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판 잔 카흐베지

덤프버전 :

}}} ||
1 바이은드르 · 3 김민재 · 4 아지즈 · 5 소사 · 6 마이어 · 8 얀다시 · 9 로시 · 10 {{{#11245d 외질 (C)}}} · 11 베리샤 · 13 발렌시아
14 펠카스 · 16 카디올루 · 17 카흐베지 · 19 두르순 · 20 {{{#11245d 구스타부 (VC)}}} · 21 오새이새뮤얼 · 23 귀뮈스카야 · 25 귈러
26 자이츠 · 27 크레스포 · 30 상가레 · 32 티세랑 · 33 쿨루칼립 · 35 외제르 · 37 노바크 · 41 설러이 · 77 카파자크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i.Can Kahveci_21-22.png
페네르바흐체 SK No. 17
이르판 잔 카흐베지
İrfan Can Kahveci
출생1995년 7월 15일 (28세)
튀르키예 초룸
국적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포지션중앙 미드필더
신체 176cm / 체중 67kg
주로 쓰는 발왼발
유소년 클럽겐츨레르비를리이 SK (2005~2012)
소속팀겐츨레르비를리이 SK (2012~2016)
하제테페 SK (2013~2014 / 임대)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7~2021)
페네르바체 SK (2021~)
국가대표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0경기 2골 (튀르키예 / 2018~)
종교이슬람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기록
4.1. 대회 기록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페네르바흐체 SK에서 뛰고 있는 튀르키예 국적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도 종종 나온다.


2. 클럽 경력[편집]


10살부터 터키 앙카라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겐츨레르비를리이 SK 유소년팀에서 축구를 배우기 시작했다. 성인 무대 데뷔도 이 팀에서 시작했으며, 중간에 튀르키예 3부리그 팀인 하제테페 SK로 1년간 임대로 가 6골을 넣으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14년에 다시 원팀으로 복귀하여 8월 29일에 치러진 차이쿠르 리제스포르전에 잠깐이지만 교체로 들어가 19살에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겐츨레르비를리이에서는 주로 공격형 미드필더로 출전하는 경기가 많았으며 2시즌 동안 11골 15어시스트라는 주목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쉬페르리그의 강팀중 하나인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의 눈에 띄어 2016년 12월 26일 약 250만 유로의 이적료에 4년 반의 계약 기간으로 이적하게된다.


2.1.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편집]


2016-17 시즌은 브라질 출신의 마르시오 모소로가 주전 공미 자리를 공고히 지켜서 주로 백업이나 교체자원으로 경기에 많이 출전하지 못했다. 2017-18 시즌에는 공미에서 중앙 미드필더 자리로 포변해 뛰면서 경기에 출전하는 빈도가 많아지기 시작했다. 2018-19 시즌에는 완전히 주전 자리를 꿰차면서 리그에서 4골 5어시스트를 기록하게된다. 다음 시즌에도 4골 5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쉬페르리그 최고의 중앙 미드필더로 거듭나게된다. 2019-20 시즌이 끝나고 세비야 FC 이적설이 나오는등 유럽 빅리그 팀들의 타겟이 되고있다.

2020-21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RB 라이프치히와의 5차전에 선발 출전하여 미친 슈팅 감각을 보여주며 혼자 3골을 넣는 해트트릭을 달성해 주목을 받았다.[1] 비록 팀은 3-4로 패했고 일찌감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나 카흐베지에 대한 여러 빅리그 팀들 주목도가 커졌다.


2.2. 페네르바체 SK[편집]


파일:1612200481257-irfan.jpg
2021년 1월 31일, 결국 700만 유로의 이적료에 튀르키예 빅 3팀인 페네르바체 SK으로 이적했다.

2021-22 시즌 38R 예니 말탄야스포르전 1골 1도움으로 맹활약했고, 팀의 준우승 자리를 지켰다.

2022-23 시즌 4월 10일 기준 33경기 7골 3도움이라는 기대 이하의 활약을 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튀르키예 U-17 대표팀을 시작으로, 계속 연령별 대표팀의 일원으로 선발되었다. 성인 대표 데뷔는 2018년 8월 23일 아일랜드와의 평가전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UEFA 유로 2020에선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된 가운데 스위스와의 최종전에서 만회골을 터트리며 대표팀의 무득점 탈락을 막았다. 이후 꾸준히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6월 16일, 라트비아와의 UEFA 유로 2024 예선 원정 경기에서 튀르키예는 2-1로 앞서던 후반 추가시간 4분에 라트비아에게 동점골을 내주면서 고질적인 공라증[2] 에 시달리는 듯 했으나, 곧바로 그는 역전골을 성공시키면서 한편의 드라마를 만들었고, 3-2 원정에서 귀중한 승리를 따내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그리고 이 극적인 승리로 덕분에 튀르키예는 이후 8라운드만에 본선 진출을 조기 확정할 수 있었다.


4. 기록[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5. 같이보기[편집]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페네르바흐체 SK 2023-24 시즌 스쿼드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3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사메트 아카이딘Samet Akaydin
4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세르다르 아지즈Serdar Aziz
6DF파일:가나 국기.svg알렉산더 지쿠Alexander Djiku
7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페르디 카디올루Ferdi Kadioglu
8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메르트 하칸 얀다시Mert Hakan Yandaş
9FW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에딘 제코Edin Dzeko주장
10FW파일:세르비아 국기.svg두샨 타디치Dušan Tadić부주장
11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라이언 켄트Ryan Kent
14DF파일:브라질 국기.svg루앙 페리스Luan Peres
15FW파일:노르웨이 국기.svg조슈아 킹Joshua King
16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메르트 뮐뒤르Mert Müldür
17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르판 잔 카흐베지Irfan Can Kahveci
18MF파일:브라질 국기.svg린콘Lincoln
19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세르다르 두르순Serdar Dursun
20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젠기즈 윈데르Cengiz Ünder
21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Bright Osayi-Samuel
22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우무트 나이르Umut Nayir
23FW파일:벨기에 국기.svg미시 바추아이Michy Batshuayi
24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제이든 오스터펠더Jayden Oosterwolde
25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엠레 데미르Emre Demir
26MF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미하 자이츠Miha Jajc
27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미구엘 크레스포Miguel Crespo
28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바르투 엘마즈Bartuğ Elmaz
30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나즘 상가레Nazım Sangaré
35MF파일:브라질 국기.svg프레드Fred
40GK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도미니크 리바코비치Dominic Livakovic
50DF파일:브라질 국기.svg호드리구 베캉Rodrigo Becão
53MF파일:폴란드 국기.svg세바스티안 시만스키Sebastian Szymański
70GK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르판 잔 에으리바야트İrfan Can Eğribayat
77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부락 카파자크Burak Kapacak
80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스마엘 윅세키İsmail Yüksek
97GK파일:튀르키예 국기.svg푸르칸 오누르 아크위즈Furkan Onur Akyüz
99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엠레 모르Emre Mor
구단 정보
회장: 에롤 빌레지크 / 감독: 조르제 제수스 / 홈 구장: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출처: 페네르바흐체 S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19일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3:55:57에 나무위키 이르판 잔 카흐베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EFA 챔피언스리그 2010-11시즌 당시 A조에서 토트넘과 인터밀란의 경기때 4-0에서 골키퍼까지 퇴장당하며 10명으로 경기했으나 당시 최강의 우측 풀백이였던 마이콩을 털어버리며 해트트릭을 기록해 4-3까지 만들며 맹활약한 가레스 베일급의 임팩트를 주었다. 이 경기가 가레스 베일을 전세계에 알린 경기였고 카흐베지도 난타전끝에 패했으나 밀리는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달성하며 전세계에 이름을 알렸다.[2] 유로 2004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라트비아는 튀르키예 상대로 홈 1-0 승, 원정 2-2 무승부를 하면서 독립이후 최초로 유로 본선에 진출한 적이 있다. 그 후에도 튀르키예 상대로도 2013년 평가전에서 3-3 무승부, 유로 2016 예선에서 홈과 원정 모두 1-1 무승부, 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서 원정 3-3 무승부를 만드는 등 튀르키예의 발목을 여러번 잡은 적이 있다.