 비례대표로 가면 새누리당의 득표율은 7.6%에 그쳤고[38], 국민의당이 42.8%를 득표해 1위를 기록했으나 압도적 차이는 아니었다.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은 32.3%로, 국민의당에 밀리긴 했지만 전국 시·도 중에서는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야당도 야당 나름으로 당시에는 국민의당을 지지하는 계층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국민의당을 찍어준 이유가 새누리당은 찍을 수 없다는 마지막 자존심 때문이었다.

여하튼 20대 총선에서 이 지역과 전라남도 지역에서 국민의당이 대박을 터뜨리는 바람에 더불어민주당은 졸지에 근거지를 수도권로 옮기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했다. 다만, 수도권은 스윙보터 성향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텃밭을 탈환하기 위해서라도 내년 대선과 내후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해 호남지역에 혜택을 투하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북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전주 갑을병, 김제부안에서 초접전이었던 것을 보면 국민의당으로 쏠린 것은 아니다. 나머지 지역에서도 10%도 안 되는 격차로 졌는데, 이런 점을 보면 광주전남과는 확실히 온도차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정적으로 현재 도의회 다수는 더불어민주당이다. 다가올 대선 결과에 따라 그 다음해에 있을 지방선거 결과도 달라지는데, 섣불리 움직였다가는 버림당할 수 있기 때문에 도의회를 비롯한 각 지자체장 및 의회들도 쉽게 움직이지 못하고 있다.

원래부터 국민의당의 바람은 광주전남에 비해 전북에선 상대적으로 뜨뜻미지근했고, 탄핵 과정에서 꾸물거리자 시민들에 의해 국민의당의 당사가 점령당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는 등, 국민의당이 전북에서 민심을 많이 잃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대선 기간동안 민심이 빠르게 민주당쪽으로 돌아오는 상황이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64.84%)가 국민의당 안철수(23.76%) 후보에게 3배 조금 모자란 격차로 승리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 중 문재인 득표율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대선 이후 익산시의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전 의원이 당사무총장을 맡는 등, 지역이 정치적으로 많은 이득을 보았다는 분석이다. 한편 국민의당은 제보조작 사건 이후 내홍을 겪다가 바른정당과의 합당문제를 계기로 민주평화당바른미래당으로 분열되었고 전북 지역의 국민의당 조직들 중 대다수가 민주평화당으로 이동했다. 그렇지만 7회 지선에서는 민주당의 송하진 전 지사가 간단히 재선에 성공했다.

사실 열린우리당-새천년민주당 시절부터 전북은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이 더 높았을 정도로 친노 계열에 우호적인 지역이기도 했다. 호남 내에서도 비주류라는 인식이 있다보니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하는 호남 지역 정당에 대한 지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치적 정서가 광주전남과 다르다는 점은 2019년 5월의 이 기사(머니투데이 the300)에서도 여전히 보이고 있다. 황교안 대표 이하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패스트트랙 정국의 연장선에서 기차로 지방 투어형 장외투쟁을 하고 있는데, 영남 기반 정당답게 경부선, 특히 대구와 부산에서 상당한 호응을 모은 후 그 다음날 전날만큼의 호응은 절대 예상하기 힘든 호남선 투어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광주에서는 일반 시민과 각종 단체들을 불문하고 격렬한 저항을 받았는데, 전주에서는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광주는 불과 몇 달 전의 2019년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과 직접적 연관이 있지만 전주는 그렇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통은 전남, 광주에 비해서는 보수 득표율이 좀더 높게 나오는 편이다.

이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그대로 증명이 되었는데, 윤석열 후보가 여기서 14.42%를 얻어서 전라도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무주군의 경우는 19.84%로 거의 20%에 육박한 득표율을 받았을 정도다.

다만 8회지방선거에서는 역대 보수정당 후보자들은 양자대결에서 최소 17.88%를 득표했는데 전체 선거를 국민의힘이 승리하고 호남 중진 조배숙 후보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전주시 을에서 진보당 강성희 후보가 낙승하고, 국민의힘 후보는 10%도 받지 못하고 낙선한 것을 봤을 때,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비토 기류로 인해 보수 지지율이 다시 낮아진 걸 확인할 수 있다.

6. 역대 전라북도 선거 결과[편집]


역대 1위 횟수민주당계 정당보수정당무소속제3지대 정당진보정당
3212410
[39][40]
역대 선거1위2위, 3위
1948년 총선무소속 8석대한독립촉성국민회 6석한국민주당 4석
1950년 총선무소속 15석민주국민당 3석대한국민당 2석
1952년 대선이승만 65.9%조봉암 15.4%
1952년 부통령이범석 32.5%함태영 26.3%
1954년 총선자유당 10석무소속 10석민주국민당 2석
1956년 대선이승만 60.2%조봉암 39.8%
1956년 부통령장면 51.0%이기붕 40.3%
1958년 총선민주당 11석자유당 10석무소속 3석
1960년 총선민주당 17석무소속 5석사회대중당 1석
1960년 지선김상술 41.7%임춘성 40.1%
1963년 대선박정희 49.4%윤보선 41.5%
1963년 총선민주공화당 7석민정당 3석민주당 1석
1967년 대선윤보선 48.7%박정희 42.3%
1967년 총선민주공화당 11석없음
1971년 대선김대중 61.5%박정희 35.5%
1971년 총선민주공화당 6석신민당 6석없음
1973년 총선민주공화당 4석신민당 4석무소속 4석없음
1978년 총선민주공화당 6석신민당 4석무소속 2석
1981년 총선민주정의당 7석민주한국당 6석무소속 1석
1985년 총선민주정의당 7석한국국민당 3석신한민주당 2석
1987년 대선김대중 83.5%노태우 14.1%
1988년 총선평화민주당 14석없음
1992년 총선민주당 12석민주자유당 2석
1992년 대선김대중 89.1%김영삼 5.7%
1995년 지선유종근 67.2%강현욱 32.8%
1996년 총선새정치국민회의 13석신한국당 1석
1997년 대선김대중 92.3%이회창 4.5%
1998년 지선유종근 100%[41]없음
2000년 총선새천년민주당 9석무소속 1석
2002년 지선강현욱 74.6%손주항 17.1%
2002년 대선노무현 91.6%이회창 6.2%
2004년 총선열린우리당 11석없음
2006년 지선김완주 48.1%정균환 36.5%
2007년 대선정동영 81.6%이명박 9.0%
2008년 총선통합민주당 9석무소속 2석
2010년 지선김완주 68.7%정운천 18.2%
2012년 총선민주통합당 9석통합진보당 1석무소속 1석
2012년 대선문재인 86.3%박근혜 13.2%
2014년 지선송하진 69.2%박철곤 20.4%
2016년 총선국민의당 7석[42]더불어민주당 2석새누리당 1석
2017년 대선문재인 64.8%안철수 23.8%
2018년 지선송하진 70.6%임정엽 19.1%
2020년 총선더불어민주당 9석무소속 1석
2022년 대선이재명 83.0%윤석열 14.4%
2022년 지선김관영 82.1%조배숙 17.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3:11:45에 나무위키 전라북도/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재인+심상정.[2] 이재명+심상정.[3] 홍준표+유승민.[4] 윤석열.[5] 지역구 2위 : 민생당 15.11%[6] 지역구 2위 : 민생당 12.68%[7] 지역구 2위 : 민생당 32.99%[8] 지역구 2위 : 민생당 24.92%[9] 지역구 2위 : 민생당 정동영 50,022 (32.04%)[10] 지역구 2위 : 민생당 고상진 7,057 (9.51%)[11] 지역구 2위 : 민생당 조배숙 12,302 (15.67%)[12] 지역구 2위 : 민생당 유성엽 28,186 (30.22%)[13] 더불어민주당+정의당[14]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15] 국민의당[16] 새누리당[17] 미래한국당+국민의당[18] 20대 비례대표에서 덕진구 인후3동이 합산되어 이 지역을 제외하고 계산함[19] 20대 비례대표에서 인후3동이 제외되어 이 지역을 포함하고 계산함[20] 더불어민주당+정의당[21] 국민의당[22] 새누리당[23]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24] 미래한국당+국민의당[25]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인구 15만명 이상의 시 지역.[26]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인구 15만명 미만의 시 또는 군 지역.[27] 2명 이상 출마시 각 선거구의 1위 후보만, 5% 이상 기록한 후보만 수록함. 총득표 수에는 전부 포함됨.[A] A B 무공천[28]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투표 없이 자동으로 당선되었다.[29] 이 시기 영남은 공업단지 등의 육성과 더불어 교통망 등 인프라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도시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진 반면 전라북도를 포함한 호남은 농촌 느낌만 가져갔다. 자연스럽게 호남 인구는 수도권 등으로 대규모 엑소더스 현상이 발생하여 1948년 정부설립 당시에서 거의 변화 없이 500여만에 정체(특히 전라북도는 아예 감소)되고 영남은 600여만이던 인구가 급증하여 현재처럼 1300만에 육박하게 된다.[30] 이전에는 이철승계를 지지하는 쪽도 있었으나 40대 기수론의 등장과 함께 경선에서 김영삼과 함께 떨어지고 김대중이 부상하자 대세라 여기고 택한 측면이 없지 않다. 게다가 이민우 구상 파동으로 이철승이 몰락하자 김대중계로 넘어간 사람이 더 늘어났다.[31] 하지만 김영삼의 3당 합당으로 노태우-김영삼-김종필이 호남고립구도를 만들어버렸다.[32] 다만 전남권의 광주, 순천 등이 그렇듯 도시 지역에서는 진보계열 정당 지지율이 어느정도 받쳐주는 편이다. 2012년 이후에는 모두 궤멸한 수준이다.[33] 하지만 강현욱은 이후에 새천년민주당으로 가서 도지사를 역임하고 이후 탈당해 다시 이명박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다. 재밌는 것은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주-진안-장수와 남원에서 민주자유당 후보(황인성, 양창식)가 당선됐을 때 군산에서 당선된 후보 두 명(갑, 을로 나뉘어져 있을 때) 모두 민주당 소속이었다. 3당 합당이 호남 소외를 가져다주기도 했다고 평가받는 걸 생각하면. 20대에서는 새누리당 정운천 후보가 전주에서 당선되었기 때문에 새로 기록 갱신. 게다가 이는 당시 민주당 소속이던 이상옥, 이형배 전 의원이 공천 탈락에 항의하여 각각 국민당과 무소속으로 출마하였기 때문이다.[34] 정치 사상은 정반대지만 광주전남권과 대구경북의 사회적 성향이 비슷하다고 평가 받는다. 높은 고령인구의 비율, 강한 가부장제와 사회보수주의 성향, 안정 추구 성향까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성향이 정반대인 이유는 5.18 민주화운동전두환 두 요소 때문이다.[35] 다른 호남권 새누리당 도지사 후보들과의 성적을 비교해보면 전라남도의 경우 9.6%, 광주광역시의 경우 3.4%를 얻었다. 다만 광주에서 기초의회(광산구의원)긴 해도 당선인이라는 걸 냈으니 전북만 변한다고 보기에는 어불성설.[36] 실제로 예산결산소위에 들어간 의원중 4명이 전북이 지역구였는데도 2016년 예산 증가율이 1%에도 못미쳤고 반면 광주,전남은 5%에 가까운 증가율을 기록했다.[37] 문화시설이나 인프라 따위 필요없다. 아닌 말로 쉽진 않겠지만 호남 전체 통틀어서 현대차 울산 공장이나 삼성전자 천안사업장 같은 거 서너 개만 박으면 게임 셋이다. 그럼 문화시설과 인프라, 상권 등은 알아서 따라붙는다.[38] 호남 전체를 합산해서 광자체 3개 평균치를 내면 새누리당 지지표가 제주도 다음으로 가장 적게 나왔다.(%가 아닌 단순 표)[39] 전라북도에서 제 1당이 받은 의석수와 득표율[40] 지방선거는 도지사 선거만 포함[41] 단독출마[42] 민주당계 정당이면서 제3지대 정당에도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